•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substrates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초

Acinetobacter sp. A54에 의한 Arabian Light 원유의 분해

  • 이창호;김희식;서현효;최성훈;오희목;윤병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20-526
    • /
    • 1997
  • Bacterial strains which degrade Arabian Light crude oil were isolated by enrichment culture from oil-spilled soil. The strain A54 was finally selected after testing emulsifying activity and oil conversion rate. Strain A54 was identified as a Acinetobacter sp. based on the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t appears to be highly specialized for growth on Arabian Light crude oil in minimal salts medium since it showed preference for oil or degradation products as substrates for growth. It was found that it could grow on at least fifteen different hydrocarbons. The optimum cultur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as follows; 25$\circ$C for temperature, 7,5 for pH, 2.0% for NaCl concentration and 2.0% for crude oil concentration. Additionally,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NH$_{4}$NO$_{3}$, and K$_{2}$HPO$_{4}$, were 12.5 mM and 0.057 mM, respectively. Cell growth and emulsifying activity as a function of time were also determined. Crude oil degradation and the reduction of product peaks were identified by the analysis of remnant oil by gas chromatography. Approximately 63% of crude oil were converted into a form no longer extractable by mixed organic solvents.

  • PDF

균체외 \alpha-galactosidase를 생산하는 Streptomyces sp. YB-4의 분리 및 효소 특성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alpha-galactosidase Produced by Streptomyces sp. YB-4.)

  • 김소영;조기행;김창진;박동진;윤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32-338
    • /
    • 2002
  • 토양으로부터 세포외로 $\alpha$-galactosidase를 분비 생산하는 방선균 YB-4가 분리되었으며, 분리균의 배양ㆍ형태ㆍ생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Streptomyces 속 균주로 확인되었다. 분리균의 배양상등액으로부터 부분정제된 $\alpha$-galactosidase를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을 때 para-nitrophenyl-$\alpha$-D-galacto-pyranoside는 pH 6.0과 6$0^{\circ}C$의 반응조건에서 가장 잘 분해되었으며, 조효소액을 pH 4.0에서 pH 10.0범위에서 1시간 이상 방치한 후에도 약 90% 이상의 $\alpha$-galactosidase 활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분리균이 생산하는 $\alpha$-galactosidase는 melibiose, raffinose와 stachyose와 같은 저당류를 가수분해 할 수 있으며 분해산물로 galactose를 방출하는 것으로 보아 $\alpha$-1,6 결합을 분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ITO/glass 기판 전처리와 음극 전극 증착방법에 따른 OLED 수명 특성 (Characteristics of OLED Lifetime by ITO/glass Substrate Pre-treatment and Cathode Deposition Methods)

  • 신세진;장지근;김민영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9-62
    • /
    • 2008
  • The Lifetime of OLEDs by ITO/glass substrates cleaning method and cathode deposition method were investigated in the fabrication of green light emitting OLEDs with $Alq_3$-C545T fluorescent system. In our experiments, the optimum cleaning method was obtained at last processing of boiling IPA(isopropyl alcohol). And the optimum deposition methode was obtained at 3 steps deposition rate of Al. The deposition rate of 3 steps progressed changing from $0.5\AA$/sec to $3\AA$/ sec. The green light emitting OLED with plasma treatment at 150W for 2 minutes showed the highest luminance and efficiency of 20000 cd/$m^2$ and 16 lm/W. On the contrary, the OLED device without plasma treatment showed much lower performance with the luminance and efficiency of 3500 cd/$m^2$ and 2 lm/W.

