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linking density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3초

$\gamma$-선 조사에 의한 LDPE, LLDPE의 가교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rosslinking Characteristics of LDPE and LLDPE by $\gamma$-Ray Irradiation)

  • 김정일;박성현;강필현;노영창
    • 폴리머
    • /
    • 제25권5호
    • /
    • pp.657-66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수지의 가교율 향상을 위하여 가교제를 첨가한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수지의 가교에 있어서 ${\gamma}$-선 조사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LDPE와 LLDPE 시편들은 가교제와 혼합하여 13$0^{\circ}C$의 hot-press mold에서 sheet 형태의 준비하였다. ${\gamma}$-선은 질소분위기에서 50부터 150 kGy로 변화시키며 조사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시편을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선량, 가교제의 종류에 따른 가교율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가교에 따른 기계적 특성, 열안정성과 결정차도의 변화도 평가하였다. 그 견과 방사선 조사선량이 크고, 가교제가 첨가되면 가교율은 상승하였다. 그것과 비례하여 물리적 성질과 열적인 성질도 개선되었다. 그리고 방사선 조사에 의해서 순수한 수지의 겔화율이 증가하면 결정화도는 감소하였다.

  • PDF

설폰산기를 함유한 PVA막의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응용 (Poly(vinyl alcohol) Membranes Containing Sulfonic Acid Group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Application)

  • 이영무;이선용
    • 멤브레인
    • /
    • 제14권3호
    • /
    • pp.240-24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polyvinylalcohol(PVA)의 hydroxyl 작용기와 sulfosuccinic acid (SSA)의 carboxylic acid 작용기의 반응을 통하여 열가교된 PVA막을 제조하였다. 설폰산기를 함유한 SSA는 PVA 매트릭스에 대한 가교제의 역할뿐만 아니라 수소이온의 전도도를 높이는 역할 모두를 수행하였다. PVA의 가교도(degree of crosslinking)는 SSA의 함량으로 조절하였고 가교밀도(crosslinking density)는 극성 및 비극성 용매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Xylene 및 benzene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사용한 경우 가교밀도는 SSA함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물과 methanol과 같은 극성 용매를 사용한 경우 가교밀도는 SSA함량 20%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함량에서는 설폰산기의 영향으로 감소하였다. 가교도와 확산계수, 기계적 물성 및 전도도, 메탄올 투과도 등에 대한 PVA막의 특성을 평가하였고 이들 특성은 SSA함량에 의존하였다.

Characteristics of Heat Shrinkable High Density Polyethylene Crosslinked by ${\gamma}$-Irradiation

  • Kang, Phil-Hyun;Nho, Young-Cha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184-191
    • /
    • 2001
  • The effects of ${\gamma}$-irradiation on the crosslinking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was investigat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suitable formulation for heat shrinkable materials. In this study the HDPE specimens were prepared by blending with cross linking agents and pressed into a 0.2 mm sheet at 18$0^{\circ}C$. ${\gamma}$-irradiation was conducted at 40 to 100 kGy in nitrogen. The heat shrinkable property and thermal mechanical property of the HDPE sheets have been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crosslinking of the irradiated HDPE samples were increased with irradiation dose. Compared with the HDPE containing triallylisocyanurate, the HDPE containing 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 shows a slight increase in crosslinking density. The heat transformation and dimension change of HDPE decreased with increasing radiation dose. The heat shrinkage of the samples increased with increasing annealing temperatures. The thermal resistance of HDPE increased upon the crosslinking of HDPE.

  • PDF

가황조건별 배합고무의 가교밀도와 고무보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rosslinking Density and Reinforcement of Rubber Compounds by Cure System)

