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pler loss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5초

광신호 에너지 최적화를 위한 IIR 격자형 광파이버필터 설계 (Optical IIR lattice fiber filter design for optimum of optical signal energy)

  • 이채욱;김신환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2B권11호
    • /
    • pp.1481-1488
    • /
    • 1995
  • Due to the low loss, broadband and accurate short time delay properties of optical fiber, it has attracted as a delay medium for high speed and broad-band signal processing.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coherent optical fiber filter of IIR lattice structure, which uses coherent light sources and consists of directional couplers whose coupling coefficients are restricted between 0 and 1. Considering restrictions of directional coupler, the design formulae and condition for realibility of optical fiber filter of IIR lattice structure which makes the optimal use of optical signal energy are derived.

  • PDF

링-하이브리드 커플러를 이용한 가변 전력 분배기 회로 (The variable power divider circuit to use the ring-hybrid coupler)

  • 박웅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53-259
    • /
    • 2016
  • 본 논문은 $1:{\infty}$ 또는 ${\infty}:1$의 전력 분배 비율을 가지는 가변 전력 분배기 회로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가변 전력 분배기 회로는 안정된 입력 정합 특성을 가지며 입력 신호를 두 개의 경로로 분배하는 브랜치라인 커플러, 브랜치라인 커플러의 두 출력에 연결되어 90도 위상 변화량을 가지는 두 개의 가변 위상 변환기, 가변 위상 변환기를 거친 두 신호를 결합하는 링-하이브리드 커플러로 구성된다. 제안된 가변 전력 분배기 회로는 가변 위상 변환기에서 90도 위상 변화에 따라 가변 전력 분배기의 두 출력 단자의 출력 전력 비율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안된 가변 분배기 회로는 2GHz에서 Taconic사의 RF-35 20mil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가변 전력 분배기 회로는 1.9-2.1 GHz 주파수 대역에서 두 개의 출력 단자에 1:1000에서 5000000:1의 전력 분배 비율의 변화가 가능하였다. 또한, 제작된 가변 전력 분배기는 전력 분배 비율에 관계없이 입력 반사계수 -20 dB 이하, 전력 손실 약 -1.0 dB, 두 출력 단자의 격리 특성 -17 dB 이하의 안정적인 특성을 보였다.

단일모드 광섬유와 다중모드 평면도파로의 소산장결합을 이용한 광필터의 동작특성 측정 (Measurement of Behaviors of Optical Filter using Evanescent Field Coupling between Single Mode Fiber and Multimode Planar Waveguide)

  • 김광탁;유호종;송재원;김시홍;강신원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7호
    • /
    • pp.42-49
    • /
    • 1999
  • 측면이 코어 가까이 연마된 단일모드 광섬유와 평면도파로의 소산장 결합을 이용한 광필터의 동작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측면이 연마된 하나의 광섬유 블록(block)과 실리콘 산호막위에 평면도파로를 독립적으로 제작한 후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물리적 압력으로 광결합을 시켰다. 굴절률이 다른 몇 가지 폴리머를 평면도파로의 코어층으로 이용하였다. 이 측정방법으로 소자제작 과정에서 광 결합기의 중심파장, 대역폭, 소멸비, 그리고 편광 의존성들이 간단하게 측정될 수 있다. 광도파로 물질의 굴절률이 높을수록 파장선택성이 높아졌다. 평면도파로의 대칭적 도파로 구조와 도파 물질의 등방성 때문에 편광의존성이 작게 나타났다. 삽입 손실을 0.5dB이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측정방법은 광섬유와 평면도파로 결합기를 이용한 광변조기와 광필터 등 다양한 소자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전반사 미러와 방향성 결합기를 이용한 직사각형 링 레이저 (Rectangular ring laser based on total internal reflection mirror and directional coupler)

  • 김두근;최영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8호
    • /
    • pp.17-2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InP 물질의 능동과 수동 광도파로를 포함하는 신개념의 직사각형 링 레이저를 제작하여 그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직사각형 링 레이저의 구성은 작은 광 손실을 갖는 네 개의 전반사 미러와 세 개의 수동 광도파로로 구성된 방향성 결합기로 되어 있다. 제작된 두 개의 서로 다른 직사각형 링 공진기의 능동 영역의 길이는 250과 $350{\mu}m$이고, 전체 공진기 길이는 각각 580과 $780{\mu}m$이다. 측정된 링 레이저의 문턱 전류는 상온에서 연속 전류를 인가했을 때 38 mA를 얻을 수 있었다. 이때 20 dB 이상의 인접모드 억압비를 갖는 단일 모드 발진 특성을 확인하였다.

개선된 지향성을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방향성 결합기 설계 (A Design of Microstrip Directional Coupler with the Improv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김철수;임종식;김동주;안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548-55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높은 지향성을 갖는 1∼3단까지의 마이크로스트립 방향성 결합기 구조를 제시하였다. 마이크로스트립 구조의 우, 기모드의 위상차에 의한 지향성 특성이 저하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결합선로의 입출력단에 위상 보상용 커패시턴스를 구현해 주어 격리특성을 개선하였다. 용량성 보상은 결합선로의 보조선로에 형성해준 개방 스터브를 이용하여 구현되었다. 따라서 개방 스터브에 의한 삽입손실의 증가, 입사전력제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위상 보상용 커패시터는 평면형으로 구현되어 제작이 편리하고 재현성이 우수하며 다른 소자와 연계가 쉬워 집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제작된 1∼3단 방향성 결합기는 마이크로스트립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각각 30 ㏈, 27 ㏈, 25 ㏈의 높은 지향성을 얻을 수 있었다.

