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contents

검색결과 2,280건 처리시간 0.034초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용 콘텐츠 분석 및 개선방안 (A study of Analysi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Educational content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 박선주;김태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55-363
    • /
    • 2011
  •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학습 부진 및 학습 결손의 누적으로 이미 심각한 교육격차 문제를 안고 있다.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해 수준별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교육현장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만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를 위해 수준별 개별 학습에 적합한 교육용 콘텐츠를 다문화가정 아동지도에 필요하나,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교육용 콘텐츠를 새로 개발하면 예산과 시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므로 기존의 교육용 콘텐츠를 다문화 가정 아동도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교육용 콘텐츠 평가도구를 기반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교육용 콘텐츠 적절성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사이버가정학습 4~6학년 국어 콘텐츠를 평가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전통복식 문화원형 콘텐츠의 디지털 활용 현황과 제언 (Digital Application and Suggestions of Cultural Prototypes in Traditional Costumes)

  • 조효숙;임현주
    • 복식
    • /
    • 제60권6호
    • /
    • pp.89-100
    • /
    • 2010
  •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current status of costume in the cultural industry and explore feasibility of integrating costume as important cultural contents in the digital era. Among the websites for contents as the cultural archetypes, some have strong foundations while others don't. First, as for various archetypal characters restored based on the Korean history, most of their clothes focus on shapes and colors but lack details. They should be produced in 3D to provide back views or textile patterns to users. To eas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ostume, user-friendly services such as launch of a pop-up window when users click on specific contents in question should be available for detailed information. At least there should be a link to other related sites where users can conveniently find more details. Second, some sites have too much data under one subject, increasing complexity and undermining orderliness. As a result, it takes long time to identify the site map. In this case, it is required to rearrange the contents with Quick View by subject and related links for in-depth study. Third, each subjec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archetypes for a variety of purposes. Creation of design derived from them or their commercialization can be an example but these activities should not restrict imagination of users or degrade the value of the archetypes. Last, it is needed to adopt validation system to detect the needs for a regular update (renewal) and to fix errors. We found many servers whose operation is not stable in general. When these technical issues are addressed for stable operation, users will rely on the sites to utilize them for their purpose of developing the cultural archetypes. In conclusion, advancement of www.culturecontent.com is essential. Based on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system, the quality of contents would be increased and multi-faceted advertising campaigns focusing on needs should be launched, to promote application of the contents. This is the recommendation for the future of the cultural archetype industry in Korea.

Finger Motion과 HMD VR을 이용한 인터렉티브 문화재 콘텐츠 (Interactive Cultural Content Using Finger Motion and HMD VR)

  • 이병석;정종희;백찬열;손영로;진성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519-528
    • /
    • 2016
  • 현 문화재 교육방식은 대부분이 시대의 흐름과 기술의 발전에 적합하지 못한 단순 주입식이나 지식 전달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보강하기 위해서 동영상이나 영상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요소를 이용하고 있지만 여전히 한계가 있다. 주입식 교육은 지식전달이라는 목적은 달성하고 있지만 창의력과 사고력이 발달할 시기인 성장기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기에는 제약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HMD를 이용한 VR 체험형 문화재 콘텐츠를 제안한다. 사용자의 간접 체험과 흥미를 유발하기 위하여 세계의 유명 관광 문화재를 선택하였다. 사용자의 직접적인 선택의 느낌을 부여하기위해서 Leapmotion 인터렉션을 사용하여 학습 참여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문화재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과 함께 퍼즐 게임을 즐기면서 문화재에 대한 인식을 증대하고자 하였다. 또한 360VR 동영상을 제공하여 체험과 더불어 시각적 몰입감을 제공하여 흥미를 유발하였다. 제안된 콘텐츠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자평가를 실시하였다.

Development of a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using Cultural Products

  • Kim, Ki-Hong;Yu, Jeong-M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85-9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박물관 문화상품을 활용하여 모바일기반 증강현실 기술로 실제와 같은 디지털 3D 그래픽 유물 원형과 음성정보 이미지 Text 정보 등을 증강 시켜 박물관과 같은 유물 체험을 할 수 있는 문화유산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증강현실 기술을 문화상품 적용하여 모바일 폰으로 상품 인식하여 디지털 유물의 인터랙션을 통해 유물에 대한 특징과 다양한 역사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시간과 장소와 상관없이 증강현실 모바일 디지털 콘텐츠로 쉽고 빠르게 유물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디지털 콘텐츠가 문화유산 유형에 맞게 연구되어 교육용·산업용·관광 홍보용 등 사용 목적에 맞게 개발되어 증강현실 콘텐츠 확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야외 증강현실 기반의 문화 유적지 3D 모델 시각화 시스템 (Outdoor Augmented Reality based 3D Model Visualization System of Cultural Heritage Sites)

  • 한종길;박경욱;반경진;김응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459-464
    • /
    • 2013
  • 최근 국내외에서 역사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문화 콘텐츠 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그 중에서 IT기술을 접목한 분야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문화 유적지, 건축문화재, 유물 복원 디지털 콘텐츠 개발 등 3D 시각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복원 디지털 콘텐츠는 주로 실내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시스템이 대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가 아닌 실외에서 야외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문화 유적지 3D 모델 시각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각화 시스템은 실외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입력받은 영상이미지에 문화 유적지 3D 모델을 증강한다.