  • 박남국;이석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3권5호
    • /
    • pp.315-323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카본블랙 첨가량 변화, 가황조건 및 가황시스템 변화에 따른 배합고무의 가교밀도 및 고무보강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결합고무량은 배합고무중 카본블랙 체적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총가교밀도는 결합고무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가황반응 속도상수는 가황온도 및 가황시스템에 따라 현저하게 변화하였으며, 특히 가황온도에 강한 의존성을 나타내었다. 가황반응의 활성화에너지는 카본블랙 첨가량이 많고 EC 가황시스템이 적용된 배합고무 또는 카본블랙 첨가량이 적고 CC 가황시스템이 적용된 배합고무에서 높게 나타났다. 가황된 배합고무중 가장 높은 총가교밀도는 카본블랙 첨가량이 적고 가황시스템중 CC 가황시스템이 적용된 배합고무에서 나타났으며, EC 가황시스템에 의한 총가교밀도의 뚜렷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Mooney-Rivlin식에 의한 가장 높은 탄성상수는 카본블랙 첨가량이 적고, SEC 가황시스템이 사용된 배합고무에서 나타났다. 모듈러스는 배합고무중 카본블랙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가황시스템별 영향은 SEC>CC>EC 시스템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재활용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가교에 의한 물성 향상 연구 (Enhancement of Physical Properties in Partially Crosslinked Waste High Density Polyethylene)

  • 이종록;이동근;홍순만;강호종
    • 폴리머
    • /
    • 제31권1호
    • /
    • pp.25-30
    • /
    • 2007
  • 재활용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에 Perbutyl peroxide(PBP)를 첨가하여 반응 용융가공에 의한 가교 특성 및 물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재활용 HDPE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이물질의 성분을 ED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수지의 재활용 시 포함된 유, 무기물이 가교 반응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또한 물성 측정을 통해 재활용 가교 HDPE가 신재 HDPE와 비교하여 낮은 밀도, 용융엔탈피 그리고 높은 용융점도를 가짐으로 보아 상대적으로 신재 가교 HDPE에 비하여 가교가 더 잘 일어남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재활용 HDPE의 가교 특성은 가교에 의한 재환용 HDPE의 기계적 물성 증가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구형 페놀수지 입자의 크레졸을 이용한 가교조절 및 탄화물성 변화 (Crosslinking Density Control and Its Carbonization Characteristics of Spherical Phenolic Resin Particles by Using Cresol as Comonomer)

  • 한동석;김홍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4호
    • /
    • pp.618-623
    • /
    • 2020
  • 구형 페놀수지 입자 및 상대적으로 가교밀도가 낮은 구형 페놀-크레졸 공중합체 수지를 페놀, ortho-크레졸, 및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염기성 촉매인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의 존재 하에 98 ℃에서 현탁중합을 통하여 합성하였다. 페놀은 두 개의 ortho 및 한 개의 para 위치에서 포름알데히드와 반응하여 가교구조를 형성하지만 ortho-크레졸은 선점된 하나의 ortho 위치의 methyl 기로 인하여 공중합 시 가교 밀도를 저하시킨다. 그 영향으로 700 ℃ 질소 환경에서의 탄화 시 구형 페놀수지 비드에 비해 구형 페놀-크레졸 공중합체 수지의 경우 겉보기 밀도의 감소와 함께 수축율의 증가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크레졸 올리고머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탄화 된 공중 합체 비드의 기공 반경이 감소하여 밀도 및 수축 결과와 일치 하였으며, 크레졸을 이용하여 구형 페놀수지 입자의 가교도를 조절함으로써 탄화과정에서의 밀도 감소율이 약 3~6%포인트 증가되고, 수축율은 약 6~20%포인트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Silane 가교 PE의 가교조건에 따른 열적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os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Silane Crosslinked Polyethylene Prepared by Various Crosslinking Conditions)

  • 손호성;서경도
    • 공업화학
    • /
    • 제5권6호
    • /
    • pp.1036-1043
    • /
    • 1994
  • 폴리에칠렌을 가교시키는 방법으로서 silane에 의한 가교를 행하였다. Silane 가교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200{\sim}210^{\circ}C$ 용융온도에서 반응압출시켜 vinyltrimethoxysilane(VTMOS)를 PE 주쇄에 그라프트시킨 후, 3가지 silane 가교조건($80^{\circ}C$ 온수가교, $80^{\circ}C$ air oven 가교, 상온대기방치 가교)으로써 물 또는 수분에 노출시켜 가교를 완성하였다. Silane 가교된 폴리에칠렌의 결정 용융온도(Tm)의 변화, 밀도의 변화, 가교의 속도 거동을 측정하여 수지의 silane 가교조건에 따른 열적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Silane 가교는 용융상태의 고온에서 가교시키는 과산화물 가교와는 달리 고체상태에서 가교가 일어나기 때문에 그 가교조건에 따라 결정용융온도, 결정도 및 결정성장, 가교속도, 밀도의 변화가 다르고 수지의 종류도 열적특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았다. 상온대기방치 가교된 silane 가교 linear low density polyehylene(LLDPE)은 결정이 성장되면서 서서히 가교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DSC에서 2차 용융 피크가 생성되지 않았으며, 재결정화하면 결합된 가교 site의 결정화 방해현상에 의해 결정용융온도가 낮아지는 거동을 나타내었다.