새로운 수직형 비대칭 광 결합구조를 이용한 폴리머 열광학 변조기 구현 (Implementation of Polymeric Thermo-optic Modulator using a New Vertical Asymmetric Optical Coupler)

  • 이소영;권재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5호
    • /
    • pp.39-48
    • /
    • 2000
  • 제작 공정이 단순하고 결합길이가 매우 짧은 폴리머를 이용한 수직형 비대칭 광 결합기를 새로이 제안하고, 폴리머를 이용한 열광학 변조기를 제작하였다. 전산모의를 통하여 광통신 파장대인 1.33㎛ TE모드에서 중간 버퍼층 두께 t=0.4㎛이고, n/sub u/=1.522, n/sub l/=1.51이고 nt=1.49일 때, 결합길이가 277㎛이며, 최고 94%의 결합 및 재결합 효율을 얻음으로써 비대칭 구조에서의 최적화를 도모하였다. 또한 반전된 립도파로와 평면 도파로를 상하부 수직형태로 갖는 광결합기를 제작하고 폴리머를 이용한 열광학 변조기를 구현하였다. 변조특성은 구동전력 4.5㎽, 소멸비 17㏈, 변조대역 600㎐로 삽입손실은 4.5㏈였다.

  • PDF

브랜치라인 커플러 결합을 이용한 가변 전력 분배기 회로 (A variable power divider circuit using the combine characteristic of the branchline coupler)

  • 박웅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45-251
    • /
    • 2017
  • 제안된 가변 전력 분배기는 입력된 신호를 동일한 신호 전력으로 분배하는 2-way 윌킨슨 전력 분배기, 90도 위상변화가 가능한 두 개의 가변 위상 변환기, 두 개의 경로 신호를 결합하는 브랜치라인 커플러로 구성된다. 제안된 가변전력 분배기는 이론적으로 가변 위상 변환기의 90도 위상 변화에 의해 브랜치라인 커플러의 두 개 출력 단자에 ${\infty}:1$에서 ${\infty}:1$까지 전력 분배 비율로 출력할 수 있다. 제안된 가변 전력 분배기는 중심주파수 1.7 GHz에서 Taconic사의 TLX-9 20mil을 이용하여 제작해 동작 특성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회로는 1.7 GHz에서 두 개 출력 단자에 1:100에서부터 200:1까지 전력 분배 비율의 변화가 가능하였으며, 1.65-1.75 GHz 주파수 대역에서 다양한 전력 분배 비율에 대하여 입력 반사계수 약 -16 dB 이하, 삽입 손실 약 -1.0 dB, 두 출력 단자의 격리 특성 약 -17 dB 이하의 안정적인 특성을 보였다.

격자 구조형 스트립 방향성 결합기에 기초한 광 바이오-센서의 고 민감도 분석 (High Sensitivity Analysis of Optical Bio-Sensor based on Grating-Assisted Strip Directional Coupler)

  • 호광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57-162
    • /
    • 2023
  • 격자 구조형 스트립 방향성 결합기를 기반으로 한 고 민감도 굴절률 bio-sensor를 제안하였다. 그 센서는 도파관 중 하나의 상단 층에 격자 구조가 구성된, 두 개의 비대칭 스트립 도파관을 사용하여 설계하였다. 위상정합 조건을 만족하는 공진 파장에서 한 도파관으로부터 다른 도파관으로 최대 광 결합이 발생하며, 도파관 표면 영역에 놓인 분석물질의 굴절률 변화에 따른 위상정합 조건의 변화가 민감도를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제안된 센서는 높은 굴절률 민감도를 가진 on-chip 장치로 설계될 수 있으며, 낮은 전파 손실을 제공하여 민감도가 향상되도록 센서를 구성되었다. 더욱이, 도파관 파라미터에 따른 민감도 변화가 센서의 설계 최적화를 위하여 분석되었다.

Ku 밴드 수신단을 위한 저잡음 증폭기 및 주파수 혼합기 설계 (Design of LNA and Mixer for Ku-band Receiver)

  • 최혁재;고재형;김군태;이제광;김형석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1권2호
    • /
    • pp.257-262
    • /
    • 2012
  • The Ministry of Information-Communication assigned 18~19GHz frequency band for communication of cabins and platform to link between subway/train and it's st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s which are 2 stage hybrid low noise amplifier of 18GHz band and mixer for 18GHz as well to apply for RF receiver. We designed LNA to be noise matched its 1st stage and gain matched for 2nd stage and mixer using $180^{\circ}$ hybrid coupler to suppress the spurious signal. The transistors of 18 GHz LNA and mixer are NE3210S01 of NEC and KMB-N51-1, respectively. As the result of simulation, we get 19.92dB gain and 2.06dB noise figure with LNA and 8.61dB conversion loss with mixer.

A Compact Ka-Band Doppler Radar Sensor for Remote Human Vital Signal Detection

  • Han, Janghoon;Kim, Jeong-Geun;Hong, Songcheol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12권4호
    • /
    • pp.234-239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a compact K-band Doppler radar sensor for human vital signal detection that uses a radar configuration with only single coupler. The proposed radar front-end configuration can reduce the chip size and the additional RF power loss. The radar front-end IC is composed of a Lange coupler, VCO, and single balanced mixer.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VCO is from 27.3 to 27.8 GHz. The phase noise of the VCO is -91.2 dBc/Hz at a 1 MHz offset frequency, and the output power is -4.8 dBm. The conversion gain of the mixer is about 11 dB. The chip size is $0.89{\times}1.47mm^2$. The compact Ka-band Doppler radar system was developed in order to demonstrate remote human vital signal detection. The radar system consists of a Ka-band Doppler radar module with a $2{\times}2$ patch array antenna, baseband signal conditioning block, DAQ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program. The front-end module size is $2.5{\times}2.5cm^2$. The proposed radar sensor can properly capture a human heartbeat and respiration rate at the distance of 50 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