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ps association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3초

국내 채소 종자산업 활성화를 위한 중국 광동성 및 운남성 채소 종자시장 현황 조사 (Survey on current status of vegetable seed markets of Guangdong and Yunnan provinces in China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vegetable seed industry)

  • 곽정호;윤무경;박수형;김대영;정승룡;신현호;이상길;임용표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4호
    • /
    • pp.491-496
    • /
    • 2012
  • Vegetable seed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 factors to determine the way of vegetable's production, distribution, processing and storage. Unfortunately, because of international exchange crisis in 1997, the most of main Korean seed companies were merged into foreign capitals. Currently, many domestic seed companies are incapable of their own survey and development of vegetable seed markets in foreign countries. To provide valuable seed market information for these companies, China, especially Yunnan and Guangdong provinces in China, was selected. Since China is one of the major vegetable seed importers. Also, Yunnan and Guangdong provinces are the most promising targets to export Korean vegetable seeds. The current status of vegetable production in China was analyzed with consideration of Yunnan and Guangdong provinces. The contents of survey and analysis are covering major vegetable crops' cultivation area, farm number, cultivation type, production amount, market price, farm income, packaging method, distribution type and amount of seed consumption. And particularly, major horticultural characteristics of leading varieties were presented to assist the development of exportable varieties of domestic seed companies. We assume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practically usable for the development of exportable varieties.

고랭지 밭의 작물별 비점오염부하 비교 (Comparison of Non-Point Pollutant Loads by the Crops in Alpine Fields)

  • 최용훈;원철희;김태유;양희정;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47-1252
    • /
    • 2010
  •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에 위치한 고랭지 밭을 2008년 3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발생한 강우사상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경지단위의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부하를 측정하고, 작물에 의한 발생량을 비교하였다. 2008년에는 감자를 재배하였고, 2009년에는 무를 재배하였다. 2008년의 시비량은 2009년의 시비량보다 질소 2.1배, 인산 1.9배, 칼륨 2.3배 높게 나타났다. 2008년 총 5회의 유출에 의해 SS 2,908.47 kg/ha/yr, COD 67.95 kg/ha/yr, BOD 50.72 kg/ha/yr, TN 13.29 kg/ha/yr, TP 9.97 kg/ha/yr의 연 오염부하가 발생하였으며, 2009년 총 8회의 유출에 의해 SS 3,908.34 kg/ha/yr, COD 225.04 kg/ha/yr, BOD 156.96 kg/ha/yr, TN 18.88 kg/ha/yr, TP 36.41 kg/ha/yr의 연 오염부하가 발생하였다. 2008년과 2009년의 강우량이 다르기 때문에 연 오염 부하를 유출이 발생한 강우량의 합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비료사용량이 2008년에 약 2배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단위 강우량 당 오염부하에서 TN은 0.031 kg/ha/mm와 0.029 kg/ha/mm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COD는 0.16 kg/ha/mm와 0.35 kg/ha/mm, BOD는 0.12 kg/ha/mm와 0.24 kg/ha/mm, TP는 0.023 kg/ha/mm와 0.057 kg/ha/mm로 2009년에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는 비료의 사용량보다 작물의 성장에 의한 지표피복효과가 비점오염 저감에 더 효과적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랭지 밭에서 피복율이 높은 작물을 재배하거나 피복재에 의한 지표피복을 실시하면 비점오염의 저감을 위한 최적관리방안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절수의 시기 및 방법의 차이가 수도의 생육수량과 기타 실용형질에 미치는 영향

  • 이창구
    • 기술사
    • /
    • 제1권1호
    • /
    • pp.18-25
    • /
    • 1968
  • Higher yield in rice paddies is greatly dependent on adequately balanced and timely supply of water. A majority of rice paddy in Korea is generally irrigated by rainfall, but in many cases it has to be supplemented by artificial irrigation for optimum rice culture. Although the water requirement of rice plant is for higher Than that of athec crops, submerged condition of rice paddy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he moisture requirement of rice plant varies with its growing stages,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rrigation efficiency through reduction of water loss due to percolation in rice paddies. An experimental plots were set up by means of s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duplication; (a) All time submerged, (b) Economically controlled, and (c) Extremely controlled. Three different irrigation periods Were (a) Initial sage, (b) Inter-stage, and (c) Yast stage. The topsoil of the three plots were excavated to the depth of 30 cm and then compacted with clay of 6 cm thickness. There after, they were piled up with the excavated top soils, leveled and cored with clay of 6 cm thickness around footpath in order to prevent leakag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s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difference among the three experiments plots in terms of physical and chemical conditions, soil properties, and other characteristics. 2. Culm length and ear length are not affected by different irrigation methods. 3.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mature rate and 1, 000 grain weight of rice for the three plots. 4. The control plot which was irrigated every three days shows an increased yield over the all the time submerged plot by 17.8 percent. 5. The clay lined plot whose water holding capacity was held 5 days long, needs only to be irrigated every 7 days. 6. The clay lined plot shows an increased yield over the untreated plot ; over all-the-time submerged plot by 18 percent ; extremely controlled plot by 18 percent, and economically controlled plot by 33 percent. 7. It may be saved in water requirement about one Thirds.

