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tyledonary varia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천궁 (Cnidium officinale M.)의 화기절편으로부터 형성된 체세포배의 자엽구조와 발아 (Cotyledon Structure and Germinability of Somatic Embryos Formed from Inflorescence Explants of Cnidium officinale M.)

  • 조덕이;이은경;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7-142
    • /
    • 2000
  • 천궁 (Cnidium officinale)의 잎, 엽병 및 화기 외식편을 재료로 하여 2,4-D가 첨가된 배지에 배양하였을때 캘러스 형성은 어느 외식편에서나 비슷한 수준으로 유기되었지만 배형성능 캘러스는 화기유래 캘러스에서만 형성되었다. 체세포배발생의 유도는 2mg/L 2,4-D를 첨가한 MS배지에서 잘 일어났으며 2,4-D제거배지에서 계대배양하면 외식편당 78개의 체세포배가 형성되었다. 체세포배의 자엽수에 있어서 변이가 빈번하게 관찰되었으나 배지에 1% 활성탄을 첨가하면 비정상적인 자엽수를 갖는 체세포배의 발생률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자엽기 체세포배는 MS 기본배지에서 저조한 발아율을 보이는 반면에 활성탄 첨가배지에서는 현저한 발아 향상을 보였다.

  • PDF

당근(Daucus carota L.)의 현탁배양을 통한 체세포배 발생에 미치는 카드뮴의 영향 (Effect of Cadmium on Somatic Embryogenesis from Cell Culture of Daucus carota L.)

  • 조덕이;신은경;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7-232
    • /
    • 2000
  • 당근 유식물체의 자엽을 절편으로 유도된 배형성능 세포를 여러가지 농도의 카드뮴 (0, 50. 100, 200. 500, 1000 $\mu$M)이 첨가된 MS 액체배지에 배양한 다음 MS 기본배지에 옮겨서 체세포배 발생을 유도했고 한편 카드뮴 처리구와 카드뮴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구에서 체세포배를 얻었다. 현탁배양에서 정상적인 2개의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 발생은 카드뮴 첨가 배지에서 감소하였으나 비정상적인 3개의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가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비정상적인 1개, 3개 및 4개의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보다 정상적인 2개의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의 식물체 재생률이 가장 높았다. 카드뮴 처리구에서 발생된 체세포배의 발아율은 자엽수에 관계없이 대조구에서 발생된 체세포배의 발아율에 비해 감소하였다.

  • PDF

Identification of DNA Variations Using AFLP and SSR Markers in Soybean Somaclonal Variants

  • Lee, Suk-Ha;Jung, Hyun-Soo;Kyujung Van;Kim, Moon-Yo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69-72
    • /
    • 2004
  • Somaclonal variation, defined as phenotypic and genetic variations among regenerated plants from a parental plant, could be caused by changes in chromosome structure, single gene mutation, cytoplasm genetic mutation, insertion of transposable elements, and DNA methylation during plant regener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NA variations among somaclonal variants from the cotyledonary node culture in soybean. A total of 61 soybean somaclones including seven $\textrm{R}_1$ lines and seven $\textrm{R}_2$ lines from Iksannamulkong as well as 27 $\textrm{R}_1$ lines and 20 $\textrm{R}_2$ lines from Jinju 1 were regenerated by organogenesis from the soybean cotyledonary node culture system. Field evaluation revealed no phenotypic difference in major agronomic traits between somaclonal variants and their wild types. AFLP and SSR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ct variations at the DNA level among somaclonal variants of two varieties. Based on AFLP analysis using 36 primer sets, 17 of 892 bands were polymorphic between Iksannamulkong and its somaclonal variants and 11 of 887 bands were polymorphic between Jinju 1 and its somaclonal variants, indicating the presence of DNA sequence change during plant regeneration. Using 36 SSR markers, two polymorphic SSR markers were detected between Iksannamulkong and its somaclonal variants. Sequence comparison amplified with the primers flanking Satt545 showed four additional stretches of ATT repeat in the variant. This suggests that variation at the DNA level between somaclonal variants and their wild types could provide basis for inducing mutation via plant regeneration and broadening crop genetic diversity.

대두 체세포배에서 전형성층 분화와 경단분열조직의 발달 (Procambium differentiation and shoot apical meristem development in somatic embryos of soybean (Glycine max L.))

