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anial irradiation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3초

The metabolic syndrome and body composition in childhood cancer survivors

  • Sohn, Young-Bae;Kim, Su-Jin;Park, Sung-Won;Kim, Se-Hwa;Cho, Sung-Yoon;Lee, Soo-Hyun;Yoo, Keon-Hee;Sung, Ki-Woong;Chung, Jae-Hoon;Koo, Hong-Hoe;Jin, Dong-Kyu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6호
    • /
    • pp.253-259
    • /
    • 2011
  • Purpose: Long-term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appear to have an increased risk for the metabolic syndrome, subsequent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adulthood compared to healthy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factors in childhood cancer survivors at a single center in Korea.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of 98 childhood cancer survivors who were diagnosed and completed anticancer treatment at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between Jan. 1996 and Dec. 2007. Parameters of metabolic syndrome were evaluated between Jan. 2008 and Dec. 2009. Clinical and biochemical findings including body fat percentage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19 (19.4%) patients had the metabolic syndrome. The median body fat percentage was 31.5%. The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ranial irradiation dose (r=0.38, P<0.001 and r=0.44, P<0.00, respectively). Sixty-one (62.2%) patients had at least one abnormal lipid value. The triglycerid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body fat percentage (r=0.26, P=0.03). The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ercent body fat (r=- 0.26, P=0.03). Conclusion: Childhood cancer survivors should have thorough metabolic evaluation including measurement of body fat percentage even if they are not obes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etermina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during adolescence might provide preventiv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health outcomes in adulthood.

Reduced-dose whole-brain radiotherapy with tumor bed boost after upfront high-dose methotrexate for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 Lee, Tae Hoon;Lee, Joo Ho;Chang, Ji Hyun;Ye, Sung-Joon;Kim, Tae Min;Park, Chul-Kee;Kim, Il Han;Kim, Byoung Hyuck;Wee, Chan Woo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8권1호
    • /
    • pp.35-43
    • /
    • 2020
  • Purpose: This retrospective study compares higher-dose whole-brain radiotherapy (hdWBRT) with reduced-dose WBRT (rdWBRT) in terms of clinical efficacy and toxicity profile in patients treated for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PCNSL). Materials and Methods: Radiotherapy followed by high-dose methotrexate (HD-MTX)-based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to immunocompetent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PCNSL between 2000 and 2016. Response to chemotherapy was taken into account when prescribing the radiation dose to the whole brain and primary tumor bed. The whole brain dose was ≤23.4 Gy for rdWBRT (n = 20) and >23.4 Gy for hdWBRT (n = 68). Patients manifesting cognitive disturbance, memory impairment and dysarthria were considered to have neurotoxicity. A median follow-up was 3.62 years. Results: The 3-year overall survival (OS)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were 70.0% and 48.9% with rdWBRT, and 63.2% and 43.2% with hdWBRT. The 3-year OS and PFS among patients with partial response (n = 45) after chemotherapy were 77.8% and 53.3% with rdWBRT, and 58.3% and 45.8% with hdWBRT (p > 0.05). Among patients with complete response achieved during follow-up, the 3-year freedom from neurotoxicity (FFNT) rate was 94.1% with rdWBRT and 62.4% with hdWBRT. Among patients aged ≥60 years, the 3-year FFNT rate was 87.5% with rdWBRT and 39.1% with hdWBRT (p = 0.49). Neurotoxicity was not observed after rdWBRT in patients aged below 60 years. Conclusion: rdWBRT with tumor bed boost combined with upfront HD-MTX is less neurotoxic and results in effective survival as higher-dose radiotherapy even in partial response after chemotherapy.

