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st and crumb color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2초

국산밀 제분부산물을 첨가한 고식이섬유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gh-Fiber Breads Added with Domestic Wheat Bran)

  • 이영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23-328
    • /
    • 2003
  • 국산밀의 제분시 생성되는 밀기울(총 식이섬유 42%)을 밀가루에 $0{\sim}30%4 첨가함에 따라 반죽과 yeast 발효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고식이섬유빵의 소재로 활용하였다. 밀가루에 첨가하는 국내산 밀기울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amylograph 최고점도와 set back은 감소하였으며, mixograph에 의한 반죽의 리을로지 특성에서 peak height는 증가한 반면에 mixing time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밀기울의 첨가는 빵의 부피를 현저히 낮추고 crumb grain, 텍스쳐 등 관능특성에서 빵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기울의 첨가에 의해 빵은 L 값이 감소하여 어두워졌으며, crumb의 a 와 b값은 증가하여 적색과 황색의 색조를 부여하였다. 빵의 부피와 관능검사 측정 결과에 따라 국내산 밀기울의 적정 첨가수준은 약 15%까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15% 밀기울 첨가빵은 대조구 빵에 비해 경도가 2배 이상 높았으며 $5^{\circ}C$$25^{\circ}C$에 5일간 저장실험에서 저장 $2{\sim}3$일에 급격한 경도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카무트 사워종을 첨가한 Sourdough Bread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made with Kamut Sour Starter)

  • 최재현;김은지;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17-133
    • /
    • 2016
  • 본 연구는 카무트 사워종 제조 방식을 달리하여 제조한 사워도우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반죽의 pH와 발효율, 비용적, 영상분석, 수분함량, 색도, TPA, 저장성,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반죽의 pH의 경우, 카무트 사워종을 첨가함으로써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pH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발효율 측정을 통해 사워종을 첨가한 시료의 발효가 대조구보다는 다소 느리지만, 대조구와 동일한 부피만큼 팽창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용적과 영상분석 결과, 사워종을 첨가한 실험구가 CON보다는 다소 작은 부피를 가지며, 실험구 중에서도 TM과 CM의 부피와 비용적이 유의적으로 낮음을 확인하였다. 수분함량은 사워종의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최종 제품의 수분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Pool의 수분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도 분석 결과, 카무트 자체의 색으로 인해 카무트 사워종을 첨가한 실험구에서 다소 어두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PA과 저장성 측정 결과, 시료 제조 24시간 후 시료의 경도는 CON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으나, 72시간 경과할 때는 Pool과 CON은 유의적인 경도 차이가 없어짐을 확인하였다. 관능검사 중 기호도 검사 결과, 실험구 중에서는 이스트가 소량 첨가된 Pool과 Biga가 높은 평가를 받았고, TM과 CM은 전체적 기호도에서 좋지 않게 나타났다. 특성 차이 검사결과, 카무트 사워종을 첨가함으로써 부피는 다소 감소하지만, 빵의 속질과 껍질 색은 더 진해지며, 신맛과 곡물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인 품질특성 결과와 관능검사 결과에 따르면, Poolish의 형태로 카무트 사워종을 제조하는 것이 사워도우 빵의 품질과 기호도 측면에서 최적으로 여겨진다.

우리밀을 이용한 Sourdough Starter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Sourdough Starters using Korean Wheat)

  • 안혜령;허수진;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46
    • /
    • 2009
  • 우리밀을 이용하여 제조한 sourdough starter가 starter로 사용하기에 적합한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글루텐 함량, pH 및 TTA 측정, 발효율, mixograph, crumbScan과 관능검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우리밀은 pH의 수치가 4.0에서 4.5 사이로 나타나 sourdough starter로 사용하기에 적당하였다. KWF 5와 KWF 6은 다른 우리밀에 비하여 기공의 조밀도가 높았고, 찌그러짐의 정도가 적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KWF 6이 우리밀 중에서 텍스쳐와 껍질의 생상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결과적으로, 비록 강력 밀가루를 사용하여 제조한 sourdough starter SF를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인 sourdough bread SF를 관능검사 결과에서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결과에서 보여지듯이 대조구보다 우리밀을 이용하여 제조한 sourdough bread KWF 6이 좋은 sourdough starter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수 잎 분말과 브로콜리 줄기 분말을 혼합한 파운드 케이크의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s prepared with Coriandrum satovim L. Leaves Powder and Brocolli's Stem Powder)