  • 최필선;권석윤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55-58
    • /
    • 2013
  • 대두 미숙배 배양으로부터 체세포배를 얻기 위해 1 mg/L 2,4-D를 첨가한 MS배지에서 6 - 8주 동안 배양한 결과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체세포배가 14%, 1개의 자엽을 갖는 비정상 체세포배가 37%, 합생자엽을 갖는 비정상 체세포배가 43% 그리고 생장이 멈춘 구형기 체세포배가 6%로 얻어졌다. 체세포배의 전형층은 하배축에서 원형모양으로 분화되어 자엽 절로 이어진 후 1개의 자엽은 1개 전형성층이, 2개의 자엽은 2개의 전형성층이 각 자엽으로 발달하였고, 합생 자엽의 경우 하배축에서 형성된 원형의 전형성층이 자엽까지 연결되어 있었다. 한편 2개의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의 경우는 tunica-corpus층을 이룬 전형적인 유경조직을 이루고 있었으나 1개 또는 합생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는 tunica-corpus층이 없고, dome모양이 없는 흔적만 남은 유경조직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세포배에서 전형성층의 분화는 자엽의 형성과 유경조직의 발달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멜론 체세포배의 조직학적 특징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matic Embryos in Melon (Cucumis melo L.))

  • 최필선;권석윤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11-515
    • /
    • 2013
  • 멜론으로부터 체세포배를 얻기 위하여 유식물체의 배축 절편을 1 mg/L 2,4-D와 0.5 mg/L BA가 혼합첨가된 MS배지 치상하여 6주 동안 배양하였다. 배축절편으로부터 연한 노란색의 부드러운 캘러스 형성을 거쳐 형성된 체세포배중에는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적인 형태의 체세포배(26%)와 합생 자엽을 갖는 나팔형의 비 정상적인 체세포배(74%)가 관찰되었다. 정상 체세포배의 하배축 부위에서는 원형의 전형성층 조직이 발달되었고, 자엽 절 부위로 이동되면서 점차 독립적으로 나뉘어져 자엽에서는 완전히 2개의 전형성층 조직으로 분화하였다. 그러나 합생 자엽을 갖는 나팔형의 체세포배에서는 하배축에서 발달된 원형의 전형층조직이 자엽 절과 자엽부위에서도 원형의 전형성층 조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또한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 및 합생 자엽을 갖는 비 정상 체세포배 tunica-corpus구조를 볼 수 없었으며 전형적인 dome구조도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세포배에서 전형성층 조직의 분화는 자엽형성 및 유경조직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의 약배양에서 형성된 배의 형태가 유식물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bryo Morphology on Plant Development in Anther Cultures of Paeonia lactiflora Pall.)

  • 손재근;권용삼;김경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5-168
    • /
    • 1995
  • 작약의 약배양에서 재분화되는 식물체의 획득 빈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분소포자에서 유래된 배의 형태 및 형태별 유식물 분화양상에 관한 실험을 수행한 바, 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거나, 2,4-D와 활성탄이 혼용된 배지에서 약으로부터 직접 형성된 배는 80% 이상이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배이었으나, 캘러스로부터 형성된 배의 경우는 자엽 이 1개,3개 또는 4개이거나 볼링핀 및 나팔 모양의 비정상적인 배의 출현율이 60% 이상 높게 나타났다.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 배의 경우는 발아율이 81%로 높았고 정상 식물체로 발육되는 비율도 60.6%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엽이 1개 또는 3~4개인 배는 정상적으로 발육되는 식물체의 비율이 10% 이하로 매우 낮았으며, 특히 볼링핀 및 나팔 모양의 배는 전혀 식물체로 발달하지 못하였다.

  • PDF

Factors for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in tissue cultures of Indian mustard (Brassica juncea L.)

  • Bhuiyan, Mohammed Shafi Ullah;Min, Sung-Ran;Choi, Kwan-Sam;Lim, Yong-Pyo;Liu, Jang-Ryo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2호
    • /
    • pp.137-143
    • /
    • 2009
  • An efficient system for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was established through investigating various factors such as plant growth regulator combinations, explant types and ages, and addition of $AgNO_3$ influenced on shoot regeneration in Brassica juncea L. cv. BARI sarisha-10.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L NAA (1-naphthaleneacetic acid) and 1 mg/L BA (6-benzyladenine) showed the maximum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56.67%) among the different combinations of NAA and BA. Explant type, explant age, and addition of $AgNO_3$ also significantly affected shoot regeneration. Of the four type of explants (cotyledon, hypocotyl, root, and leaf explants)- cotyledon explants produced the highest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and hypocotyls explants produced the highest number of shoots per explant, whereas root explants did not produce any shoot. The cotyledonary explants from Four-day-old seedlings showed the maximum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and number of shoots per explant.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increased significantly by adding $AgNO_3$ to the medium. Two mg/L $AgNO_3$ appeared to be the best for shoot regeneration with the highest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86.67%) and number of shoots per explant (7.5 shoots). Considerable variation in shoot regeneration from cotyledonay explants was observed within the B. juncea L. genotypes. The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ranged from 47.78% for cv. Shambol to 91.11% for cv. Rai-5. In terms of the number of shoots produced per explant, B. juncea L. cv. Daulot showed the maximum efficiency.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L NAA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rooting. The regenerated plantlets were transferred to pot soil and grown to maturity in the greenhouse. All plants were fertile and morphologically identical with the source plants.