Evaluation of changes in random blood glucose and body mass index during and after completion of chemotherapy in children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 Bang, Kyong-Won;Seo, Soo-Young;Lee, Jae-Wook;Jang, Pil-Sang;Jung, Min-Ho;Chung, Nack-Gyun;Cho, Bin;Jeong, Dae-Chul;Suh, Byung-Kyu;Kim, Hack-Ki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4호
    • /
    • pp.121-127
    • /
    • 2012
  • Purpose: Improved survival of patients with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has drawn attention to the potential for late consequences of previous treatments among survivors, including metabolic syndrome. In this study, we evaluated changes in 3 parameters, namely, random blood glucose, body mass index (BMI), and Z score for BMI (Z-BMI), in children with ALL during chemotherapy and after completion of treatment. Methods: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ALL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8 at Sain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ho completed treatment with chemotherapy only were included (n=107). Random glucose, BMI, and Z-BMI were recorded at 5 intervals: at diagnosis, before maintenance treatment, at completion of maintenance treatment, and 6 and 12 months after completion of maintenance treatment. Similar analyses were conducted on 2 subcohorts based on ALL risk groups. Results: For random glucose, a paired comparison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at 12 months post-treatment compared to those at initial diagnosis ($P$ <0.001) and before maintenance ($P$ <0.001). The Z-BMI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before maintenance than at diagnosis ($P$ <0.001), but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end of treatment ($P$ <0.001) and remained low at 6 months ($P$ <0.001) and 12 months ($P$ <0.001) post-treatment.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upon analysis of risk group-based subcohorts. Conclusion: For a cohort of ALL patients treated without allogeneic transplantation or cranial irradiation, decrease in random glucose and Z-BMI after completion of chemotherapy does not indicate future glucose intolerance or obesity.

국소성 소세포 폐암에 대한 복합화학요법 및 방사선 병용치료의 효과 (The Result of Combined Modality Treatment for Limited Stage Small Cell Lung Cancer)

  • 김재철;장양숙;류삼열;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7권2호
    • /
    • pp.205-211
    • /
    • 1989
  • 1984년 7월부터 1988년 9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되어 복합화학요법 및 방사선 병용치료를 받은 27명을 대상으로 치료성적을 분석하였다. 완전관해율은 $70\%$, 부분관해율은 $22\%$, 무반응은 $8\%$였다. 여자, 수행상태 HO, 방사선량 4500cGy이상, 화학요법 4회 이상, 그리고 혈청 enolase수치 30ng/m1 이하 등에서 완전관해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중앙생존기간은 10개월이었고 1년생존율과 2년 생존율은 각각 $40.7\%$$12.2\%$였다. 생존율을 높이는 인자로는 수험상태 HO (p<005), 완전관해 (p<0.05), 하학요법 4회 이상(p<005), 방사선량 4500 cGy이상 등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과 예방적 전뇌조사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1차 항암 치료제로서 Irinotecan 과 Cisplatin 병합요법에 관한 2상 연구 (Phase II Trial of Irinotecan plus Cisplatin Combination as First Line Therapy for Patients with Small cell Lung Cancer)

  • 정혜철;이상엽;김정하;하은실;정진용;이경주;이승현;김세중;이은주;허규영;이승룡;김제형;신철;심재정;인광호;강경호;유세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1호
    • /
    • pp.57-64
    • /
    • 2006
  • 연구배경 : 확장성 병기 소세포폐암에서 irinotecan 과 cisplatin 을 사용시 etoposide 와 cisplatin 에 비해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 졌다. 그러나 제한성 병기 소세포폐암에서의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제한성 병기와 확장성 병기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irinotecan 과 cisplatin 을 1차 약제로 투여시 효과 및 부작용을 조사하였다. 방 법 : 2002 년 1월부터 2004 년 12월까지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60mg/m^2$ 의 irinotecan 을 1주 간격으로 세 번, $60mg/m^2$ 의 cisplatin 을 첫날 투여하였다. 제한성 병기 환자에게 흉곽에 대한 방사선 치료를 초기에 병합하였고 당시 irinotecan 의 용량은 $40mg/m^2$으로 줄였다. 완전관해가 확인 된 경우에는 예방적 뇌 방사선 조사를 하였다. 결 과 : 제한성 병기 환자 20명의 중앙 생존기간은 20개월, 반응율은 85%, 중앙 무진행 생존기간은 12.0 개월이었다. 확장성병기 환자 18 명의 중앙 생존기간은 14.5개월, 반응율은 83.4%, 중앙 무진행 생존기간은 6.3개월이었다. 주요 부작용은 혈액학적 이상과 위장관 이상이었으나 부작용으로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 결 론 : Irinotecan 과 cisplatin 병합요법은 제한성 병기 및 확장성 병기 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제로 효과적이었고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국한성 소세포 폐암에서 항암 화학 및 흉부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 적응 (Combined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in Limited Disease Small-Cell Lung Cancer)