  • PDF

A successful province of agriculturalwater-saving: Gansu

  • Bin, Jiang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4-194
    • /
    • 2016
  • Gansu, located in the northwestern region, is a typical agricultural province of arid, semiarid in China. The shortage of water resources is the biggest obstacle of Gansu Province's development, and the dry farming water-saving is the eternal theme of Gansu agricultural sustainable development. In recent years, intensify reform in Gansu, has walked out a successful way in the agricultural water-saving. Using the integrated river basin governance as opportunity, the total water-using quantity was regarded as rigidity to retrain, distributed to counties (districts), irrigated areas, towns, associations, groups step by step. Agricultural water price was substantially increased, with the surface water price from about $0.1RMB/m^3$ to more than $0.2 RMB/m^3$, and the ground water from zero to more than $0.1RMB/m^3$. Simultaneously, the difference water prices and over-quota water progression price markup were carried out. The transaction of water rights was encouraged to impel the peasant to establish the consciousness of saving-water. The regulatory documents were formulated to standardize the scope, condition, mode, program etc. of agriculture water-rights transaction, to guarantees the transaction of water rights is carries out in order. The pattern of farming was optimized and adjusted, reducing the high water-consumption crop, increasing economic crops with high benefit and low water-consumption, developing industrialized agricultures such as green house. The relative engineering and measuring facility were comprehensively improved, with the anti-seepage of canal system and the enforcement of dynamo-electric well, developing high-efficient water-saving irrigation and overall metering facilities. The water fine-grained management has realized, and obvious water-saving effect has obtained: water-using rate in the irrigation area by river water has brought up to 0.57 from 0.52, and by well water up to 0.84 from 0.76. Although the water price has increased, the proportion that the water rate expenditure accounted for the cost lasts decline, and the farmers' income has gone up. The peasants express, the used water is few, and it is few to till land, but the income is many, and life is better.

  • PDF

제주도 밭작물 용수이용 특성을 고려한 순물소모량 산정 (Estimation of net water consumption considering water use pattern for upland crops of Jeju Island)

  • 김철겸;김남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55-455
    • /
    • 2015
  • 농업용수 수요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계측 및 추정방법에 따라 사용수량을 직접 계측하는 방법, 대표작물의 단위수량으로 추정하는 방법, 증발산 이론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실적으로 농업지역에서의 계측자료가 충분하지 못하고, 자연조건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농업용수 특성상 증발산 이론에 의한 수요량 추정기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필요수량 개념의 접근법이 과거로부터 많이 활용되어 왔다. 이 방법은 경작지 내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량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저수지나 관정 등의 시설용량 결정 및 계획 수립을 위해 활용되는 방법으로서, 1965년도 처음 수립된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 농업용수 수요량 추정에 적용되어 왔으며, 제주도 수자원관리종합계획에서도 적용되었다. 또 다른 접근법으로서 유역에서의 물수지 관점에서 경작지 내 물 사용에 의해 감소되는 하천 수량을 산정함으로써 순물소모량을 추정하는 방법이 있다. 물수지 분석은 장래의 용수수요와 기준년의 자연유량을 비교함으로써 향후의 안정적 용수수급을 계획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7년 낙동강유역 하구조사 기술보고서에서 처음 순물소모량 개념을 도입하여 수요량을 추정하였으며, 이후 제3차 수자원장기종합계획(1991-2011), 21세기를 바라보는 수자원전망(1993) 등에서 이 방법을 통해 미래의 용수수급 전망을 분석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의 수자원 부존량 해석 및 장래 용수 이용에 따른 수자원의 과부족 해석, 수자원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목적으로 순물소모량 개념을 적용하였다. 제주도는 경지면적 중 밭의 비율이 99%이상이며, 대부분 관정에 의한 지하수를 이용하여 스프링클러 또는 점적관개에 의해 용수량을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도 지질 특성 및 밭작물 관개특성을 고려하여 제주도 지역에 적합한 순물소모량 산정식을 제안하고, 이에 따라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대표작물(감귤, 콩 등)에 대한 순물소모량을 산정하였다.