  • 이혜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36-446
    • /
    • 2012
  • A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coriander leaves(Coriandrum satovim L.) and brocolli stem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attributes of pound cakes. Coriander leaves & brocolli stem powder was added to the batter, at a ratio of 10, 12.5 and 15%,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stimated by a DPPH free radical scavening activity,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 and flavonoid content in coriander leaves & brocolli stem powder and pounds cakes. Antioxidative activity had correlated highly with the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coriander leaves & brocolli stem powder of pound cakes, respectively(r=0.9096).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riander leaves & brocolli stem powder pound cakes were estimated in terms of the specific load volume, hardness, hunter value of crumb and crust, and the sensory quality of the cakes. The specific volum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ly substituted level of coriander leaves & brocolli stem powder(p<0.01). The lightn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s in the coriander leaves & brocolli stem powder of pound cake crust and crumb(p<0.01). The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tended to reduce, and the cohesiveness decrease in both of powder. The consumer acceptability score for 10% coriander leaves & brocolli stem powder of pound cakes ranked significantly(p<0.01)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in taste, flavor and color. These results showed that coriander leaves & brocolli stem powder are good ingredients to increase the consumer acceptability and the health.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분말 첨가가 sponge cake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Grifola frondosa Powder)

  • 이종숙;김한섭;이윤주;정인창;배종호;이재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00-405
    • /
    • 2007
  •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의 가루를 이용하여 제과시 반죽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제과 적성 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잎새버섯 가루의 일반성분은 수분 8.6%, 탄수화물 36.9%, 조단백질 32.6%, 조지방 1.1%, 조섬유 13.8%, 회 분량은 7.0%이었다. 버섯 가루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스폰지 케이크를 제조한 결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반죽의 비중, 점도과 케이크의 무게는 증가하였다. 스폰지 케이크의 부피 및 비용적, 높이는 버섯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crust와 crumb의 색도는 버섯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경도, 점성, 부서짐성은 버섯 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한 반면에 응집성과 탄력성은 감소하였다. 관능검사에서는 버섯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외관, 색에서의 선호도는 낮았으나 향,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5% 첨가구가 버섯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스폰지 케이크 배합에는 케이크의 부피, 조직감, 관능검사 결과 5% 첨가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 분말을 첨가한 기능성 스폰지 케이크의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Functional Sponge Cakes with Onion Powder)

  • 전순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2-66
    • /
    • 2003
  • 양파의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양파분말을 0, 2, 4, 6, 8, 10%로 첨가하여 스폰지 케이크를 제조하였을 때 제품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고찰하였다 케이크 반죽의 비중과 점도는 양파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수분 함량은 양파분말 4% 첨가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케이크의 높이는 양파분말 2, 4%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케이크 crust의 L, a, b값은 양파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케이크 crumb의 L값은 양파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a값은 대조군, 2 및 4% 첨 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6, 8, 10% 첨가군 사이에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b값은 대조군과 2%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4, 5, 8, 10% 첨가군 사이에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비체적의 경우 양파분말 4% 첨가군이 4.17 cc/g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경도(hardness), 탄력성 (spring-mess), 응집성 (cohesiveness), 검성(gumminess), 씹힘성(chew mess), 복원성(resilience)은 대조군에 비해 양파분말 첨가군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에서는 종합적인 기호도 (overall acceptability)에서 2, 4% 첨가군이 우수하였다.

유기농 인삼 잎을 첨가한 마들렌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deleine Added with Organic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Leaf)

  • 김기쁨;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17-722
    • /
    • 2016
  • 고품질의 안전한 농산물로서 유기농 인삼 잎을 첨가한 마들렌 제조 시 최적 첨가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유기농 인삼잎을 밀가루 대신 0%, 1%, 3%, 5%, 7%의 비율로 첨가하여 유기농 인삼 잎이 마들렌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유기농 인삼 잎을 첨가한 마들렌의 pH와 수분은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마들렌 반죽의 비중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유기농 인삼 잎이 첨가된 7%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굽기손실률은 유기농 인삼 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군과의 유의차가 없었다. 마들렌 crust의 L, a, b 값은 유기농 인삼 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crumb의 L값과 a값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지만 b값은 유기농 인삼 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마들렌의 경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점착성, 씹힘성, 검성과 응집성은 유기농 인삼 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마들렌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평가한 결과 0%(24.79%), 1%(32.77%), 3%(50.49%), 5%(71.54%), 7%(73.87%)로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유기농 인삼 잎을 첨가한 마들렌의 관능검사를 시행한 결과 건강한 이미지와 색에서는 3% 유기농 인삼 잎의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촉촉한 정도, 부드러운 정도와 씹힘성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향미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다른 첨가군보다 3% 유기농 인삼 잎을 첨가한 마들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3% 유기농 인삼 잎의 첨가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생각한다.

