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ding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29초

치열심미지수(DAI)와 악안면 형태와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CRANIOFACIAL MORPHOLOGY AND DENIAL AESTHETIC INDEX(DAI))

  • 최용성;김은경;최현규;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71-88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치열심미지수(DAI)의 10가지 교합적 요소와 악안면 형태와의 상호관계를 단변수와 다변수 통계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는 교정치료를 위해 내원한 영구치열을 가진 182명(남자 79명, 여자 103명)의 치료전 연구모형과 측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으로부터 얻었다. 악안면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서 DiPaolo의 사변형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치열심미지수의 10가지 교합적 요소는 Jenny, Cons 등에 의해 발표된 진단기준에 따라 각 항목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또한 안모의 심미관계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열심미지수의 구성요소중 결손치수, 절치부 총생도, 절치부 공극도, 정중이개량, 상악전치부 최대 변이량등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악안면 형태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2. 치열심지지수의 구성요소중 상악전치부 수평피개량, 하악전치부 수평피개량, 전 후방 구치관계 등은 시상면적 악골관계를 나타내는 골격요소인 MdBL/MxDL, MdLL/MxLL, MdSL/MxSL들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3. 치열심미지수의 구성요소중 전치부 수직 개방교합량은 수직적 악골관계를 나타내는 ALFM/AUFH, MPA, SA등과 미약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4. 교합의 여러 측면을 기초로 한 치열심미지수는 악안면 형태와 무관하였다. 5. 교정치료 필요 유무의 선별 및 부정교합의 심도에 관한 포괄적인 평가에는 어느 특정 지수에 의존하기보다는 교합적 요소와 악안면 골격적 요소 모두에 기초를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지상보수교육강좌 1 - 중장년 성인교정환자의 구강상태 및 치료양태에 관한 연구; 젊은 성인교정환자와의 비교분석 (Oral Status of Middle-aged Orthodontic Patients and Their Treatment Modality; Comparison with Young-aged Adult Patients)

  • 이현정;김진영;조진형;황현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5호
    • /
    • pp.391-406
    • /
    • 2010
  • Orthodontic treatment for middle-aged patients has become more commonplace with various reasons including improved socioeconomic status. Understanding of oral status and treatment modalities of middle-aged patients is mandatory for accurate diagnosis and proper treatment planning. This study investigated 100 consecutive patients aged 40s and 50s and 100 aged 20s who had been examined and diagnosed at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Gender distribution showed female outnumbered male patients in young-aged adult patients, but middle-aged patients showed similar male and female distribution. 2. The major concern seeking orthodontic treatment was esthetics not only in young-aged but also in middle-aged adult patients, and a number of middle-aged patients were concerned about oral health as well. 3. Considerable number of middle-aged patients were referred by other dental specialties while young-aged adult patients were more self-motivated for orthodontic treatment. 4. Middle-aged adult patients had more missing teeth and periodontal disease than young-aged adults. 5. The most frequently-observed problem was dental spacing in middle-aged patients while dental crowding in young-aged adult patients. Middle-aged patients showed higher prevalence of deep overbite and overjet while most of young-aged adults presented opposite direction of problem in overbite and overjet. 6. Limited orthodontic treatment was required rather than comprehensive treatment in middle-aged patients, and the most common tooth moving area was anterior part of dentition in case of limited treatment. Need of interdisciplinary therapy with other dental specialties was more common in middle-aged patients. 7. Intervention of specific technique such as invisible TP, passive bracketing, passive wire bonding, and lingual orthodontics was more required in middle-aged patients. Considering that middle-aged patient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n young-aged adul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different treatment modalities are required in middle-aged orthodontic patients in order to manage them properly and efficiently.