  • PDF

밭 작물 용수 공급을 위한 빗물저류조 용량 결정 (Determination of Rainwater Storage Capacity for Supplying Upland Crops)

  • 황주하;맹승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53-53
    • /
    • 2019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 이변의 이유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국가에서 홍수 및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게릴라성 호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저지대 및 많은 지역에서 홍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연평균 총 강우량은 매년 비슷하나 게릴라성 호우와 같은 폭우의 빈도가 증가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과거에 비해 가뭄의 발생기간도 길어지는 실정이다. 다시 말하면 게릴라성 호우와 같은 폭우는 잦아졌지만 강수량 자체는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는 홍수와 가뭄의 위험이 더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우리지역의 전체 물 이용 및 관리의 효율화가 필수적이며, 물 이용량의 약 50%를 차지하는 농업용수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개기에 필요한 물이 얼마나 사용이 되는지에 대한 작물의 생육시기별 필요수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필요수량의 갈수빈도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갈수빈도분석을 통해 재현기간에 따른 작물의 순별 필요수량 따라 저류조에 유입되는 빗물의 양으로 얼마만큼 해결이 되는지 확인하여 빗물의 사용량을 산정하여 저류조의 적정 용량을 검토하고자 한다. 작물계수를 이용하여 작물별 필요수량은 HOMWR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정하며, 작물별 생육시기에 따른 필요수량에 대한 갈수빈도분석은 수문 통계 분석과 적합도 검정을 통하여 GUM, PT3, GEV, GLO, GPA 및 GNO분포를 대상으로 적정 분포를 선정한다. 선정된 분포형을 통해 재배작물별 생육시기에 따른 필요수량 계열의 설계 필요수량을 산정한다. 이에 따른 필요수량과 갈수빈도분석 결과를 통해 재배작물의 순별 수요량을 추정한다. 재배작물의 순별 물 수요와 잠재적인 저류조의 높이를 통해 빗물을 얼마만큼 재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수용 비율(sufficiency ratio)을 산정하고. 순별 수요량에 따른 밭 작물의 적정 빗물 저류조 용량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항공사진측량을 이용한 채소주산단지 재배면적 추정 연구 (A Study on Estimating the Vegetable Cultivation Complex Area using Aerial Photogrammetry)

  • 배경호;함건우;이정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08-118
    • /
    • 2018
  • 최근 4차산업혁명으로 대두되는 기술혁명 변화에 농업분야도 환경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ICT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팜 구현 등의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혁신을 위한 변화기술은 다양한 공간정보에 기반한 농작물 현황에 대한 분석과 예측 기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기법은 주기적이고 과학적인 공간정보에 기반할 때 보다 과학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배추, 무, 마늘, 양파, 고추를 선정하여 항공사진측량을 이용한 재배면적 추정, 채소 작황 현황 및 연도별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농업분야의 원격탐사를 활용한 재배면적 산정 및 작황현황 분석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공간정보 기반의 채소주산단지 시계열 정보는 효율적인 농업환경 관측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Effect of climate change and sea level rise on taking water of South Thai Binhirrigation system in Vietnam

  • Nguyen, Thu Hien;Nguyen, Canh Thai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2-222
    • /
    • 2015
  • Vietnam is one of the most vulnarable countries affected by climate change and sea level rise. One of the consequences of climate change and sea level rise is the increase of salinity intrusion into the rivers which is challenging to irrigation systems in coastal areas. This indicates the necessary to study the ability of taking water through sluice gates of irrigation systems in coastal zones, especially in the dry season with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sea level rise in the future. In this paper, Nam Thai Binh irrigation system is selected as a case study. The irrigation system is one of 22 biggest irrigation systems of the Red River delta in Vietnam located in coastal region. The computed duration is selected in dry season to irrigate for Winter-Spring crops. The irrigation water for the study area is taken from different sluice gates along the Red River and the Tra Ly River. In this paper, MIKE-11 model was applied to assess the ability of taking water for irrigation of the study area in current situation and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and sea level rise senario in 2050 (under the medium emissions scenario (B2)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of Vietnam published in 2012) with different condition of water availability. The operation of the gates depends on the water levels and sanility conditions. The sanility and water level at different water intake gates of Nam Thai Binh irrigation system were simulated with different senarios with and without climate change and sea level rise. The result shows that, under climate change and sea water level rise, some gates can take more water but some can not take water because of salinity excess and the total water taking from the different gates along the rivers decrease while the water demand is increase. The study indicates the necessary to study quantitatively some recommended solutions in the study area particularly and in coastal region generally in Vietnam to ensure water demand for irrigation and other purposes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and sea level rise in the future.

