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nt of WBC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8초

Thioacetamide로 유발된 간 손상에 대한 Taraxacum officinale (Dandelion) 추출물의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 from Taraxacum officinale (Dandelion) against Thioacetamid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 조인영;마세령;문선진;유도현;신성식;손창호;오기석;허태영;정영훈;최창용;서국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33-242
    • /
    • 2013
  • The genus Taraxacum, known by the common name Dandelion, is a medicinal herb in the family Asteraceae. It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various diseases due to it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valuate protective effects of Dandelion related with anti-oxidative activity to Thioacetamide (TAA)-induced liver damage. 36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six experimental groups : Control, Dandelion water extract (DWE), TAA, TAA&DWE 300, TAA&DWE 600, TAA&DWE 1,200 groups. Rats in DWE and TAA&DWE groups were pretreated with DWE (300, 600 or 1,200 mg/kg BW) by gavage for 7 days. All rats were treated intraperitoneally with TAA (200 mg/kg BW) or normal saline at 12 hours after last oral administration and sacrificed at 12 hours after last treatment. Levels of WBC and Neutrophil count were significantly decresed in TAA&DWE 1,200 group compared with that in TAA group (P<0.05). In TAA&DWE 600 and TAA&DWE 1,200 groups, serum AST, ALT, GGT levels were lower than TAA group (P<0.05). The serum TG level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TAA&DWE groups compared with those in TAA group. Liver tissues from TAA group showed extensive histopathological changes, characterized by moderate or severe hepatocytes degeneration,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congestion. In the TAA&DWE group, The severity of histopathological lesions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TAA group. The MDA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GSH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AA&DWE 1,200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TAA group. GR, CAT and GST activities in the TAA&DWE 1,200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TAA group.

소아 아급성 괴사성 림프절염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Features of Subacute Necrotizing Lymphadenitis in Children)

  • 홍지영;배선환;김완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8호
    • /
    • pp.994-999
    • /
    • 2002
  • 목 적: SNL는 아시아 지역의 젊은 성인 여성에 호발하고 소아에서의 보고는 적다. 저자들은 소아 SNL의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5년 2월부터 2002년 1월까지 노원을지병원에서 SNL로 진단된 15세 이하 소아 23례의 임상양상을 고찰하였다. 2례는 절제생검으로 진단하였고 21례는 세침흡인으로 진단하였다. 결 과 : 평균 연령은 $8.1{\pm}3.8$세였고 범위는 14개월에서 14세였다. 남녀비는 1 : 1.6이었다. 10례(10/23)가 2000년에 진단되었다. 증세의 발현은 봄철인 경우가 많았다. 주된 임상 증세는 경부 종괴(22/23), 종괴동통(12/20), 발열(8/18)이었다. 발열 기간은 7례(7/8)에서 2주 미만이었고 림프절 종대 기간은 14례(14/15)에서 5개월 미만이었다. 백혈구 수치의 평균은 $7,664{\pm}3,454/mm^3$였다. ESR은 10례(10/12)에서 증가되어 있었고 LDH는 5례(5/6)에서 경도의 증가 소견이 있었다. CRP는 3례(3/4)에서 양성이었다. 방사선학적으로 측정한 림프절의 최대 직경은 14례(14/15)에서 2 cm이하였다. 원형 탈모증 환아에서 발생한 1례와 1형 당뇨병 환아에서 발생한 1례가 있었다. 전례에서 경과는 양호하였다. 결 론: SNL는 우리나라의 소아에서 드물지 않다고 생각되며 경부 림프절 종대를 주소로 내원하는 환아에서 발열이나 종괴동통의 유무에 상관없이 감별진단에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Carbon Tetrachloride로 유발된 Rat의 간장과 신장 손상시 헛개나무 추출액의 치료효과 (Therapeutic Effects of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on $CCl_4$ Induced Liver and Kidney Damage in Rats)