  • PDF

Enhancing Factors of Electricity Generation in a Microbial Fuel Cell Using Geobacter sulfurreducens

  • Kim, Mi-Sun;Cha, Jaehwan;Kim, Dong-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0호
    • /
    • pp.1395-1400
    • /
    • 201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various cultural and operational factors to enhance electricity generation in a microbial fuel cell (MFC) using Geobacter sulfurreducens. The pure culture of G. sulfurreducens was cultivated using various substrates including acetate, malate, succinate, and butyrate, with fumarate as an electron acceptor. Cell growth was observed only in acetate-fed medium, when the cell concentrations increased 4-fold for 3 days. A high acetate concentration suppressed electricity generation. As the acetat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rom 5 to 20 mM, the power density dropped from 16 to $13mW/m^2$, whereas the coulombic efficiency (CE) declined by about half. The immobilization of G. sulfurreducens on the anode considerably reduced the enrichment period from 15 to 7 days. Using argon gas to create an anaerobic condition in the anode chamber led to increased pH, and electricity generation subsequently dropped. When the plain carbon paper cathode was replaced by Pt-coated carbon paper (0.5 mg $Pt/cm^2$), the CE increased greatly from 39% to 83%.

Floristic study of bryophytes in Hangyeong Gotjawal (Cheongsu-ri), Jejudo Island

  • YIM, Eun-Young;CHOI, Byoung-Ki;HYUN, Hwa-Ja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15-223
    • /
    • 2019
  • Recently, it has become known that Gotjawal terrain is an important area, therefore the study on this area has conducted in the geological, ecological, and cultural aspects. The studies on bryophytes of Gotjawal, however, have not been sufficiently performed. This study presents a survey on the bryophytes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Cheongsu-ri at Hangyeong Gotjawal in the southwestern part of Jejudo Island, Korea. A total of 72 taxa belonging to the Bryophyta (18 families 43 genera 55 species) and Marchantiophyta (11 families 13 genera 17 species) were determined and the liverwort index was 23.6%. Predominant life-form was weft. The rates of the bryophytes dominating in mesic to hygric sites were higher than the bryophytes mainly observed in xeric habitats. These values indicate that the forests are widespread and dense in this study area. Upon an investigation of the substrates, the bryophytes on rocks were most diverse. The results appear to stem from the fact that volcanic rock masses of various sizes lay scattered over the study area, offering numerous micro-habitats for bryophyte due to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Gotjawal. We suggest that more detailed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t the regional scale to establish the bryophyte flora of Gotjawal and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n Jejudo Island.

Uncharted Diversity and Ecology of Saprolegniaceae (Oomycota) in Freshwater Environments

  • Bora Nam;Thuong T. T. Nguyen;Hyang Burm Lee;Sang Kyu Park;Young-Joon Choi
    • Mycobiology
    • /
    • 제50권5호
    • /
    • pp.326-344
    • /
    • 2022
  • The fungal-like family Saprolegniaceae (Oomycota), also called "water mold," includes mostly aquatic saprophytes as well as notorious aquatic animal pathogens. Most studies on Saprolegniaceae have been biased toward pathogenic species that are important to aquaculture rather than saprotrophic species, despite the latter's crucial roles in carbon cycling of freshwater ecosystems.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study the diversity and ecology of Saprolegniaceae; thus, their ecological role is not well-known. During a survey of oomycetes between 2016 and 2021, we investigated the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culturable Saprolegniaceae species in freshwater ecosystems of Korea. In the present study, members of Saprolegniaceae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t species level based on their cultur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Furthermore, substrate preference and seasonal dynamics for each were examined. Most of the species were previously reported as animal pathogens; however, in the present study, they were often isolated from other freshwater substrates, such as plant debris, algae, water, and soil sediment. The relative abundance of Saprolegniaceae was higher in the cold to cool season than that in the warm to hot season of Korea. This study enhances our understanding of the diversity and ecological attributes of Saprolegniaceae in freshwater ecosystems.