  • PDF

CMIP5 및 CMIP6 기반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밭가뭄 전망 (Projection of future drought for upland crops based on CMIP5 and CMIP6 climate model)

  • 전민기;남원호;서찬양;이준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3-43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강수량 및 강우패턴이 변화하고 있으며, 기록적인 가뭄이나 홍수와 같은 극한사상의 발생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국외의 경우 2000년부터 2021년까지 미국 서부 지역에서 극한 가뭄사상이 발생하였으며, 호주에서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호주 남동부와 뉴사우스웨일스 지역에 극심한 가뭄이 나타났다. 국내의 경우 2000년대에 들어서 가뭄이 국지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2022년부터 20023년까지 전라남도 지역에 극심한 가뭄이 발생하였다. CMIP6(Climate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6)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6차 평가보고서 (Sixth Assessment Report, AR6)에서 기후 모델 간의 비교와 평가를 위해 설립된 국제 협업 프로젝트로 기후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기후 모델을 사용하여 미래의 기후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는 CMIP6에서 사용되는 미래 사회경제적 발전 경로를 나타내며, 기후변화의 다양한 미래 상황을 평가 및 기후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국내 논 용수는 주로 저수지와 같은 수리시설물을 통해 공급되는 반면, 밭 용수의 경우 수리시설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관개전은 일부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밭의 경우 용수공급을 강우에 의존하여 가뭄에 더욱 취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CMIP5 기후모델 기반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시나리오 및 CMIP6 기후모델 기반 SSP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미래 기후 데이터를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토양수분모형을 적용하여 미래 밭가뭄을 전망하고자 한다.

  • PDF

토양수분, 표준강수지수, 표준지하수위지수를 활용한 밭가뭄 평가 (Drought Assessment of Upland Crops using Soil Moisture, SPI, SGI)

  • 전민기;남원호;옥정훈;황선아;허승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313-313
    • /
    • 2022
  • 일반적으로 가뭄은 특정지역에서 평균 이하의 강수량이 발생되는 현상으로, 강수량이 감소되면 토양수분, 하천수 수위, 저수지 수위, 지하수위 등이 순차적으로 감소한다. 수문학적 가뭄은 기상학적 가뭄 및 농업 가뭄에 비해 늦게 발현되는데, 이는 강수량의 부족이 토양수분, 하천수량, 지하수 및 저수지 수위 등과 같은 수문학적 시스템에 전이되는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뭄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 지하수위 변동성을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하수위는 농촌 지하수 개발, 가뭄 및 홍수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강수량에 의한 변화가 지표수에 비해 느리게 나타나고 토양을 통과하는 특성으로 인해 단기 및 장기간의 변화 경향이 나타난다. 미국 지질조사국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서는 지하수위를 월 단위로 보통 이하 (Below-normal), 보통 (Normal), 보통 이상 (Above-normal) 3단계로 구분하여 분포도를 작성하고 전체 관측기간 중 25% 이상에서 보통 이하 (Below-normal)로 나타나면 가뭄으로 판단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형, 유역을 고려한 지하수 수위 및 수질 현황과 변동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지하수위 관측망 688개소를 설치하고 운영 중에 있다. 또한, 농촌진흥청에서는 전국 농업기상대와 연계하여 토양수분관측망 (soil moisture monitoring network)을 구축하였으며, 표토 10 cm에 토양수분센서를 전국 168 지점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을 기반으로 산정한 표준강수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와 지하수위를 기반으로 산정한 표준지하수위지수 (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SGI), 토양수분관측망의 토양수분의 상관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밭작물 가뭄의 중요 요소인 토양수분 함량은 강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반면 지표수 및 지하수는 상대적으로 장기간의 강수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밭작물 지역의 가뭄 취약성을 관리하는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