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wpea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5초

땅콩의 근류형성(根瘤形成)과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대한 근류균(根瘤菌) 접종방법(接種方法)의 영향(影響) (Nodulation and N2 Fixation in Groundnut as Affected by Inoculation Method)

  • 김무기;소재돈;박건호;최대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7-88
    • /
    • 1992
  • 항생제 내성 변이균주 JB7 $nal^rspe^r$와 CB756 $str^rrif^r$을 이용하여 살균하지 않은 밭토양에서 접종방법이 근류균의 증식과 근류형성 및 질소고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JB7 $nal^rspe^r$균주(菌株)를 종자당 $10^2$에서 $10^8$세포수준으로 접종(接種)했을때 접종농도(接種濃度)의 증가와 함께 근류형성(根瘤形成)이 증가하였다. 접종방법별(接種方法別)로는 YMB배양 액체접종(液體接種)이 Peat slurry나 Peat입자(粒子) 접종(接種)보다 더 많은 근류(根瘤)를 형성(形成)했고, Peat slurry와 입자(粒子) 접종간(接種間)에는 차이가 없었다. 토양(土壤) g당 $10^3$ 세포(細胞)의 근류균(根瘤菌)을 함유(含有)하는 토양(土壤)에 JB7 $nal^rspe^r$와 CB756 $str^rrif^r$을 혼합(混合)하여 접종(接種)했을때 모든 근류(根瘤)가 접종균(接種菌)에 의하여 형성되었으며, JB7 $nal^rspe^r$균주(菌株)에 의한 근류점유율이 월등히 높았다. 품종간에 근류점유율의 차이는 없었다. 접종균류(接種菌株)는 근권에서 점진적으로 증식되었으며, JB7 $nal^rspe^r$가 더 큰 폭으로 증가되었다. 땅콩의 수량은 무접종구보다 접종구가 높았으나 질소처리구(窒素處理區)와 접종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 PDF

강낭콩에서 종자전염된 Bean Common Mosaic Virus의 분류동정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Bean Common Mosaic Virus Obtained from Seeds of Phaseolus vulgaris)

  • 최용문;이순형;박종성;김정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21
    • /
    • 1984
  • 강낭콩에서 종자전염된 바이러스병을 동정하기 위하여 각지역 농가 및 시장에서 종자를 수집파종하여 종자전염을 조사한 결과 수원, 장수, 진주에서 채집한 종자가 $2.0\~3.5\%$ 이병되어 있었으며 종자전염된 바이러스를 지표식물에 접종한 결과 강낭콩에 상엽에 모자익, Chenopodium quinoa의 접종엽에 대형의 국부병반이 형성되었다. Dip법에 의하여 시료를 제작하여 입자를 관찰한 결과 약 750nm의 계상입자가 관찰되었다. 이병 강낭콩의 조직에서 Cylinder와 Pinwheel형 및 bundle형의 봉입체(Inclusion hody)가 관찰되었다. 복숭아진딧물에 의하여 충매전염 되었으며 즙액전염된 이병주로부터 채집한 종자의 전염율은 $18.2\%$였다. 물리적성질은 내희석성이 $1,000\~5,000$배 였으며 내보존성은 실온에서 $2\~3$일, 내열성은 $55\~60^{\circ}C$였다. 항혈청검정 결과 혼합침강반응에서 양성의 반응을 나타냈으며 SDS처리에 의한 한천내이중확산법에서 BCMV 항혈청과 band를 형성하였으며 AzMV와는 spur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CAMV와는 spur를 형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강낭콩에서 종자전염된 바이러스는 Bean common mosaic virus로 동정되었다.

  • PDF

Effects of Soil Selenium Supplementation Level on Selenium Contents of Green Tea Leaves and Milk Vetch