  • 김홍태;김대동;구세광;김주완;임미경;오태호;이근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0-27
    • /
    • 2011
  • Hovenia dulcis Thunb (HDT) has been known folk medicine and has been used as therapeutic drug in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 Also it has been used as a detoxifying agents for alcoholic poisoning and promoting diuresis.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study on therapeutic effect of Hovenia dulcis extract on $CCl_4$ induced liver and kidney damage in rats. In this study, we report on therapeutic effects of Hovenia dulcis extract on $CCl_4$ induced liver and kidney damage in rats.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eighteen animals. Control group (DW) was administrated with distilled water 2.5 mL/kg per peritonial administration and then $CCl_4$ group (CCl) was administrated $CCl_4$ 2.5 mL/kg per peritonial administration, $CCl_4$+HDT extract group ($CCl_4$+HDT) was administrated HDT extrat (100 mg/kg) after $CCl_4$ 2.5 mL/kg administration, $CCl_4$+Silymarin group ($CCl_4$+Sily) was administrated Silymarin (50 mg/kg) after $CCl_4$ 2.5 mL/kg administration. The complete blood cell (CBC) count of RBC, WBC, PCV, Hb, MCH, MCV, MCHC and blood chemistry profile of AST, ALT, GGT, ALP, Total choloesterol, Tryglyceride, Total bilirubin, Amylase, Glucose, BUN, Creatinine, Lipase and pathologic changes were observed for 7 days after administration of D.W., $CCl_4$, $CCl_4$+HDT extract, $CCl_4$+Silymari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RBC and PCV were significantly (p < 0.01) increased in all groups compared to D.W. but hemoglobin, MCH, MCV and MCHC were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experimental periods. 2. AST, ALT, T-cholesterol, T-bilirubin, TG were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in all groups on day 3 compared to D.W. and were normal on day 7. 3. ALP was significantly (p < 0.05) decreased in $CCl_4$+HDT group on day 3 but Amylase was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experimental periods. 4. BUN was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in $CCl_4$ group on day 7, but $CCl_4$+HDT group and $CCl_4$+Sily group were normal. Creatninie was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in $CCl_4$ group on day 3 and normal on day 7 but $CCl_4$+HDT group and $CCl_4$+Sily group were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experimental periods.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채혈 및 이식 후 생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eripheral Blood Stem Cell Collection and Bone Marrow Engraftment after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 손계성;권흥만;권계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15
    • /
    • 2006
  • Peripheral bood stem cell collection (PBSCC), including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PBSCT), has been utilized worldwide as a very beneficial treatment method instead of allogen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because it has many advantages such as rapid bone marrow engraftment and hematopoietic recovery, easy and safe accessibility and lower risk of rejection compared with allogenic BMT. In order to identify most the observable parameter in PBSCC, we analyzed various hematological parameters before and after PBSCC, and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ime of bone marrow engraftment and the number of CD34+ cells. Thirteen patients, who underwent 54 PBSCCs from January, 2003 to August, 2004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e to various systemic neoplasms, were analyzed in aspects of various hemat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CD34+ cells using by Flow Cytometry (FCM). PBSCC harvests are described below: Mononuclear cells (MNC) $2.3{\pm}1.4{\times}10^8/kg$ and CD34+ cells $0.63{\pm}0.35{\times}10^6/kg$ on average, respectively.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Hb and Hct before and after PBSCC, but not in WBC and platelet counts. The period to reach the hematological bone marrow engraftment was 13.4(10~21) days and 19.5(11~38) day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absolute neutrophile counts (ANC) ${\geq}500/uL$ and platelet counts ${\geq}50,000/{\mu}L$ in peripheral blood,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s of CD34+ cell and ANC (p<0.05), and a borderline significance between MNC and ANC (p=0.051). We found that a group of patients, who were infused with CD34+ cells more than $3.5{\times}10^6/kg$, reached more rapidly the period of bone marrow engraftment in platelet counts (p=0.040). This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Hb and Hct were the most useful parameters and should be closely monitored before and after PBSCC, that a PBSCT with the dosage of more than $3.5{\times}10^6/kg$ of CD34+ cells was needed to perform successful bone marrow engraftment, and additionally that platelet counts could be more useful in indicating bone marrow engraftment than ANC.

  • PDF

자동혈구분석기 Hemavet 950FS를 이용한 돼지 혈액 내 혈구분석의 유효시간 평가 (Evaluation of valid time for analysis of complete blood cell in pig blood using the Hemavet 950FS)