소나무톱밥을 이용(利用)한 버들송이 인공재배(人工栽培)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Agrocybe aegerita (Brig) Sing using Pine Sawdust Substrate)

  • 김한경;박정식;김양섭;차동열;박용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24-131
    • /
    • 1989
  • 소나무톱밥을 이용(利用)한 버들송이 버섯의 톱밥인공재배(人工栽培)를 위한 균사배양조건(菌絲培養條件)과 톱밥배지(培地) 제조시(製造時) 첨가제(添加劑) 종류(種類)와 혼합비율(混合比率)에 따른 인공재배(人工栽培)의 가능성(可能性)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버들송이 버섯의 균사배양(菌絲培養)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5^{\circ}C$, pH는 4.0, 균사배양일수(菌絲培養日數)는 18일(日)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가장 좋았다. 균주별(菌株別) 균사체량(菌絲體量)은 ASI 19002 균주(菌株)가 980mg/18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ASI 19003, 19004 순이었다. 2. 소나무톱밥을 이용(利用)한 인공재배시(人工栽培時) 적합한 균주(菌株)는 ASI 19003 균주(菌株)로서 균사밀도(菌絲密度)가 가장 양호(良好)하였고, 자실체(子實體) 수량(收量)은 ASI 19003 균주(菌株)가 미강(米糠) 10%에서 72g/병, ASI 19004 균주(菌株)는 미강(米糠) 30%에서 72g/병으로 가장 많았으나 ASI 19004 균주(菌株)는 품질(品質)이 불량(不良)하였다. 3. 소나무톱밥 인공재배시(人工栽培時) 첨가제(添加劑) 종류(種類)와 혼합비율(混合比率)에 따른 균사생장(菌絲生長)은 밀기울 20% 첨가구(添加區)에서 65 mm/23일로 타첨가제(他添加劑)보다 가장 빨랐으며 , 첨가제(添加齋)를 첨가(添加)한 구에서는 자실체(子實體)가 형성(形成)되는 반면에 소나무톱밥 단 용구에서는 자실체(子實體)가 형성(形成)되지 않았다. 4. 버들송이 인공배지(人工培地)의 최적수분함량(最適水分含量)은 $65{\sim}75%$ 범위였으며, 종균배양(種菌培養) 완성일(完成日)은 65%일때 23일(日)로 가장 빨랐고, 초발용소요일수(初發茸所要日數)는 60% 이상에서 $9{\pm}1$일(日) 이었으며, 자실체(子實體) 수량(收量)은 65%에서 $52.3g{\pm}0.6$으로 편차가 적었다. 5. 소나무톱밥에 첨가종류(添加種類) 및 혼합수준별(水準別) 자실체(子實體) 수량(收量)은 밀기울 30% 첨가구(添加區)에서 유효경수가 21.3개/병, 버들송이 자실체(子實體) 수량(收量)은 107g/병으로 가장 많았고 초발용(初發茸) 소요일수(所要日數)도 8일(日)로 빨랐다.

  • PDF

로드셀을 장치한 버섯 병재배용 배지의 수분조절 방법 (Adjusting moisture contents of the substrates on the mushroom bottle cultivation by the device Load cell)

  • 정종천;이찬중;문지원;권재건;김혁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3-236
    • /
    • 2015
  • 본 보고는 버섯 병재배용 배지혼합기를 사용하여 배지를 조제할 때 매일 배지의 수분함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로드셀을 장치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고안한 결과이다. 배지혼합기의 하부에 로드셀을 장치하고 병당 입병량과 입병수로 계산한 무게에 도달했을 때 물 주입이 자동적으로 끝나도록 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또한 배지재료별 수분함량을 측정하고 프로그램(Cheong et al., 2015)을 활용하여 배지 조제시 목표로 하는 수분함량에 도달하는 배지의 총 무게를 산출하였다. 이 방법은 로드셀의 표시부에 목표 수분함량에 따른 배지의 총 무게를 입력한 후, 물공급을 시작하여 혼합배지가 입력해 둔 무게에 도달하면 물 공급이 중단된다. 또한 물 공급을 자동화하여 반복되는 배지 조제 작업에서 사용자의 수고를 경감시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버섯 종류별 배지 조성별로 혼합 배지의 알맞은 수분 함량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균 배양 기간, 버섯 발생 및 생육 기간이 균일하게 유지되어 배지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연중 버섯 품질 및 수량 안정으로 버섯 농가의 경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흰깔대기버섯의 배양적 특성 및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rtificial Cultivation of Edible Mushroom, Clitocybe maxima)

