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 tunnel

검색결과 466건 처리시간 0.034초

소단면 기존 철도터널에서 통풍공 개수에 따른 터널내 풍압변동 저감효과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air-shafts on reducing the pressure fluctuations in the tunnel with small cross sectional area on conventional line)

  • 김동현;강부병;이재환;신민호;이성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2-389
    • /
    • 2000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for reducing pressure fluctuations in tile case of installing tile air-shafts on the side wall of the tunnel with small cross-sectional area on conventional lin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a 1/61-scale moving model rig for the tunnel of 0.764km length in the condition of tunnel cross-section area of 28 ㎡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aximum pressure fluctuation is reduced by 45% for 19 air-shafts. This results have the speed-up effects of about 33.4km/h for the train running in tunnel.

  • PDF

실내모형실험을 통한 교차터널의 보강영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ea of Reinforcement in the Cross Tunnel by Laboratory Model Test)

  • 정혁상;홍종욱;백승인;천병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4C호
    • /
    • pp.129-137
    • /
    • 2012
  • 최근 도심지에서 터널이 인접하여 시공하는 사례가 흔해지면서 특수하게 신설터널과 기존터널이 교차되는 터널들에 관한 설계 및 시공에 관한 연구들이 속속들이 발표되고 있다. 터널이 상호 교차되어 시공될 경우 기존터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로는 터널 간 이격거리, 상대적인 위치 관계, 신설터널의 크기, 신설터널의 시공방법 지형 및 지질조건, 기존터널 라이닝 구조와 건전도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모형 실험을 통하여 신설터널 굴착에 따른 기존터널의 종방향 침하 경향 분석 및 신설터널의 상 하 위치변동에 따른 기존터널의 종방향 침하 경향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교차부에서 신설터널 굴착에 따른 기존터널의 변위 분포에 관한 경향 분석 및 기존터널의 변형률 분포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신설터널이 기존터널 하부를 통과하는 경우 터널직경의 기준으로 좌우측 각각 1D 이내의 보강영역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신설터널과 기존터널의 교차부에서는 신설터널의 굴착 영향이 기존터널에 먼저 미치는 영역부터 보강을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항하부 토사 병설 쉴드터널에서 대구경 강관추진에 의한 횡갱 설계/시공사례 연구 (Case study on design and construction for cross-connection tunnel using large steel pipe thrust method in soil twin shield tunnels underneath airport)

  • 안창윤;박두희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325-337
    • /
    • 2021
  • 도로와 철도터널에서는 비상시 대피를 위한 시설이 필수적이며, 제연 및 화재 진압을 위한 설비와 승객의 피난 통로가 그것이다. 장대 병설터널에서는 횡갱을 배치하여 화재 발생 반대편 터널로 대피하도록 계획된다. 병설 쉴드터널에서는 횡갱의 시공을 위해 기 시공된 본선터널의 영구 구조물인 세그먼트 라이닝을 철거하여 원지반을 노출하여야 한다. 현대의 대부분의 쉴드TBM이 막장을 격벽으로 차단한 폐쇄형 쉴드TBM임을 감안할 때, 원지반이 노출되는 횡갱의 시공은 쉴드터널의 시공단계에서 위험도가 높은 과정 중 하나이다. 특히, 지하수위 아래의 토사 쉴드터널의 횡갱 시공에서는 세그먼트 철거 및 굴착 중 토사지반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차수 및 굴착공법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본 사례 연구에서는 토사지반에서 대구경 강관추진을 활용한 횡갱 굴착 공법의 시공 중 유의사항을 소개하고 시공 후 계측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사례 연구에서 소개되는 횡갱 굴착공법은 그라우팅으로 보강된 토사지반에 대구경 강관 추진 후 내부 굴착하는 공법으로써, 두 가지 메커니즘에 의해 토사지반에서 굴착 중 막장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첫 번째는 대구경 강관을 추진하여 막장 전방 토사지반의 전주면을 강관에 의해 선 지보 한다. 두 번째는 대구경 강관 추진으로 내부로 압입된 토사의 Plugging 효과에 의해 막장 전면의 지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추진력에 의한 강관의 변형 및 강관의 관통 완료 후 응력발생 계측결과로부터 대구경 강관 추진에 의한 횡갱 굴착공법이 토사지반에서 충분한 시공성과 안정성을 확보함을 확인하였다. 본 사례 연구의 토사 쉴드터널의 횡갱 시공공법은 유사한 현장조건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터널 단면적 변화를 고려한 각부보강 영향성 평가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Elephant Foot Method considering the rate of Changes in Tunnel Cross Section)