  • 김기현;김광식;김두완;사수진;김영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94-201
    • /
    • 2017
  • 본 연구는 자동혈구분석기 Hemavet 950FS를 이용한 돼지 혈액 내 혈구분석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정확한 분석을 위한 유효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석시료는 체중 60 kg (${\pm}3.5$)의 Duroc 종 34두로부터 채취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분석치가 정상범위를 벗어나거나 용혈이 발견된 시료는 연구에서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0개의 시료를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임의의 하나의 시료에 대해 10회 연속분석을 통하여 일내변동을 조사한 결과, leukocytes계 혈구들 중에서 백혈구, 호중구, 림프구에서는 낮은 일내변동으로 분석의 유효성이 인정되었으나, 단핵구, 호산구, 호염구에 있어서는 큰 변동을 나타내었다. 이와 반면에 erythrocytes 및 thrombocytes계 혈구들의 모든 지표들은 안정적인 일내변동이 관찰되었다. 채혈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혈구변화를 분석한 결과 leukocytes계 혈구 및 thrombocytes계 혈구는 시간경과에 따라 검출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erythrocytes계 혈구들은 채혈 후 120시간까지는 안정적으로 분석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Hemavet 950FS는 돼지의 혈액 내에서 단핵구, 호산구, 호염구를 제외하고 일반 혈구분석에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leukocytes 및 thrombocytes계 혈구들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채혈 후 4시간 이내에 분석이 이루어져야하며, erythrocytes계 혈구들은 채혈 후 120시간까지는 안정적으로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말기암환자의 혈중 Visfatin 농도와 식욕부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Plasma Visfatin Level and Anorexia in Terminal Cancer Patients)

  • 이소진;이준용;최윤선;이준영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1호
    • /
    • pp.18-26
    • /
    • 2014
  • 목적: 식욕부진은 호스피스 암환자의 흔한 증상이며 여러 문헌에서 먹는 행동(feeding behavior)을 조절하는데 있어 visfatin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말기암환자에서 증가한 visfatin 농도가 식욕조절과 영양상태 항상성 조절에 관여할 것이라 가설을 세웠다. 방법: 2009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13개월 동안, 만 20세 이상의 말기암환자 69명을 대상으로 혈장 visfatin 농도를 측정하였다.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 활력 징후, 원발암 부위, 암 치료 경력, 투약상황, ECOG(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수행지수, 혈색소, 백혈구 수, C-반응성 단백질, 총 콜레스테롤, 알부민, 림프구수, 혈당,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 TNF-${\alpha}$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ukin-6, 렙틴 등의 혈액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65.5세였고 단변량 분석상 맥박, ECOG 수행 지수, opioid 사용여부, visfatin 농도에 따라 식욕부진이 있는 군과 없는 군의 차이를 보였다. Visfatin 농도는 단변량 분석결과 식욕부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323) 식욕부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보정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에서는 통계학적인 관련성이 사라졌다. 영양지표들 중 체질량 지수, 렙틴, 총 콜레스테롤과는 관련이 없었으나 림프구수(P=0.0198) 혈중 albumin 농도(P=0.0013)와 중간 정도의 음의 관련성을 나타냈다. 결론: 호스피스 암환자에서 visfatin과 식욕부진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향후 기전에 대한 연구와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개에서 Staphylococcus intermedius에 의한 복막후농양 발생례 (Retroperitoneal Abscess Caused by Staphylococcus intermedius in a Dog)

  • 이상관;허우필;엄기동;이근우;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6-180
    • /
    • 2009
  • 2년령의 암컷 miniature schnauzer가 침울, 복통 및 식욕부진으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를 통해 빈맥, 발열과 복통을 확인하였다. 총혈구계수 검사에서 호중구수의 증가를 동반한 백혈구증가증이 관찰되었다. 방사선 검사에서 하행결장의 변위와 척추와 평행하게 방사선투과가 감소한 부위가 관찰되었다. 초음파검사시 방광내 결석과 슬러지, 우측 신장의 수신증 및 근위뇨관의 확장이 관찰되었다. 뇨검사결과 단백뇨와 혈뇨가 나타났으며 뇨침사검사에서 다수의 상피세포, calcium oxalate 결정, struvite 결정, 무정형 결정과 과립원주, 백혈구 및 구균이 관찰되었다. 상기의 결과와 배설성 요로 조영술을 통해 신우신염과 편측성 뇨관 완전폐색증으로 진단하였다. 신장절제술을 위한 개복술시 후복막강에 풍선형의 구조물을 발견하였다. 구조물로부터 채취한 시료의 세포검사와 배양검사결과 다수의 퇴행성 호중구와 탐식된 구균을 관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뇨관폐색과 방광결석을 동반한 Staphylococcus intermedius에 의한 복막후농양으로 최종 진단하였고 우측신장의 절제를 실시하여 치료하였다.