양측성 고정원을 이용한 이소 맹출의 치료에 대한 증례 보고 (CORRECTION OF ECTOPIC ERUPTION WITH BILATERAL ANCHORAGE : REPORT OF CASES)

  • 안성인;선예경;심연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46-452
    • /
    • 1999
  • 제 1 대구치의 이소 맹출이란 제 1 대구치가 비정상적인 맹출 경로를 취해 제 2 유구치의 비정상적인 조기 흡수를 일으키는 경우를 뜻한다. 비가역적 이소 맹출의 경우 제 2 유구치의 조기상실은 공간 상실, 제 1 대구치의 근심 경사, 제 2 소구치의 함몰, 총생과 대합치의 과맹출등을 야기시킨다. 치료의 주목적은 (1) 제 2 유구치의 조기 상실을 막아 공간 유지의 역할을 하게하고 (2) 상실된 치열장을 회복해 제 2 소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을 돕는 것이다. 치료 방법은 제 1 대구치의 맹출 정도, 제 1 대구치의 위치 변화, 제 1 대구치가 걸려있는 제 2 유구치의 enamel ledge양, 제 2 유구치의 동요도, 동통이나 염증의 유무에 의해 결정된다. 제 1 대구치의 근심 경사의 치료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편측성 장치는 결과적으로 공간 상실을 증가시키는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원의 보강을 위해 holding arch와 같은 양측성 고정원의 사용이 추천되고 있다. 본 증례 보고는 삼성 서울 병원을 내원한 환아중 제 1 대구치의 비가역적 이소 맹출로 제 2 유구치의 치근 흡수와 동요도 증가를 보이는 환아에서 양측성 고정원을 이용한 장치를 사용해 제 2 소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유지할수 있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상악정중부 과잉치의 양태와 병발증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EATURES OF MESIODENS AND COMPLICATIONS)

  • 이윤석;김정욱;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75-283
    • /
    • 1999
  • 저자는 1996년 4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상악정중부 과잉치를 지닌 혼합치열기 및 영구치열기 아동 15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환아의 연령, 성별과 상악정중부 과잉치의 보유수, 맹출여부, 치관 형태, 위치, 치관 방향과 병발증을 조사하고 상악정중부 과잉치의 양태와 병발증의 상관관계를 chi-square analysis를 이용해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정중부 과잉치로 인한 병발증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31.6%, 인접 영구전치의 맹출 지연을 야기한 경우가 33.6%, 정중이개가 22.4%, 회전이 8.6%, 전위가 3.3%, 총생이 0.7%이었다. 2. 8.5세 이상 군에 비해 8.5세 미만 군에서 병발증 발생 빈도가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P<0.05), 상악정중부 과잉치가 설측에 위치한 경우에 비해 협측이나 치궁내 위치한 경우에 병발증 발생 빈도가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1). 또 결절형인 경우에 병발증 발생 빈도가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3. 병발증이 나타난 1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5세 미만 군에서 맹출지연의 빈도가, 8.5세 이상 군인 경우에는 부정교합의 빈도가 유의성 있게 높았고(P<0.05), 상악정중부에 위치하는 경우 부정교합의 빈도가, 편위된 경우에는 맹출지연의 빈도가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1).

  • PDF

작은 치아종으로 인한 맹출 장애 (ERUPTION DISTURBANCE ASSOCIATED WITH A SMALL ODONTOMA)

  • 송지현;이광희;라지영;이동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90-497
    • /
    • 2007
  • 치아종은 느린 성장을 보이는 치성기원 양성종양으로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 그리고 치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치성종양의 22%를 차지한다. 치아종은 일반적으로 무증상이기 때문에 치과 치료를 위한 일상적인 방사선 검사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영구치의 맹출지연이나 유치의 만기잔존 및 인접치아의 위치이상 등을 유발한다. 치아종의 방사선학적 소견은 일반적으로 방사선 투과성대로 둘러싸인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관찰된다. 그러나 방사선 불투과상이 분명하지 않거나 매우 작은 치아종의 경우 치아의 상과 중첩될 수 있으며 발생 초기에 발육하는 힘에 의해 치아 맹출이 방해받을 수 있다. 따라서 맹출지연을 보이는 치아를 발견하면 즉시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관찰되는지 확인한다. 또한 치아종은 치아의 발육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따라서 맹출지연을 보이는 경우 첫 방사선 검사시에는 치아종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관찰될 수 있으므로 치근단 방사선 사진에서 불투과성 물질이 확인되지 않더라도 지속적인 방사선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본 증례는 영구치의 맹출지연 및 회전을 주소로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에 있어서 치아의 정상적인 맹출 및 배열을 방해하는 작은 치아종을 발견하여 외과적으로 적출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Effects of temporary and periodic emersion on the growth of Fucus spiralis and Pelvetia canaliculata germlings

