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preservative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5초

천연보존제로서 한국산 무 및 종자 단백질의 생화학적 특성 : 항유전독성 및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adish (Raphanus sativus L.) and Its Seed Protein as a Natural Preservative : The Influences on Antigenotoxicity and Cytotoxicity)

  • 최윤혁;황철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61-565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산 무 및 그 종자단백질을 추출 및 분리하여 3T3 세포주에 대해 항유전독성과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과 항균활성을 검토하였다. 3T3 세포주에 직접발암원인 $100{\mu}g/ml$ MNNG를 $10{\mu}l$씩 투여한 후 10mg/ml의 무추출물(RJ)과 1mg/ml의 종자단백질(RSP)을 $10{\mu}l$씩 투여하였을 때, 각각 $43\%$$30\%$의 항유전독성을 보였다. 또한 lactose dehydrogenase (LDH) 정량 분석을 이용하여, 3T3 세포주에 대한 다양한 농도의 RJ 및 RSP를 투여한 후 세포독성을 관찰 한 결과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이미 오염된 화장품에 대해 10 mg/ml 의 RJ와 1mg/ml의 RSP를 투여하였을 때, 세균성오염화장품 시료(C1)에 대해서 RSP가 $85\%$의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진균성오염화장품 시료(C4)에 대해서 RSP는 $79\%$, RJ는 $76\%$의 항균활성을 보였다.

대장균 β-galactosidase를 이용한 benzyl alcohol galactoside의 합성 연구 (Enzymatic synthesis of benzyl alcohol galactoside using Escherichia coli β-galactosidase)

  • 정경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572-580
    • /
    • 2019
  • 최근에 화장품, 식품, 그리고 의약용품의 첨가제로 사용되어지는 benzyl alcohol (BzOH)에 대한 독성 문제와 피부 알러지 문제가 보고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첨가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galactose 한 분자를 BzOH 분자에 결합시킨 benzyl alcohol galactoside (BzO-gal)를 합성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를 수행하였다. 이미 선행연구에서 대장균의 ${\beta}$-galactosidase (${\beta}-gal$)를 이용하여 BzOH로부터 BzO-gal이 transgalactosylation 반응으로 합성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대장균의 ${\beta}-gal$을 이용하여 BzOH로부터 BzO-gal의 합성을 반응액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을 이용하여 BzO-gal-sodium adduct ion (m/z=293.1004)과 BzO-gal의 protonated ion (m/z=271.1180)의 검출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BzOH로부터 BzO-gal로의 합성반응을 실시 할 때, 최적의 ${\beta}-gal$ 양, BzOH 양, 반응 온도, 반응 pH, lactose 농도 등 반응의 최적 조건을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0.75 U/ml ${\beta}-gal$, 185 mM BzOH, 온도 $40^{\circ}C$, pH 7.5, 350 g/l lactose의 조건이 가장 많은 양의 BzO-gal이 합성되는 최적의 조건을 확인하였다. 또한, BzO-gal의 최적 합성 조건에서 36시간 동안 ${\beta}-gal$에 의하여 185 mM BzOH로부터 약 131 mM BzO-gal이 합성되었고, 이 때, 전환 수율(conversion, %)은 약 72%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다 안전한 식품, 화장품, 그리고 의약품용 첨가제의 개발을 기대하고 있으며, BzO-gal의 특성 분석 등 추가적인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생합성된 galactosylated 2-phenoxyethanol의 피부 투과도 (Skin permeability of the biosynthetic galactosylated 2-phenoxyethanol)

  • 김수홍;권순범;김준섭;문기성;정경환;이향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8
    • /
    • 2024
  • 화장품 소재는 안전성이 무엇보다 중요시된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기존의 보존제인 PE에 대장균 효소 𝛽-gal을 이용하여 안전성이 증가된 PE-gal을 생합성하였다. 화장품 소재로 사용하기 위해 생합성된 생성물인 PE-gal의 피부 흡수도를 기존의 보존제인 PE와 비교하기 위해 Franz Diffusion cell Assay 시스템을 이용하여 경피투과도를 측정하였다. 같은 질량농도의 시료를 사용하였을 때 PE의 Flux 값, Kp 값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E-gal은 투과도를 측정할 수 있을 만큼 투과되지 못하였다. 이는 PE의 피부투과도가 생합성된 PE-gal 배당체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Marzulli 등에 따라 Kp 값을 이용하여 투과 정도를 확인하였을 때 PE의 투과속도는 1mg/mL의 농도에서 느림(slow)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배당체 형태의 PE-gal은 PE에 비해 경피 투과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어성초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 항산화 및 세포보호활성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 and Fraction)