소아 쯔쯔가무시병에서 록시쓰로마이신 치료 (Roxithromycin Treatment of Tsutsugamushi Disease (Scrub Typhus) in Children)

  • 박혜진;이경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7호
    • /
    • pp.710-713
    • /
    • 2003
  • 목 적 : 쯔쯔가무시병의 치료제로는 클로람페니콜 또는 독시싸이클린이 사용되고 있으나 소아에서는 재생불량성 빈혈의 위험성, 치아 착색 등의 합병증으로 연령에 따라 치료제의 선택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새로운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의 하나인 록시쓰로마이신의 쯔쯔가무시병 환아에 대한 치료 효과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쯔쯔가무시병으로 치료받은 환아 39명을 대상으로 치료 약제에 따라 독시싸이클린으로 치료받은 16명(DC군), 클로람페니콜로 치료받은 14명(CM군)과 록시쓰로마이신으로 치료받은 9명(RM군)으로 나눈 후 각군의 평균 나이, 입원 전 발열일, 백혈구 수, 비정상 간효소치를 포함한 합병증 및 치료 시작 후 해열 시간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 과 : 환아의 평균 연령은 $6.1{\pm}3.4$세이었고, 5세 이하의 환아가 20명(51%)을 차지하였으며, 남녀비에서 2.9 : 1를 보였다. 거의 모든 환아가 10, 11월에 발병하였으며 10월에 24명(62%), 11월에 14명(36%)이 발생하였다. 임상 증상으로 발열과 발진은 39명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가피(eschar)는 36명(92%)에서 발견되었다. 평균 나이는 DC군 $7.1{\pm}3.7$세, CM군 $5.8{\pm}3.1$세, RM군 $4.2{\pm}2.4$세로 DC군이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입원 전 발열일, 백혈구수, CRP 및 비정상 간효소치를 보인 비율은 3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대부분의 환아는 24시간 안에 해열되었으며(35명, 89.7%), 24-48시간 사이에 해열된 환아는 DC군에서 2명, CM군에서 1명, RM군에서 2명이었으며 통계학적으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소아의 쯔쯔가무시 병의 치료에서 록시쓰로마이신이 기존의 독시싸이클린이나 클로람페니콜과 같은 효과를 보였으며, 두 약제에서 볼 수 있는 합병증이 없어 사용하기 더 안전할 것으로 사료된다.

감마선을 조사한 마우스의 세포 손상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나린진과 나린제닌의 방사선방호 효과 (Radioprotective effect of naringin and naringenin against cellular damage and oxidative stress of γ-irradiated mice)

  • 강정애;김혜림;윤선혜;장범수;최대성;박상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659-667
    • /
    • 2017
  • 본 연구는 in vitro에서 나린진과 나린제닌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in vivo에서 BALB/c 마우스에 나린진과 나린제닌을 7일 동안 경구투여 한 후 6Gy의 감마선을 조사시켜 24시간 뒤 감마선 조사로 인한 세포 손상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방사선 예방효과를 검토하였다. 나린진과 나린제닌의 항산화 활성평가에서 나린제닌이 나린진보다 ABTS 제거 활성 및 FRAP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아글리콘 형태인 나린제닌이 글리코사이드 형태의 나린진보다 항산화 능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감마선 조사 전 나린제닌을 투여 한 군이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비장 지수, 흉선 지수 및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여 조혈 면역계 손상에 대해 보호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린제닌을 투여 후 감마선을 조사한 군의 ALT와 AST가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간세포 손상에 대한 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감마선 조사 전에 나린제닌을 투여한 군의 지방질과산화는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남을 보였으며, XO는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방사선에 의한 장해를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감마선 조사 전 나린제닌을 투여한 군의 GSH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은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생체 내에 항산화 활성을 회복시켰다. 이 상의 결과를 통해 방사선 조사 전에 나린제닌의 투여는 방사선에 의한 세포 손상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보호 효과가 있어 방사선보호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백혈구 수와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White Blood Cell Counts and the Metabolic Syndrome)

  • 서현숙;윤용운;손석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1호
    • /
    • pp.67-76
    • /
    • 2010
  • 광주지역의 한 종합병원 수검자를 대상으로 백혈구 수와 대사증후군과의 관련 요인을 분석하고자 단면 연구를 시행한 결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성이 25.2%, 여성은 13.3%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유병률은 남성은 40대에서, 여성은 60세 이상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였고 남녀 모두 백혈구수가 증가 할수록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대사증후군과 백혈구수와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에서는 남, 여 모두 백혈구 수가 증가 할수록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록 정상범위 일지라도 증가된 백혈구 수는 대사증후군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대사증후군 기준을 충족시키는 항목수가 많을수록 백혈구 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백혈구 수를 네 개의 군으로 나누었을 때 백혈구 구분수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었다. 백혈구수와 백혈구 감별계산이 대사증후군을 예측하는 인자로 가치가 있는지는 광범위한 대단위 연구와 시간적 순서에 의해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코호트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