  • 이길용;오현문;조계환;오정호;김종주;김용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11-118
    • /
    • 2018
  • 단층 등 취약지반 조건에서의 터널굴착 시 터널천단 및 측벽변위의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각부보강공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터널 단면증가 변화율에 따른 각부보강공 설치각도 및 길이를 고려한 지보안전성 확인을 위한 주요 인자로서 내공변위 천단침하 각부침하 각부축력 등의 여러 응력변위 특성 변수들이 있다. 이러한 굴착중 안전성확인을 위한 변수들에 대한 검토 결과, 우각부 침하영향성이 단면증가율 보다 더 큰 변위경향을 보이는 가장 중요한 중점관리 지배요소로 분석되었으며, 터널단면 증가 변화율에 대한 각 보강공 길이별 축력의 변화관점에서는 큰 연관성을 보여주지 못하는 터널단면 증가율 대비 작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또한, 각부 보강공 축력의 발생경향은 터널 단면증가율보다 보강공 마찰지지 개념 메커니즘에 따른 거동 영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일정한 길이의 각부 보강공이 선정될 경우 지반불량 구간에서의 터널 단면이 다소 대단면화하여도 무리하게 각부보강공의 길이를 연장시키지 않는 것이 시공성 및 경제성을 고려한 보다 더 합리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TBM 도로터널의 단면특성 및 하부공간 활용을 위한 유효면적 검토 (A study on cross sectional characteristics and available area for using the lower space in TBM road tunnels)

  • 김현수;김홍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41-157
    • /
    • 2012
  • TBM 공법 적용을 위한 도로터널 단면의 국내 외 설계사례와 시공사례 및 터널단면 설계기준을 조사 분석하였다. 교통량에 따라 차로수의 규모 및 내부형상(단층 혹은 복층)이 상이하였고, 상 하부의 여유공간은 환기, 방재시설 및 유지관리 공간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BM도로터널의 구성요소별 면적비를 확인하기 위하여 2차로 규모의 표준단면을 가정하고, 길어깨 폭원변화에 따른 내공단면 구성요소(시설한계 수용공간, 상부여유공간, 하부여유공간)의 단면적비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도로터널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차도 슬래브의 지지형식별 소요두께를 구조해석을 통하여 산정하였고, 산정된 벽체 및 슬래브 두께와 하부 여유공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유효단면적 범위를 제시하였다.

호남고속철도 터널 단면선정을 위한 미기압파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icro Pressure wave for the optimum cross-section design in Honam high speed railway)

  • 김선홍;문연오;석진호;김기림;김찬동;유호식
    • 한국암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암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1-68
    • /
    • 2008
  • 고속열차의 터널 진입시 발생하는 압력파는 압축파의 형태로 터널내부를 전파하여 터널출구에 도달할 때에는 펄스형태의 충격성 압출파로 방사된다. 터널에서 방사된 압축파는 특정한 방향으로 전파되는 것이 아니라 전방향으로 확산되며, 압축파의 크기가 크면 주변 환경에 대한 환경소음 및 진동문제를 야기하게 되는데, 이를 미기압파(Micro Pressure wave)라 한다. 이러한 미기압파는 열차의 주행속도, 터널연장, 터널 및 열차의 단면적 등에 의존하므로 고속철도 터널의 적정단면을 결정하기 위하여 반드시 고려해야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호남고속철도 단면결정사례를 통하여 단면규모별 수치해석결과에 의한 미기압 기준 만족여부 및 최적단면선정과정을 소개하였다. 호남고속철도의 단면결정사례에서는 경부고속철도 화신 5 터널에서 터널내 압력 및 터널 출구에서의 미기압을 실측하여, 수치시뮬레이션의 입력조건으로 사용된 각종 매개변수 등의 적정성을 비교 검증하였으며, 모형실험을 통하여 합리적인 미기압과 저감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

Pressure Measurement in Carpal Tunnel Syndrome : Correlation with Electrodiagnostic and Ultrasonographic Findings