김치 첨가 햄버거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amburger Bread Prepared by the Addition of Kimchi Homogenate)

  • 김정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4-38
    • /
    • 2004
  •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가 젖산균 함량이 높고 락트산,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산화탄소와 수소 등의 가스를 생성하는 다양한 젖산균류가 살아있는 특성을 활용해서 김치와 빵을 배합하여 햄버거용 김치빵을 제조한 후 그 물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고 기능성 제빵 제품으로서 상용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김치 파쇄물을 첨가하지 않은 반죽의 pH는 5.58이었으나 7% 첨가구의 경우는 5.30, 14% 첨가구는 5.24, 21% 첨가구는 5.19로서 김치 첨가율이 높을수록 pH는 낮아졌으며 산도는 pH와는 반대로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굽기 손실율은 대조구에 비해 김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10.90%, 8.73%, 6.55%, 5.45%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Loaf volume index는 김치 파쇄물을 첨가한 빵이 대조구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7% 첨가시는 5.4%, 14% 첨가시는 10.8%, 21% 첨가시는 17.2% 증대되어 김치 첨가율이 높아질수록 빵의 부피가 뚜렷하게 증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빵의 hardness는 김치 파쇄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 낮은 결과로 나타났으며 7% 첨가구는 대조구 경도의 80.6%, 14% 첨가구는 56.9%, 21% 첨가구는 51.3%를 나타내었다. 빵의 cohesiveness는 김치 파쇄물의 첨가율이 7∼l4%일 경우는 증가한 반면 21% 첨가구의 경우에는 오히려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 빵의 springiness도 cohesiveness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gumminess는 첨가율의 증대에 따라 다소 감소하였으며 brittleness도 비슷한 감소결과로 나타났다. 김치빵의 외관은 김치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14∼21% 첨가구가 높았다. Crust 색상에 대한 기호도는 대조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내부조직의 색상은 14∼21% 첨가구가 기호도가 높았다. 맛에 대한 기호도는 14>21>7>0% 순이었으며 조직감은 21>14>7>0%의 기호도를, 향미에 대한 기호도는 14>21>7>0%첨가구의 순으로 맛에 대한 기호도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종합적인 기호도는 14>21>7>0%순으로 14%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여러 결과에서 김치 파쇄물을 14%첨가한 구에서 물성 및 관능적 품질특성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기능성 천연물을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1. 뽕잎 분말)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Containing a Functional and Natural Product(1. Mulberry Leaf Powder))

  • 최길용;배종호;한갑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03-70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various amounts of mulberry leaf powder in place of flour. The specific gravity of kneading was maintained at the different amounts of added mulberry leaf powder, which increased at ratios of 5, 10, 15, and 20 percent. The crumb decreased greatly when flour rather than mulberry leaf powder was used. As the amount of mulberry powder increased, red and yellow color decreased in both the crumb and crust. The volume and symmetry indices of the sponge cake slightly decreased when the amount of mulberry powder increased. However, uniform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amples. The specific volume of the cake decreased when the amount of the mulberry leaf powder increased. In addition, mulberry leaf powder increased the degrees of hardness and gumminess of cake, but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for the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of the cake texture. In the consumer acceptability test, the most favorable taste and odor were attained at the 10 percent level of mulberry leaf powder.

  • PDF

김치 분말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Kimchi Powder)

  • 김래영;기미라;김문용;이군자;최현미;전순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40-345
    • /
    • 2005
  • White bread with 1, 2, 3, 4 and $5\%$ Kimchi powder added and control samples were tested for moisture content, volume, height, color, free amino acid content,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Moisture content was about $40.46\~41.35\%$ and increased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Kimchi powder. Volume and height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Kimchi powder content For the crust and crumb color, lightness was decreased, but yellowness and redness were increased as Kimchi powder content increased For free amino acid content, glutamic acid, alanine, serine and leucine were detected in the white bread, and samples with higher content of kimchi powder showed higher amount of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From the sensory analysis, one with $3\%$ kimchi powder got the highest score for flavor, texture, color, moist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