  • 윤믿음;이예슬;이윤주;박영민;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9권4호
    • /
    • pp.452-46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어성초(Houttuynia cordata)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제조하고 이들에 대한 생리활성과 성분분석을 하였다. 어성초는 50%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항균활성 측정결과, S. aureus, B. subtilis에 대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MIC 값은 각각 78, $312{\mu}g/mL$으로 나타나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에 대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F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27.15{\mu}g/mL$)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12.00{\mu}g/mL$)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활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총항산화능($O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2.91{\mu}g/mL$), 에틸아세테이트 분획($0.983{\mu}g/mL$) 측정 결과 DPPH에 대한 소거활성과 같은 경향성을 보였다. 어성초 추출물의 HaCaT 세포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UVB 조사 후 세포 내 ROS 소거활성을 확인한 결과, 어성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1.6{\mu}g/mL$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ROS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최고 농도인 $12.5{\mu}g/mL$에서 54.3%의 감소율을 보였다.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세포보호효과 또한, 어성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0.8{\mu}g/mL$부터 세포생존율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최대 86.9%까지 증가시켰다. 실험에 사용된 어성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가지고 TLC와 HPLC를 이용한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quercitrin, isoquercitrin, hyperoside, chlorogenic acid, neochlorogenic acid, cryptochlorogenic acid, rutin 및 afzelin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어성초 추출물 및 분획물은 ROS를 소거하고 항균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세포막을 보호할 수 있는 천연 항산화제 및 천연 방부제로서 화장품 분야에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Risk Assessment of Triclosan, a Cosmetic Preservative

  • Lee, Jung Dae;Lee, Joo Young;Kwack, Seung Jun;Shin, Chan Young;Jang, Hyun-Jun;Kim, Hyang Yeon;Kim, Min Kook;Seo, Dong-Wan;Lee, Byung-Mu;Kim, Kyu-Bo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5권2호
    • /
    • pp.137-154
    • /
    • 2019
  • Triclosan (TCS) is an antimicrobial compound used in consumer products.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oxicology and risk assessment of TCS based on available data. Acute toxicities of oral, transdermal and inhalation routes were low, and phototoxicity and neurotoxicity were not observed. Topical treatment of TCS to animal caused mild irritation. TCS did not induce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ity in rodents. In addition, genotoxicity was not considered based on in vitro and in vivo tests of TCS. It is not classified as a carcinogen in international authorities such as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NOAEL) was determined 12 mg/kg bw/day for TCS, based on haematoxicity and reduction of absolute and relative spleen weights in a 104-week oral toxicity study in rats. Percutaneous absorption rate was set as 14%, which was human skin absorption study reported by National Industrial Chemicals Notification and Assessment Scheme (NICNAS) (2009). The systemic exposure dosage (SED) of TCS has been derived by two scenarios depending on the cosmetics usage of Koreans. The first scenario is the combined use of representative cosmetics and oral care products. The second scenario is the combined use of rinse-off products of cleansing, deodorants, coloring products, and oral care products. SEDs have been calculated as 0.14337 mg/kg bw/day for the first scenario and 0.04733 mg/kg bw/day for the second scenario. As a result, margin of safety (MOS) for the first and second scenarios was estimated to 84 and 253.5,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exposure of TCS contained in rinse-off products, deodorants, and coloring products would not pose a significant health risk when it is used up to 0.3%.

원산지별 감초추출물의 추출 조건별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corice Extracts from Various Countries of Origin according to Extraction Conditions)

  • 배정윤;장하나;하지훈;박종호;박진오;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61-36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추출조건에서 원산지별 감초(한국은 제천감초, 우즈베키스탄산, 중국산) 추출물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원산지별 감초추출물의 추출조건은 추출용매(30% EtOH, 85% EtOH), 온도($40^{\circ}C$, $60^{\circ}C$), 시간(6 h, 12 h)을 조절하여 총 8군으로 설정하였다.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disc diffusion assay, broth macrodilution assay 및 kill time curve assay에 의해 평가되었다. 각각의 조건별 추출물들에 대하여 disc diffusion assay에 의해 각 원산지별 항균활성을 확인한 후,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인 추출 조건을 선정하였다. 한국산 감초추출물(85% EtOH, $40^{\circ}C$, 12 h)이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P. acnes에 대하여 2.5 mg/disc에서 19 mm을 저해하였다. 최소저해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는 액체 희석법을 이용하였으며, 원산지별 감초추출물의 MIC와 MBC는 한국산 감초추출물에서 각각 $156{\mu}g/ml$$1,250{\mu}g/ml$로 우즈베키스탄 감초추출물($625{\mu}g/ml$$2,500{\mu}g/ml$)과 중국산 감초추출물($625{\mu}g/ml$$5,000{\mu}g/ml$)보다 가장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하여 다양한 추출조건에서 추출한 원산지별 감초추출물 중에서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최적의 조건과 원산지가 F군(85% EtOH, $40^{\circ}C$, 12 h)에서 추출한 한국산 감초임을 확인했다. 이는 현재 사용되는 합성 방부제를 대신할 천연방부제인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Seeds of Native Korean Persimmon Genotypes