  • 김문경;안용찬;박근칠;임도훈;허승재;김대용;신경환;이규찬;권오정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9-15
    • /
    • 1999
  • 목적 : 국한성 병기의 소세포 폐암에 대하여 항암 화학 및 흉부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을 적용하여 국소 반응율, 급성 부작용의 빈도, 단기 임상 추적 관찰 결과 등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0월부터 1998년 4월까지 국한성 병기의 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되어 VIP 요법(etoposide, ifosfamide, cis-platin) 또는 EP 요법(etoposide, cis-platin)의 복합 항암 화학 및 흉부 방사선치료의 동시 병합요법을 시행받은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항암 화학요법은 3주 간격으로 모두 6회의 시행을 목표로 하였고, 흉부 방사선치료는 10MV X-ray를 사용하여 일일선량 2Gy씩 44Gy를 4.5주간에 첫번째 화학요법과 동시에 시행하고자 하였다. 관해율은 예정된 치료가 모두 종료된지 4주만에 판정하였으며, 완전 관해를 얻었던 경우에는 10회에 걸쳐 25Gy의 예방적 전뇌 방사선치료를 예정하였다. 급성 부작용의 빈도와 정도는 SWOG 부작용 판정 등급체계를 적용하였으며, 단기 추적 관찰 결과로서 1년 및 2년 생존율, 무병 생존율 등은 Kaplan-Meter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에 대한 추적 기간의 중앙값은 16개월이었다(범위 2개월$\~$41개월). 완전 관해는 30명(65$\%$)에서 있었으며, 이 중 22명에서 예방적 전뇌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동시 병합요법의 3도 이상의 혈액학적 부작용의 빈도는 각각 백혈구감소증 23명(50$\%$), 적혈구감소증 17명(37$\%$), 혈소판감소증 9명(20$\%$)이었고, 비혈액학적 부작용은 탈모 9명(20$\%$), 오심 및 구토 5명(11$\%$), 그리고 말초신경염 1명(2$\%$)이었으며, 이로 인한 화학요법의 지연은 한명에서, 화학요법제의 용량 감소는 전체 246회의 화학요법 중 58회에서 있었다. 3도 이상의 방사선 식도염은 없었으나 화학요법의 부작용으로 인한 흉부 방사선치료의 일시 중단은 21명에서 평균 8.3일간 필요하였다. 국소 재발은 완전 관해 환자에서 8명, 국소 진행은 부분관해 및 불변 환자에서 6명이 확인되었고, 원격 전이는 17명에서 확인되었으며, 이 중 4명에서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가 함께 확인되었다. 원격 전이의 주요 장기로는 뇌가 10명으로 가장 많았고, 간이 4명으로 다음을 차지하였다. 전체 환자들의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23개월이었으며, 1년, 2년 생존율 및 무재발 생존율은 각각 79%$\%$ 45$\%$ 및 55$\%$, 32$\%$였다. 결론 : 국한성 소세포 폐암환자에서 항암 화학 및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을 적용하여 만족할 만한 관해율 및 1년, 2년 생존율을 얻었으며, 대체적인 환자들의 치료 방침에 대한 순응도는 양호한 편으로 판단된다.

  • PDF

국한성병기 소세포폐암에서 하루 두 번 분할조사와 동시 화학방사선치료 (Twice Daily Radiation Therapy Plus Concurrent Chemotherapy for Limited-Stage Small Cell Lung Cancer)