'거타지' 설화의 문화콘텐츠 창작과 활용 (Study on the Creation and Usage of Cultural Contents for 'Geotaji Folk Tale')

  • 이규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19-127
    • /
    • 2008
  • 본 연구는 ‘거타지 설화’의 서사구조, 문화원형적 특징, 문화요소 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창작과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거타지 설화’는 완벽한 서사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여러 면에서 신화와 공통점이 적지 않아 우리 문화원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에 내재된 다양한 문화요소는 우리 문화의 전통성과 세계적인 보편성을 두루 갖추었기에 문화콘텐츠 창작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서사적 특징을 바탕으로 한 ‘거타지 설화’의 문화 콘텐츠 창작과 활용 방안은 첫째, 원전등의 디지털 DB화와 그래픽 창작 등 디지털 콘텐츠 구축, 둘째, 하이퍼텍스트를 활용한 스토리뱅크 구축, 셋째, 게임이나 플래시 애니메이션 창작 등의 스토리텔링, 넷째, 주인공 거타지를 중심으로 다양한 캐릭터 개발 등을 들 수 있다.

차(茶)문화의 콘텐츠화를 통한 문화콘텐츠 육성 방안 연구 (A Study on Ways to Foster Cultural Contents through Contentization of Tea Culture)

  • 김미경;곽진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9-67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의 차(茶)문화를 국내의 문화를 담은 하나의 문화콘텐츠로 육성하여 국내의 문화경쟁력을 높이며, 콘텐츠 시대 속 새로운 문화적 제재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콘텐츠산업의 성장세와 국내 문화의 흐름을 보아, 오늘날의 '한류'로 대변되는 문화콘텐츠는 현재 부재한 실정이기에 보다 한국적인 콘텐츠에 대한 개발을 통해 시대에 발맞추기 위한 움직임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 고유의 차(茶)문화를 조명했으며 차(茶)문화의 근원지로 알려진 중국의 사례를 검토하여 국내 차(茶)문화의 콘텐츠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선행되어야 하는 일은 국내 차(茶)문화에 대한 정체성과 가치를 규명하는 일이며, 이어 차(茶)문화에 대한 교육을 확대하고 수익구조를 다각화하여 한국만의 문화콘텐츠로서의 차(茶)문화의 재발견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했다.

선택제약 위반을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네이밍 창작 (Naming Creation of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Violation of Selectional Restrictions)

  • 김영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64-172
    • /
    • 2010
  • 본 논문의 목적은 문화 콘텐츠의 네이밍 창작 과정을 선택제약 위반에 기초하여 밝히는 것이다. 이것은 선택제약 위반이 '왕의 남자'와 '비보이를 사랑한 발레리나' 같은 문화콘텐츠에 있어서 스토리 계획과 제목 네이밍의 한 방식으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선택제약에 관한 이런 접근법은 1965년 노암촘스키의 '통사이론의 제양상'이란 저작에서의 주장을 근거로 한다. 그의 아이디어는 언어학상 법칙의 위반은 단어와 문장의 선택자질과 관련된 허용성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그의 선택제약과 선택제약 위반 사이의 확장된 개념을 문화콘텐츠의 네이밍 창작으로 맞춘 것이다.

참여 기반의 문화콘텐츠 개발 사례 분석 및 활성화 방안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Case Study and Using Plan of Participation-based)

  • 나윤빈;권혁인;이승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13-121
    • /
    • 2014
  • 오늘날 국내 다문화 사회는 동화에서 융화의 방향으로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패러다임은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하며, 이질적인 그룹 간 이해와 인정의 연결고리로서 문화콘텐츠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화콘텐츠는 다문화 구성원 스스로가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개발할 때 그 효과가 높아질 수 있으며 사회적 의의에도 부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한 외국인 그룹과 일러스트레이터, 동화작가 등 내국인 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콘텐츠를 제작한 다문화콘텐츠기획팀 '알토플라코'의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각 프로젝트는 공연, 전시, 앱북 등의 콘텐츠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사례 선정 및 소개, 콘텐츠의 기획 개발, 평가, 활성화 방안 등을 살펴보았다.

배리어 프리 문화예술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rrier-Free Culture and Art Content Applications)

  • 정혜경;고장혁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6-6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guide service that can provide customized guides according to the disability status of the disabled who consum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It is designed to provide a more individualized service through user input of disabi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and degree of disability of the disabled, the type of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desired by the disabled, and information on the cultural and artistic level of the disabled. 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by time and place, and it has the distinction of providing appreci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and commentar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in various ways on the application. In particular, to provid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differently by identifying the type or degree of disability of the user, or to provid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with different expertis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cultural level and taste, and to improve the cultural level. The most special feature is that it provides recommended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difficulty of art content. User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ersona techniqu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eeds for th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s are also increasing among the disabled, while the services that reflect those needs are very insufficient. Therefore, all interviewees stated that they are willing to actively utilize these services if they are releas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the disabled to culture and arts by developing various services using new ICT technolo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