  • Kim, Bo-Yeon;Park, Seo-Kyoung;Norton, Trevor A.;Choi, Han-Gil
    • ALGAE
    • /
    • 제26권2호
    • /
    • pp.193-200
    • /
    • 2011
  • The stress tolerance ability of Pelvetia canaliculata (L.) Dcne. Et Thur. and Fucus spiralis L. to temporary and periodic emersion stress was examined in order to test the following hypotheses: The upper shore alga, P. canaliculata is more tolerant to desiccation than F. spiralis in the germling stage and the former outgrows the latter under desiccation stress; Germling stress tolerance of the two species is age-specific; Crowding of germlings protects them from desiccation, irrespective of the species involved. Germling growth of the two species was retarded with increasing exposure period and was age-specific, as they were air-exposed at an earlier stage. After 16 days, the length of Pelvetia germlings was similar between 2-day-old germlings (125-140 ${\mu}m$) and 7-day-old germlings (134-140 ${\mu}m$), which were air-exposed during the same period (0, 6, 12, 24, 48, and 72 h) at the two different ages. However, Fucus germlings were significantly larger at 7-day-old germlings (211-277 ${\mu}m$) than at 2-day-old germlings (184-278 ${\mu}m$), especially in the treatments of 48 and 72 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uscus grow faster than Pelvetia and that the growth response of germlings to temporary emersion stress is more sensitive in Fucus than that in Pelvetia. Growth of germlings of both species was reduced with increasing density under favorable growth conditions (submerged control and 6 h / 12 h exposure treatments) in the periodic air-exposed experiments using tidal tanks, but was enhanced under severe emersion stress conditions. P. canaliculata showed better growth at 6 h exposure treatment than that of the control, under continuous submergence, indicating that Pelvetia germlings require a periodic exposure period. Fucus germlings always grew faster than those of Pelvetia and did best in mixed cultures, whereas Pelvetia did least well when mixed with Fucus germlings. The adverse effects of F. spiralis on P. canaliculata were greater than those of Pelvetia cohorts. The outcome of interspecific competition between F. spiralis and P. canaliculata gemlings was slightly altered by exposure period but not to such an extent as to change the outcome.

개에서 단일 통로 유연 내시경 담낭 절제술 : 유용성 연구 (Single Incision Flexible Endoscopic Cholecystectomy in Dogs : Feasibility Study)

  • 이소연;신범준;정성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55-56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중 소형견에서 1개의 복강경 통로를 통한 내시경적 담낭 제거술을 실시함으로써, 개에서 최소 침습적 수술로 담낭 절제술을 실시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동물로 총 3마리의 수컷 비글견 ($10.3{\pm}0.62$ kg)을 이용하였으며 배꼽 주위에 하나의 절개창을 만든 후 단일 통로 내시경 시스템을 장착하였다. 이 시스템을 통해 내시경과 Maryland 복강경용 겸자로 담낭을 견인, 제거하였다. 3마리 모두 성공적으로 담낭 절제술을 실시하였으며, 수술 후 감염과 같은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술전, 술후를 비교한 혈액, 혈청 검사상에서도 특이적인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술후 7일 후에 이루어진 부검 소견에서도 출혈 및 담즙의 유출 및 복막염 등과 같은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단일 통로를 이용한 내시경 유도하 담낭 절제술은 중소형견에서 실시할 수 있는 복강 수술 방법 중 최소한의 절개를 통해 비침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유용한 수술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구개측 미니플래이트를 이용한 양악 치아치조성 전돌환자에서의 설측 Biocreative therapy 적용 (Severe bidentoalveolar protrusion treated with lingual Biocreative therapy using palatal miniplate)