  • PDF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the Asphalt Binder with Low-heat and Crosslink Structured Additive

  • Eun Kyoung Lee;You Kyoung Kim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7권4호
    • /
    • pp.222-230
    • /
    • 2022
  • In this study, a low-heat additive with a crosslink structure was dispersed in asphalt to simultaneously lower the production temperature of, and to modify the asphalt binder. This low-heat additive was prepared by different feeding ratios of styrene-butadiene-styrene (SBS) and polyvinylchloride (PVC) as polymer modifiers, and ZnO as a crosslinking agent. In order to confirm the crosslinking density and compatibility of the crosslink structured low-heat additive with asphalt, surface free energy, swelling ratio,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arameters were carefully investigated to examine this relationship, and the role of the crosslink structured low-heat additive. In addition, by measuring the penetration and softening point of the asphalt binder, it was confirmed that it corresponds to PG 64-22. With increasing ZnO in the crosslink structured low-heat additive, the swelling ratio decreased, leading to an increase in crosslinking density. The crosslink structured low-heat additive and the asphalt binder were found to be compatible with each other by DSC and SEM analysis.

Gelation of silk fibroin solution via β-sheet formation promoted by riboflavin-mediated photo-crosslinking

  • Choi, Jaeho;Ki, Chang Seo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5권1호
    • /
    • pp.12-16
    • /
    • 2022
  • Di-tyrosine photo-crosslinking of silk fibroin (SF) is recently highlighted as a biocompatible hydrogel fabrication process, because this method does not need potentially harmful chemical species. However, the resulting crosslinking density is often insufficient to obtain a mechanically stiff hydrogel unless additional oxygen is provided during the reaction. In this study, we proposed a combinational crosslinking method to form an SF hydrogel via the di-tyrosine photo-crosslinking with riboflavin (photoinitiator) and physical interaction of SF chains. In the UV light-irradiated SF solution, small particles formed and these particles promoted β-sheet formation of SF molecules, resulting in quick gelation. The di-tyrosine photo-crosslinking produced nuclei that might trigger regular assembly of SF molecules in high temperature condition. Conclusively, this process would contribute to a development of biocompatible hydrogel fabrication for biomedical uses of SF hydrogels.

유화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Rubber (CSM)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mulsified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Rubber (CSM))

  • 최세영;이은경;최교창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0권1호
    • /
    • pp.12-2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CSM 에멀젼의 물성을 향상시키고자 금속성 가교제인 magnesium carbonate 및 calcium hydroxide를 첨가하여 가교밀도, 열적특성, 표면자유에너지 그리고 인장강도, 파단신율 및 인열강도 특성을 고찰하였다, 금속성 가교제인 magnesium carbonate 및 calcium hyroxide 양이 증가함에 따라 CSM 에멀젼 필름은 가교밀도는 증가하였고, 이에 내수성과 $T_g$ 값도 증가하였다. 금속성 가교제로 magnesium carbonate를 첨가하였을 때 calcium hydroxide에 비해서 다소 높은 가교밀도와 $T_g$ 값을 보였다. 하지만 CSM 에멀젼 필름의 표면에너지 및 기계적 특성들은 다소 다른 거동을 보였다. Magnesium carbonate 0.75% 그리고 calcium hydroxide 1.0% 첨가한 경우가 가장 높은 표면 자유에너지 값과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보였으나, 그 이상의 양을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오히려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CSM 에멀젼의 물성을 향상시키는데 적용되는 금속성 가교제로서 calcium hydroxide 보다 magnesium carbonate가 더 적당하며, 0.75% 첨가하였을 때 보다 향상된 물성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