  • Kim, Dae-Jin;Chung Dae-Soo;Bai Sung-Chul C.;Kim, Hyeong-Soo;Lee, Yu-B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35-39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il selenium (Se) supplementation level on Se contents of green tea and milk vetch. Four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odium selenite ($Na_2SeO_3$) solutions (0.0, 3.3, 33.0 and 165.0${\mu}g/mL$) were prepared and one liter of each solution was well mixed with 10 kg of compost (cowpea soil) to give four different levels of Se-containing soil: $T_1$, 0; $T_2$, 33; $T_3$, 330; $T_4$, and 1,650${\mu}g$/100 g soil. Green tea plants and milk vetch were individually cultivated in those soils for 60 days. Se contents of freeze-dried green tea leaves were 6.87, 10.40, 12.04, and 20.19 ${\mu}g/g$, respectively; all of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from the others except for $T_2$ and $T_3$. The results showed that Se-contents of green tea leaves were increased 1.5$\sim$2.9 times as the Se level in the soil increased. Regression equation between Se contents in green tea (Y) and soil Se supplementation level (X) was: Y=0.007X+8.857. However, Se contents in the milk vetch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more with the same treatments $T_3$ (74 ${\mu}g/g$) and $T_4$ (187$\mu$g/g) in comparison to those at $T_1$ (5.0 ${\mu}g/g$) and $T_2$ (12.0$\mu$g/g). The increases ranged from approximately between 2.4 to 37.4 times that of the control group. Regression equation between Se contents in milk vetch (Y) and soil Se supplementation level (X) was: Y=0.1063X+15.989. The large difference of Se contents between green tea leaves and milk vetch would be attributed by the difference of protein contents between the 30% or higher protein-content of legumes and 15$\sim$20% protein of shrubs. The present study clearly indicates that green tea leaves and milk vetch can be enriched in selenium by supplementing the soil with Se. Therefore, Se-enriched green tea or milk vetch powder could be utilized as functional foods in Se-fortified green tea drinks or salads, or as food additives to enhance the daily intake of Se.

Ziziphus spina christifor Sustainable Agroforestry Farming in Arid Land of Khartoum State of Sudan

  • Mustafa Abdalla Nasre Aldin;Hussein Alawad Seid Ahmed;Mohamed El Mukhtar Ballal;Adil Mahgoub Farah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9권1호
    • /
    • pp.20-26
    • /
    • 2023
  • Cow pea (Vigna unguiculata) was intercropped with Ziziphus spina-christi as summer forage in two consecutive seasons of 2017 and 2018. The aims to find out suitable agroforestry practice for saline soils of Khartoum State. And to investigate effect of tree spacing on forage biomass yield under semi -irrigated systems.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3 replicates was conducted for this trial. Thus Z.spina-christi that fixed at 4×4 m was intercropped with cowpea at 1 m and 1.5 m spacing from trees trunk. Tree growth parameters were measured in terms of tree height, tree collar diameter, tree crown diameter and fruit yield per tree. While crop were parameters were determined in terms of plant height, number of plant, forage biomass yield per ha and land equivalent ratio. Soil profile of 1×1 m and 1.5 m depth was excavated and its features were described beside its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for 0-10 cm, 0-30 cm, and 30-60 cm and 60-100 cm lay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soil pH, CaCO3, SAR, ESP, and EC ds/m were increased by increasing soil depths. Meanwhile tree growth in terms of tree height was significant in the first season 2017 when compared with tree collar diameter and tree crown diameter.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corded for tree growth when compared with sole trees in the second season in 2018. Tree fruit showed marked variations between the two seasons, but it was higher under intercropping particularly at ZS2. Crop plant height was highly significant under sole cropping than intercropping in first season in 2017. In contrast forage biomass yield was significant under intercropping in ZS1 and ZS2 treatments. Land equivalent ratio was advantageous under this agroforestry system particularly under ZS2. Thus it recorded 5 and 9 for ZS2 in the two consecutive seasons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feasible to introduce this agroforestry system under such arid lands to provide summer forage yield of highly nutritive value and low cost for animals feed as well as to increase farmers' income and to halt desertification and to sequester carbon.

녹두와 메밀 조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및 겔 형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Gel Forming Properties of Mungbean and Buckwheat Crude Starches)

  • 주난영;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
    • /
    • 1989
  • 1) 녹두 조전분은 크기가 11~32 $\mu\textrm{m}$인 타원형의 형태였고 메밀 조전분은 크기가 형의 형태였고 메밀 조전분은 크기가 3-l0 $\mu\textrm{m}$인 각이 전 형태였다. 2) 녹두 조전분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78.0% 였고, 메밀 조선분은 26.4%였다. 3) 녹두 조전분의 청가는 1.030였고 메밀 조전분은 0.409였다. 4) 녹두 정제전분의 아밀로오스 분자량은 95.648, 아밀로오스 중합도는 590, 아밀로펙틴 분지도는 포도당 100개당 5.4 그리고 아밀로펙틴 한 가지당 포도당 수는18.6개였다. 메밀 정제전분은 아밀로오스 분자량이 133.690, 아밀로오스 중합도는 825, 아밀로펙틴 분지도는 포도당 100개당 5.2. 그리고 아밀로펙틴 한 가지당 포도당수는 19.2개 였다. 5) 녹두와 메밀 조전분의 물 결합 능력은 각각 185.1%. 209.9%였다. 6) 녹두 조전분의 팽윤력은 6$0^{\circ}C$에서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해서 7$0^{\circ}C$부터 급격히 증가했다. 매일 조전분의 팽윤력은 급격한 변화없이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서서히 증가했다. 7)녹두 조전분의 호화온도 범위는 63.9$^{\circ}C$~109$^{\circ}C$였고, 메밀 조전분의 호화온도 범위는 52.5$^{\circ}C$~84.2$^{\circ}C$였다. 8) Brabender amylograph에 의한 호화 양상 조사결과 녹두 조선분의 initial pasting temp.는 77.6$^{\circ}C$였고 peak viscosity는 나타나지 않았다. 메밀 조선분의 initial pasting temp.는 62.5$^{\circ}C$였고 역시 peak viscos tty는 나타나지 않았다. 9) 각 전분겔 간에도 특성치마다 상당한 유의차를 나타냈다. 10) 시료로 만든 전분겔과 시판되고 있는 묵간에는 유의차가 별로 없었으므로, 시료로 만든 녹두.동부.메밀 선분겔 등이 관능검사자들에 의해 확실히 묵이라고 받아들여졌다. 11) 단단한 정도 하나의 특성치로도 묵스러운 정도의 74.44%가 설명될 수 있었다.