  • 정규림;정도민;박현정;김성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76-287
    • /
    • 2010
  • 본 증례보고는 심한 양악 치아치조성 전돌과 전치부 치열밀집을 보이는 23세 8개월 여자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변형된 형태의 설측 교정치료법인 설측 Biocreative therapy 치료를 소개하고자 한다. 양악 제1소구치 발치 후 구개천장에 식립된 C-플래이트에 lingual sheath가 달린 보조장치를 접착하여 상악구치부에 장치부착 없이 튜브역할을 대신하게 하였으며 상악 전치부의 decrowding과 견인을 위하여 설측 교정용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0.022 슬롯을 가진 순측 브라켓을 치아 설면에 부착한 후 납착된 설측 레버암을 이용하여 상악 전치부의 3차원적인 견인을 시행하였으며, 견인 후 finishing 기간동안 tooth positioner를 사용하였다. 상악 구치부의 장치부착 없이도 총 치료기간은 19개월 소요되었고, 안정적인 교합관계와 안모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장치 제거 후 13개월 유지 후에도 양호한 결과가 유지되었다.

한글 글자 유형이 시각 폭과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yllable complexity on the visual span of Korean Hangul reading and its relation to reading abilities)

  • 최영은;김태훈
    • 인지과학
    • /
    • 제27권2호
    • /
    • pp.325-353
    • /
    • 2016
  • 읽기의 초기 단계에서 처리되는 글자의 정보량을 지칭하는 시각 폭은 개별 글자의 획수가 증가하거나 폰트의 종류, 고정된 지면에서 차지하는 잉크의 면적, 글자 간의 간격과 같은 복잡성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들이 조합되는 독특한 알파벳-음절 표기법을 사용하는 글자 체계를 가지고 있어 영어나 중국어를 중심으로 한 결과들에 비해, 자모구성의 글자 유형에 따라서도 복잡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특수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글자 쌍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글자의 유형에 따라 한글 읽기 시각 폭의 크기가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여러 글자 유형의 시각 폭 중 읽기 능력의 개인차를 예측하는 글자 유형을 확인해보고자 시각 폭과 읽기 폭, 읽기 유창성, 읽기 이해와의 상관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글자 유형이 복잡해질수록 글자 재인 정확률이 감소하고 시각 폭이 줄어드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자음+모음+자음의 형태가 자음+모음 형태보다 글자 재인율이 높고 시각 폭도 큰 것으로 나타나 자모조합의 복잡성에 따른 영향이 선형적이지 않고 다른 요인이 개입할 가능성이 관찰되었다. 자음만 제시한 조건과 CV조건의 글자 재인율은 읽기 이해와 정적 상관을 보여 향후 읽기 능력과 관련한 시각 폭 측정 시 사용할 수 있는 글자 유형으로 나타났다.

개발 밀도의 변화 분석과 환경규제 갈등 예측 -평창을 사례로- (Analysis of the Change in Density of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Restrictions Conflict Prediction in Pyeongchang)

  • 배선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82-291
    • /
    • 2009
  • 본 연구는 1915년과 2005년의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규제와 관련된 공간 갈등을 예측하고자 한 연구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인 평창의 상대적인 공간 밀도의 차이와 그에 따른 환경규제 갈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지역의 건물 밀도를 이용하여 공간구조를 분석한 결과 1915년과 비교하여 2005년의 건물 집적 정도가 강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변화 유형은 신규로 거점을 형성하고 성장한 유형, 인접한 중심 거점으로의 집중이 진행된 유형, 세력이 전반적으로 약화된 유형,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 유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연구지역에서 예상되는 환경규제의 장 단기적 갈등을 분석한 결과 진부면 일대와 평창읍의 도시 외곽지역, 그리고 31번 국도변 등은 장 단기적으로 개발과 보전의 갈등이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리고 대관령면은 단기적으로는 갈등이 크지만 장기적으로는 갈등이 약화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방림면은 현 시점에는 갈등이 약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의 공간 갈등을 최소화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