  • Ahn, Seong-Yeol;Hong, Youn-Ho;Koh, Young-Hwan;Chung, Yeong-Seob;Lee, Sang-Hyung;Yang, Hee-Ji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6권3호
    • /
    • pp.199-204
    • /
    • 2009
  • Objective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carpal tunnel pressure (CTP), electrodiagnostic and ultrasonographic findings in patien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CTS). Methods : CTP was measured during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ECTR) for CTS using Spiegelberg ICP monitoring device with parenchymal type catheter. Neurophysiologic severity and nerve cross sectional area were evaluated using nerve conductive study and ultrasonography (USG) before ECTR in all patients. Results : Tests were performed in a total of 48 wrists in 39 patients (9 cases bilateral). Maximum CTP was $56.7{\pm}19.3$ mmHg ($Mean{\pm}SD$) and $7.4{\pm}3.3$ mmHg before and after ECTR, respectively.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aximum CTP and either neurophysiologic severity or nerve cross sectional area, whereas we foun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atter two parameters. Conclusion : CTP was not correlated with neurophysiologic severity and nerve cross sectional area. Dynamic, rather than static, pressure in carpal tunnel might account for the basic pathophysiology of CTS better.

Flow characteristics after water inrush from the working face in karst tunneling

  • Wu, J.;Li, S.C.;Xu, Z.H.;Pan, D.D.;He, S.J.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4권5호
    • /
    • pp.407-419
    • /
    • 2018
  • In order to investigate flow characteristics after water inrush from the working face in process of karst tunnel construction, numerical calculation for two class case studies of water inrush is carried out by using the FLUENT software on the background of Qiyueshan tunnel. For each class water inrush from the tunnel face, five cases under different water-inrush velocity are simulated and researched. Three probing lines are selected respectively in the left tunnel, cross passage, right tunnel an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unnel centerline.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velocity and pressure on each probing line under the five water-inrush velocities are analyzed. As for the selected four groups probing lines in the tunnels, the change rules of velocity and pressure on each group probing lines under the same water-inrush velocity are discussed. Finally, the water flow characteristics after inrush from the tunnel face are summarized by comparing the case stud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1) The velocity and pressure change greatly at the intersection area of the cross passage and the tunnels. (2) The velocity nearby the tunnel side wall is the minimum, while it is the maximum in the middle position. (3) The pressure value of every cross section in the tunnels is basically fixed. (4) As water-inrush velocity increases, the flow velocity and pressure in the tunnels also increase. The former is approximately proportional to their respective water-inrush velocity, while the latter is not. The research results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making scientific and rational escape routes.

이명감 특성을 고려한 호남고속철도 터널단면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cross-section design that satisfies the criteria of aural discomfort in Honam high speed railway tunnel)

  • 김선홍;문연오;석진호;김기림;김찬동;유호식
    • 한국암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암반공학회 2007년도 특별심포지엄 논문집
    • /
    • pp.19-36
    • /
    • 2007
  • 열차가 고속으로 터널을 주행하는 경우, 터널내부의 압력변동은 곧 차량내부의 압력변동으로 전달되어 승객의 귀를 아프게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이명감이라 하며, 이명감은 승객의 불쾌감을 증가시켜 서비스 수준을 저하시키고, 심할 경우 승객의 귀를 손상시킬수 있으므로 고속철도 터널설계시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이에, 국내 및 해외 고속철도의 경우, 이명감 기준을 수립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개인의 주관적 차이 및 승객에 대한 서비스 수준의 차이 등에 따라 서로 상이한 기준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외 이명감 기준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호남고속철도의 터널단면을 검토하였다. 또한, 경부고속철도를 운행하는 열차의 터널통과시 압력변동량을 측정하여, 수치시뮬레이션 입력조건으로 사용된 각종 매개변수 등의 적정성을 비교 검증하였다.

  • PDF

철도터널 통풍공의 공기역학적 성능에 대한 연구 (The study for the aerodynamic effects of air-shafts in the railway tunnel)

  • 김동현;강부병;신민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E
    • /
    • pp.341-348
    • /
    • 2001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for reducing pressure fluctuations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air-shafts on the side wall of the tunnel with small cross-sectional area on conventional lin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a 1/61-scale moving model rig for the tunnel of 0.764 km length in the condition of tunnel cross-section area of $28 m^2$.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aximum pressure fluctuation is reduced by 45 % for 19 air-shafts. This results have the speed-up effects of about 33.4 km/h for the train running in tunn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