  • 여승구;조문준;김선영;김기환;김준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96-102
    • /
    • 2006
  • 목적: 국한성병기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하루 두 번 분할조사에 의한 동시 화학방사선치료의 효율성을 치료 반응률, 생존율, 실패양상, 치료부작용 등의 관점에서 평가하기 위해 후향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2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총 76명의 환자가 조직학적으로 증명된 국한성병기 소세포폐암으로 하루 두 번 분할조사에 의한 동시 화학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았다. 대상환자 중 남성은 84% (64/76)이었고, 중앙연령은 57세였다(32-75세). 흉부방사선치료는 120 또는 150 cGy/fraction로 최소 6시간의 간격을 두고 하루 두 번, 한 주에 5일 시행하였다. 총 흉부조사선량의 중앙값은 50.4 Gy였다(45-51 Gy). 동시 화학치료은 3주 간격으로 교대 CAV ($cytoxan\;1000mg/m^2,\;adriamycin\;40mg/m^2,\;vincristine\;1mg/m^2$)/PE ($cisplatin\;60mg/m^2,\;etoposide\;100mg/m^2$)이거나, 혹은 단독 PE 요법이 사용되었다. 화학치료 횟수의 중앙값은 6회였다(1-9회). 예방적 전뇌조사는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에게 25 Gy/10 fractions로 시행되었다. 중앙추적관찰기간은 18개월이었다(1-136개월). 결과: 치료의 반응률은 86%이었다: 완전관해가 39명(52%), 부분관해가 26명(34%)이었다. 중앙생존기간은 23개월이었다. 1년, 2년, 3년 생존율은 각각 72%, 50%, 30%이었다. 단변량분석에서 치료 반응률이 생존율의 유의한 예후인자로 밝혀졌다(p<0.001). 등급 3 이상의 급성부작용은 백혈구감소 46명(61%), 적혈구 감소 5명 (6%), 혈소판 감소 10명(13%), 식도염 5명(6%), 그리고 폐독성이 2명(2%)에서 있었다. 추척관찰이 가능했던 73명의 환자 중 총 38명(52%)에서 병의 진행이 관찰되었다. 첫 번째 원격전이 장소의 빈도는 뇌가 가장 높았다. 결론: 하루 두 번 분할조사에 의한 동시 화학방사선치료는 국한성병기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나쁘지 않은 부작용과 함께 양호한 치료반응 및 생존율의 결과를 보였다. 생존율의 유의한 예후인자로 밝혀진 치료 반응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방사선치료 분할방식, 화학요법제제, 화학방사선치료의 결합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아청소년기 성장호르몬결핍증의 성인기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for persistent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young adults with childhood onset growth hormone deficiency)

  • 이영아;정혜림;이세민;김재현;김지현;이선희;신충호;양세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2호
    • /
    • pp.227-233
    • /
    • 2009
  • 목 적 : 소아청소년기 GHD 환자들은 성인기에 진단된 환자보다 체성분과 심혈관계의 변화가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면 성장호르몬 치료를 꼭 받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청소년기에 GHD로 진단 받은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ITT를 시행하여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는 요인을 살펴보고,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대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성인키에 도달한 55명(남 39명, 여 16명)을 대상으로 ITT의 최대 성장호르몬 값이 $3{\mu}g/L$ 미만이면 성인기 GHD로 진단하였다. 특발성 GHD 환자(n=12)는 뇌하수체 구조적인 이상이 있는 2명과 둔위 분만 또는 가사의 병력이 있는 10명이었으며, 기질성 GHD 환자(n=43)는 시상하부-뇌하수체를 침범하는 뇌종양(n=33), 그 외의 뇌종양(n=3), 뇌수막염(n=3), 백혈병(n= 2), 지주막낭종(n=1), 뇌하수체염(n=1)에 해당하였다. 결 과 :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된 환자는 49명(89.1%)이었다. 최대 성장호르몬 값의 log값은 기저 IGF-I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7, P<0.001). 특발성 GHD 환자의 91.7%가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어, 성인기 GHD 여부는 소아청소년기 특발성, 기질성 GHD 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동반된 뇌하수체호르몬 결핍 개수가 많을수록(단독 GHD 40%, 1개의 결핍 동반 80%, 2개 이상 동반 95.6%, P=0.002), 기질성 GHD 환자 중에서 병변이 시상하부-뇌하수체를 일차적으로 침범하는 경우(P=0.003)에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았다. 두개 내 방사선 치료를 받은 18명 중에서 15명이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었는데, 시상하부-뇌하수체를 침범하는 종양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들 14명은 모두 방사선조사량에 관계없이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었다. 동반된 뇌하수체호르몬 결핍이 있는 경우(P=0.005), 소아청소년기 완전 GHD인 경우(P=0.005)에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는 비율이 높았다. 결 론 : 소아청소년기에 GHD로 진단 받은 환자들 중에서 동반 뇌하수체호르몬 결핍이 2개 이상이거나, 기저 질환의 병변이 시상하부-뇌하수체를 포함하면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국한된 페소세포암의 방사선 치료성적 (The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of Limited Stage Small Cell Lung Cancer)