유색콩 수집종의 주요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or - Soybean Collections)

  • 정찬식;백인열;고미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3-177
    • /
    • 1996
  • 경상북도 일원에서 수집한 유색콩 146계통을 공시하여 밥밑콩 유전자원의 이용성을 확대하고 유색콩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주요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집계통은 흑색, 흑색 아주까리형, 선비잡이형, 밤색, 갈색, 갈색 아주까리형, 녹색 등 종피의 형태에 따라7종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중 흑색 및 녹색의 종피를 가진 계통이 가장 많았다. 계통별 화색은 자색과 백색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자색을 가진 계,통이 전체 수집종의 90%에 해당하는 132계통이었다. 종실의 종피를 제거한 후 자엽의 색깔은 녹색이 82계통, 황색이 64계통 이었다. 2. 종피형태 별 개화일수, 결실일수 및 생육일수를 조사한 결과 개화일수 및 결실일수의 경우 51∼81일 및 75∼103일의 변이폭을 나타내어 수집계통간 공히 변이폭이 컸던 반면 생육일수의 경우에는 흑색 아주까리계통(123일)을 제외한 모든 계통에서 150∼159일로 비교적 변이폭이 작았다. 3. 100립중의 경우 109이하의 계통으로부터 36g이상의 계통까지 다양하였으나 이들중 흑색종피를 가진 계통중에서도 자엽색이 녹색인 계통들이 황색 계통에 비해 100립중이 무거운 경향을 보였고, 특히 선비잡이형 종피계통의 경우에는 100립중이 36g이상 되는 극대립종이었다. 4. 수집종의 종실형태는 대체로 편타원형이었으며, 길이 : 폭 : 두께의 비율은 평균1 : 0.87 : 0.69였고, 100립중과 종실의 형태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는 길이, 폭, 두께 모두가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 PDF

무우 유묘(幼苗)를 이용(利用)한 식물생리활성물질(植物生理活性物質)의 생물검정법(生物檢定法) (A Bioassay Method with Radish Seedlings for Bioactive Substances)

  • 홍경식;임희경;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44-249
    • /
    • 1988
  • 오옥신활성물질(活性物質) 또는 호르몬형제초활성물질(型除草活性物質)의 생물검정법(生物檢定法)으로 죽송(竹松)의 Raphanus test를 도입(導入)하고자 품종(品種) 및 검정방법(檢定方法)을 검토(檢討)하고 효과(效果)를 확인(確認)하였다. 1. 공시품종(供試品種)중에서 장백미농조생무우가 반응성(反應性), 재료(材料)의 균일성(均一性), 반응(反應)의 정량성(定量性), 재료(材料)의 육성(育成) 및 취급상의 여러 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무우유묘(幼苗)의 자엽병각도(子葉柄角度)는 일당(日當) $6^{\circ}$의 비율로 증가되었으며 곡선희귀식으로 추정(推定)한 약제처리적정시기(藥劑處理適正時期)는 파종후(播種後) 7~9일(日)로 판단되었고 약제처리후(藥劑處理後) 자엽병굴곡각도(子葉柄屈曲角度)는 급격히 증가하여 24시간후에는 최고에 달하였다. 3. 엽제처리후(葉劑處理後) 광(光)의 유무(有無)에 따른 반응성(反應性)은 암조건(暗條件)에서 자연광조건(自然光條件)보다 컸으며 더욱 농도(濃度)에 따라 정량적(定量的)이었고 온도조건(溫度條件)은 $20^{\circ}C$에서 25, 30, $35^{\circ}C$보다 반응성(反應性)이 높았다. 4. 본 생물검정법(生物檢定法)은 $GA_3$, BA, ABA에는 전혀 반응하지 않았으며 homobrassinolide 보다는 ${\alpha}$-NAA에 더욱 특이적으로 반응하였고 오옥신활성물질 또는 호르몬형제초활성물질로 알려진 phenoxy 및 indole 화합물에 정량적(定量的)으로 반응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