  • Kim, Il-Doo;Dhungana, Sanjeev Kumar;Kim, Hye-Ryun;Shin, Dong-Hy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70-678
    • /
    • 2017
  • Persimmon seeds contain considerable amounts of minerals, amino and organic acids, natural antioxidants and phenolic compoun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Korean persimmon seeds. The pH (4.88-4.94), color values, contents of minerals, free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phenolic compounds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s of persimmon seed extracts significantly (p < 0.05) varied with the genotypes.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eds could be used as a source of different mineral elements (47.14-85.07 mg/kg) without any measureable amount of heavy metals such as arsenic, cadmium, lead and mercury. Similarly, considerable amounts of organic (1550.13-2413.08 mg/kg) and essential amino (50.85-54.03 mg/kg) acids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1227.91-1307.78{\mu}g$ gallic acid equivalent/g) were also found in the seed extracts, indicating their potential food value as a natural antioxidant.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mply that prethanol-A, a food preservative, can be used as an effective extraction to obtain the minerals, organic and free amino acids, and phenolic compounds from the persimmon seeds, which possess a big potential to be commercially used in foo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MICROBIOLOGICAL QUALITY OF BRAZILIAN LIPSTICKS AFTER NORMAL USE BY CONSUMERS

  • D.M.M. Pedroso;G.R. Dias;Gesztesi, J-L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524-526
    • /
    • 2003
  • Lipsticks are cosmetics which do not contain water and are usually preserved with parabens. When submitted to the Challenge Test, theses products did not reach the CTFA criteria, which means that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could occur before the end of its shelf lif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tamination level of 130 lipsticks after its use.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14,6 % of the samples. However, only in two samples (1,5%) the contamination level exceeded the 100 CFU/g level, which means that, although the preservative system was not efficient to eliminate bacteria, the lack of free water was enough to prevent the microbial development. Total bacteria and fungi were determined by conventional methodology, according to CTFA Microbiological Guidelines. The microbes were then isolated and characterized as normal skin flora microorganisms. This suggest that products were contaminated by the constant application of lipsticks by consumers. This could lead to cross contamination when the same product is shared by several people. Extra car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this type of products are available to be tested by several consumers in demonstration displays.

  • PDF

목향(木香) 에탄올추출물의 항균효과(抗菌效果)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Saussurea lappa)

  • 이성진;김대성;문연자;우원홍;이장천;임규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0-107
    • /
    • 2009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Saussurea lappa for the applications of herb-based extracts to both cosmetic and medicinal industries. Methods :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Saussutes lappa (ESL) was assessed using agar diffusion and broth dilution methods, and determined by whether clear zone was formed around paper disc and in terms of the size (mm) of clear zone, Results : ESL provided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27 in concentration of 1 mg/ml with an clear zone of 16 mm, and showed an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s KCTC 1917 in concentration of 1 mg/ml with an clear zone of 18mm. Moreover,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ESL against S. sureus and S. epidermidls were 1 mg/ml for both bacterial species. However, ESL showed no growth inhibition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KCTC 12513, Enterobactet aerogenes KCTC 2190, Escherichia coli KCTC 2571, Salmonella typhimurium KCTC 1925 and Propionibacterium acnes KCCM 41747. Conclusions : Antibacterial activity of ESL against Staphylococcus sureu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s causing eye and skin diseases was proved. The result suggest that ESL may be useful as a natural preservative on behalf of synthetic preservatives.

  • PDF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Extracts)

  • 원두현;구현아;김혜진;한샛별;박진오;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84-29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원료로서 삼지구엽초의 응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균 효과와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피부상재균에 대한 disc diffusion assay에서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낸 분획-균에 대해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하였다.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에 대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항균 활성과, S. aureus에 대한 50% 에탄올 분획의 항균 활성은 대표적인 방부제인 methyl paraben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는 삼지구엽초의 세 분획 모두 대표적 항산화제인 (+)-${\alpha}$-토코페롤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Fe^{3+}-EDTA/H_2O_2$ 계를 이용해 다양한 ROS에 대한 총 항산화 활성($OSC_{50}$)을 실험한 결과, 50% 에탄올 추출물($OSC_{50}=2.46{\pm}0.06{\mu}g/ml$)과 아글리콘 분획($OSC_{50}=1.45{\pm}0.02{\mu}g/ml$)은 비교 물질인 L-ascorbic acid($OSC_{50}=1.50{\pm}0.85{\mu}g/ml$)과 유사한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광증감 반응을 이용한 세포 보호 효과(${\tau}_{50}$) 실험에서 50% 에탄올 추출물(${\tau}_{50}=37.0{\pm}0.3$ min)은 비교 물질인 (+)-${\alpha}$-토코페롤(${\tau}_{50}=38.0{\pm}1.8$ min)과 유사한 값을 보여주었다. 특히 아글리콘 분획의 ${\tau}_{50}$$165.9{\pm}7.2$ min으로 비교 물질인 (+)-${\alpha}$-토코페롤에 비해 4배가 넘는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보았을 때, 삼지구엽초 추출물은 항균 또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