  • PDF

국내 수집 두과식물의 부위별 pinitol 함량 변이 (Variation of Pinitol Content for Domestic Legume Species in Korea)

  • 서승민;정연신;;신동현;이인중;박은숙;이정동;황영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0-5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일원에서 수집한 자귀나부(Albizia julibrissin)를 포함한 두과식물 17종에서 인체의 혈당저하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pinitol 함량을 식물체 부위별로 조사하였는 바,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수집한 17개 두과식물 종간에는 pinitol 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종별 총 pinitol 함량에서는 비수리(Lespedeza cuneata)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식물체 부위별로 pinitol 함량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잎, 줄기, 꼬투리, 종자, 뿌리의 순으로 많았다. 2. 잎에서 비교적 많은 pinitol 함량을 보인 식물은 골담초, 족제비싸리, 돌동부 및 비수리로 각각 59.9 mg/g, 62.2 mg/g, 69.6 mg/g, 65.4 mg/g으로 약 60 mg/g이상을 나타내었고, 줄기의 경우는 황기가 34.0 mg/g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뿌리에서는 칡이 24.6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감초와 골담초가 16.9 mg/g, 16.5 mg/g으로 그 다음으로 높았다. 그러나 꼬투리나 종자에서는 제비콩(52.5 mg/g)과 비수리(24.9 mg/g)를 제외하고 pinitol 함량은 잎이나 줄기에 비해 모든 조사식물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3. 조사대상 식물체의 pinitol 함량과 수확 가능한 식물체량을 고려할 때, 실제 약용으로 이용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식물은 비수리이었다. 비수리의 경우 전국적인 수집을 통해 pinitol 함량이 높은 계통을 선발한다면 이용가능성 이 높은 pinitol 추출용 계통의 선발이나 보다 이용가치가 높은 새로운 품종의 육성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갓끈동부콩에서 아카시아진딧물[Aphis craccivora Koch (Hemiptera: Aphididae)]의 온도발육, 성충 수명과 산란 및 생명표분석 (Thermal Effects on the Development, Fecundity and Life Table Parameters of Aphis craccivora Koch (Hemiptera: Aphididae) on Yardlong Bean (Vigna unguiculata subsp. sesquipedalis (L.)))

  • 조점래;김정환;최병렬;서보윤;김광호;지창우;박창규;안정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261-269
    • /
    • 2018
  • 아카시아진딧물은 다양한 기주식물을 먹이로 하는 곤충으로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아카시아진딧물 약충의 발육기간, 무시성충의 수명과 번식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10.0, 15.0, 20.0, 25.0, 30.0, $32.5^{\circ}C$ 정온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모든 항온조건에서 아카시아진딧물은 성공적으로 성충으로 발육하였고 발육율은 온도가 상승할수록 증가하였다. 아카시아진딧물 약충시기별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일은 선형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SSI모델을 이용하여 발육최저, 최고한계를 추정하였다. 아카시아진딧물 전체약충기간의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일은 각각 $5.3^{\circ}C$과 128.4DD였다. SSI모델을 이용한 아카시아진딧물의 발육최저, 최고온도는 $17.0^{\circ}C$$34.6^{\circ}C$였으며 이들간의 차이는 $17.5^{\circ}C$였다. 전체약충기간의 발육완료분포모형은 3-매개변수 Weibull함수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온도와 관련된 아카시아진딧물의 생물적 특성을 생명표분석을 통해 나타내었다. 내적자연증가율은 $25^{\circ}C$에서, 개체군순증가율은 $20^{\circ}C$에서 가장 높았다. 다른 지역에 서식하는 아카시아진딧물의 생물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