  • 김민경;김동욱;강희완;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35-47
    • /
    • 2018
  • 흰깔대기버섯(Clitocybe maxima) 총 6균주를 한국, 중국, 대만에서 수집 확보하였으며, 중국과 대만에서 각각 수집한 C. maxima와 L. giganteus는 중국명이 동일하고 배양적 특성 결과 동일종으로 판단되었다. 수집된 흰깔대기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은 한천배지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액체배양에서는 YPMG에서 가장 좋았다. 또한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25℃, 자실체 유도 최적온도는 30℃로 밝혀졌으며 균사생장 최적 pH는 6.0-8.0으로 밝혀졌다. 흰깔대기버섯을 인공재배하기 위하여 농산부산물 및 임업부산물을 이용하여 배양적 특성 및 인공재배를 실시하였으며, 볏짚, 미루나무톱밥, 콘코브, 미송배지에서 균사 생장이 양호하여 이를 재배용 배지 재료로 선발하였다. 공시균주를 접종한 7 종류의 배지에서 균사생장 속도는 폐면, 혼합배지2, 미루나무톱밥 순으로 균사 생장이 양호하였다. 흰깔대기버섯을 인공재배하기에 가장 적합한 배지는 혼합배지2(배합비 : 활엽수톱밥 55%, 면실피펠렛 5%, 면실박 10%, 비트펄프 15%, 팽연왕겨 15%)이며, 배양에서부터 수확까지 30여일 소요되어 느타리버섯보다 빠른 수확이 가능하였다. CMA-003 균주는 공시된 모든 배지에서 자실체 유도처리 8~10일 후 자실체 원기 형성되었고, CMA-003 균주는 다발성 발이를, 그 외의 균주들은 개체발이를 보이며, 원기 발생 후 7~17일 생육으로 자실체 수확 할 수 있었다. 다발성인 CMA-003 균주의 대길이, 갓직경과 개체중량은 개체 발이하는 다른 균주들보다 작았지만, 수확률이 높아 농가 재배용 균주를 선발하였다. 흰깔대기버섯 자실체 유도 및 생육에 적합한 온도는 25~30℃, 백색형광등 8시간/1일 조사, 상대습도 : 90~95%, 재배실 CO2 농도 1,500 ppm 이하로 유지하여, 국내의 여름철 고온기에 냉방시설이 없는 간이재배사, 영세 느타리버섯 재배 농가에서 재배 가능하였다.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의 배양적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 정종천;박정식;홍인표;석순자;전창성;이찬중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6-21
    • /
    • 2008
  • 본 시험은 국내외에서 수집한 꽃송이버섯균 8균주에 대하여 균의 배양적 특성 및 균사체 대량배양 조건을 밝히고자 몇 가지 실험을 하였다. 꽃송이버섯균의 고체배양시 HBA(벌꿀바나나추출배지)에서 $53.0{\pm}5.3mm{\cdot}15$$^{-1}$로 균사생장이 빨랐다. 최적배양온도는 $23^{\circ}C$이었으며 pH는 6.0이 었고, 탄소원으로 fructose, 질소원은 glutamine을 잘 이용하였다. 꽃송이버섯균의 균사체 대량배양을 위한 균주로는 통기식 액체배양시 균사체 생산량이 많은 ASI150010을 선발하였다. 액체배양용 추출배지 재료인 대두박추출배지 ($15\;g{\cdot}{\ell}^{-1}$)에서 30일 동안의 균사량은 1.85g으로 감자추출배지 ($200\;g{\cdot}{\ell}^{-1}$)의 1.05g보다 1.7배가 많았다. 곡물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시 수분조절 방법으로 현미는 1일간 침수 처리에서 균사체 생장이 빨랐으며, 밀과 보리는 삶는 방법이 좋았다. 그리고 밀은 보리보다 균배양이 빨라서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