  • 김성환;최병옥;길학준;윤세철;박용휘;신경섭;김훈교;이경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97-102
    • /
    • 1993
  • 1983년 4월부터 1991년 9월까지 가톨릭 의과대학 강남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국한된 폐소세포암으로 확진되어 방사선치료받은 3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성적을 후향 분석하였다. 이중 5명은 방사선 치료 단독으로 치료받았으며 27명은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병용요법을 하였다. 남녀의 비는 4.3:1 이었으며 연령분포는 24세에서 78세였다(중앙값 : 63세). 6 MV X 선에의한 방사선치료선량은 일일 160-180 cGy씩 치료하여 총 1000-6660 cGy (중앙값 4500 cGy)였다. 치료 후 완전관해율은 $37.5{\%}$ (12/32), 부분관해율은 $34.4{\%}$(11/32)였고, 무반응은 $28.1{\%}$(0/32)였다.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10개월이었고 1년생존율과 2년생존율은 각각 $59.4{\%}$$28.1{\%}$였다. 1년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요소로서는 70이상의 Karnofsky수행상태(p<0.04), 화학요법의 병행(CAV, PV, CAV+PV) (p<0.04), 화학요법 6회 이상(p<0.007) , 45 Gy 이상의 방사선량(p<0.03)와 방사선치료에 반응있었던 경우(CR+PR) (p<0.003)등이었다. 나이, 성별, 상대정맥증후군, 예방적 전뇌조사 및 방사선 치료기간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방사선 치료에의한 부작용은 식도염이 $34{\%}$(11명), 전신피로 $28{\%}$(9명)에서 있었으며 오심 구토 같은 위장관 증상은 $15{\%}$(5명) 그리고 백혈구감소증이 $3{\%}$(1명)에서 관찰되었다.

  • PDF

양성 뇌종양의 분할정위 방사선치료 : 임상적 응용의 예비적 결과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for Intracranial Benign Tumor : Preliminary Results of Clinical Application)

  • 김대용;안용찬;허승재;최동락;김종현;이정일;박관;남도현;김문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185-194
    • /
    • 1998
  • 목적 : 재현성이 높은 정위적 고정장치의 개발로 인하여 보편화되고 있는 분할층위 방사선치료는 정확히 표적부위에 방사선을 조사하면서 주위 정상조직에서의 급격한 선량감소를 보이며, 분할치료를 시행함으로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료기법이다. 이에 저자들은 분할정위 방사선치료에 대한 초기 임상경험에 대한 예비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8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총 15명의 양성 뇌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할정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6-70세(중앙값 40세)로 7명 대 8명의 남녀비를 나타내었다. 진단명에 따라 뇌하수체 선종 10명, 두개인두종 2명, 청신경초종 1명, 뇌수막종 2명이었다. Gill-Thomas-Cosman 프레임과 3차원 다회전치료를 이용하여 일일 선량 2Gy를 90-100%의 등선량표면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콜리메이터는 직경 26-70mm의 원형을 사용하였다. 결과 : 6-20개월의 비교적 짧은 추적조사기간이나 방사선학적 영상촬영 검사상 1명의 추적조사실패를 제외하고 7명이 완전관해 내지 병변의 축소를 나타내었으며, 1명의 병변내 괴사, 1명의 석회화, 5명의 무변화 등 전통적인 방사선치료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경미한 급성반응외 뇌신경마비나 뇌조직괴사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치료 시마다 측정하는 두피-헬멧 거리의 오차는 평균 $1.1{\pm}0.6mm$이었다. 결론 : 분할정위 방사선치료의 고정장치는 비교적 재현성이 높은 치료시스템으로서 뇌종양의 치료로서 안전하며 효과적인 치료기법으로 판단된다. 향훈 일회 및 총 선량 등의 치료일정은 지속적인 임상연구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