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materials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29초

복숭아 유과 씨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smetic Materials Using Unripe Peaches Seed Extracts)

  • 김다미;김경희;김영식;고종호;이경행;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0-1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유과 씨의 품종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 tyrosinase 저해활성 및 elast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폴리페놀 화합물과 총 항산화력 과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씨의 추출수율을 관찰한 결과, 몽부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20~6.16%의 수율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18.33~27.08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에서 천중도의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활성에서는 용택골드, 천중도백도에서 높은 tyrosinase 저해능을 보였으나, elastase 저해활성에서는 마도카에서 다른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elastase 저해능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활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항산화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 또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복숭아 유과 씨는 항노화, 미백, 주름방지로 화장품 산업에서 천연 물질로 잠재적인 기능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HaCaT 피부 각질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다정큼나무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세포 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s of an Ethyl Acetate Fraction of Raphiolepsis indica Against Oxidative Stress in HaCaT Keratinocytes)

  • 양은주;김혜란;장경수;장정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688-694
    • /
    • 2020
  • 제주에서 자생하는 식물인 다정큼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관목으로 다정큼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총페놀 함량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정큼나무 추출물에서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물을 이용하여 분획물을 제조하고, 5가지 분획물의 항산화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외부환경요인 및 자외선 등을 통해 산화적 스트레스가 많이 발생하는 피부각질세포에서의 항산화효과 및 세포보호효과를 확인하고자 사람 각질세포인 HaCaT세포를 이용하였다. 항산화능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통해 관찰하였고 HaCaT 세포보호효과는 세포에 과산화수소(H2O2)와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를 통해 확인하였다. 다정큼나무 잎 추출물 및 5가지 분획물 중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가장 낮은 라디칼 잔여량이 관찰되었고 H2O2에 의한 HaCaT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차단하여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이를 토대로 다정큼나무 잎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높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사람 각질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다정큼나무 잎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이용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손상을 억제하는 기능성 물질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제시한다.

악안면 보철용 실리콘의 물리적 특성 및 색조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OLOR STABILITY OF MAXILLOFACIAL PROSTHETIC SILICONE MATERIAL)

  • 박찬진;김창회;김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30-343
    • /
    • 1997
  • Extraoral maxillofacial prostheses are essential for restoring facial structures that are lost as a result of congenital missing, injuries from accidents, surgical treatments of head and neck cancer. Recently, silicone is the most useful material for this purpose and is more advantageous than other maxillofacial prosthetic material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for long-term usage of silicone prostheses due to tear and color change. These are major contributing environmental factors to those problems that are such as ultraviolet light, cleansing agents, changes in humidity and successive adhesion and remova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olor changes of maxillofacial prosthetic silicone material by those environmental factors using A-2186 silicone material (Factor II, USA) and two pigments, cadmium yellow medium and cosmetic red. Aluminium molds were fabricated according to the ASTM No. D412 & D624 specifications and resulted specimens from molds were fabicated and treated as follow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I group were fabricated with 0.1% wt. pigment mixing in silicone elastomer and II-1 group, II-2 group of experimental II group were fabricated with 0.2%, 0.3% wt. pigment mixing in silicone elastomer, respectively. Control group was kept in darkroom at room temperature, I-1 group was kept under natural sunlight during 1week, I-2 group was soaked in 20% soap water during 1wk. I-3 group was successively adhered and removed 200 times on inner region of arm using Daro adhesive-33. Experimental II groups were kept in darkroom at room temperature.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was used to measure the % elongation, tensile strength, tear strength of control, experimental I, II groups and reflectance spectrophotometer(COLOR EYE-3000, Macbeth, USA) was used to measure the color differences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I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natural weathering group and 20% soap-water soaking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 elongation(p>0.05). 2. 200 times successive adhesion and removal group, 0.2% wt. pigment group and 0.3% wt. pigment group had significant decreases in % elongation(p<0.05). 3. Natural weathering group, 20% soap-water soaking group and 200 times successive adhesion and removal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nsile strength (p>0.05). 4. 0.2%, 0.3% wt. pigment groups had significant decreases in tensile strength(p<0.05). 5. Values of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decreased in tear strength. and 200 times successive adhesion and removal group had significant decrease in tear strength(p<0.05). 6. Natural weathering group and 20% soap-water soaking group had significant color differences(${\Delta}E$) and it could be detectable to naked eye(p<0.05). 7. Color differences between control group and 200 times adhesion and removal group were not detectable to the naked eye (${\Delta}E<1.0$).

  • PDF

9성분계 모델 콜타르 흡수유 중에 함유된 질소고리화합물의 메탄올 추출 (Methanol Extraction of Nitrogen Heterocyclic Compound Contained in Model Coal Tar Fraction of Nine Components System)

  • 김수진;강호철
    • 공업화학
    • /
    • 제25권2호
    • /
    • pp.142-146
    • /
    • 2014
  • 9성분계 모델 콜타르 유분 중에 함유된 질소고리화합물(NHC)의 분리를 분배평형에 의해 검토했다. 원료로서는 NHC group (NHCs; quinoline (Q), iso-quinoline (iQ), indole (In), quinaldine(Qu)), 2환 방향족 화합물 group (BACs; 1-methylnaphthalene (1MN), 2-methylnaphthalene (2MN), dimethylnaphthalene (DMN)), biphenyl (Bp)과 phenyl ether (Pe)로 제조한 모델 콜타르 유분을, 용매로서는 메탄올 수용액을 각각 사용했다. 액-액 접촉 장치로서는 회분 교반기를 각각 사용했다. 평형조작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NHCs의 분배계수는 증가했으나, 역으로 BACs를 기준한 NHCs의 선택도는 감소했다. 초기 물/용매의 체적비가 감소함에 따라 BACs를 기준한 NHCs의 선택도는 급격히 감소했으나, NHCs의 분배계수는 증가했다. 일정 조건하에서, 각 group별 분배계수와 BACs를 선택도의 순서는 NHCs > Bp > BACs > Pe와 NHCs > Bp > Pe를 각각 나타냈다. 또한 전체 성분에 대한 분배계수의 순서는 In > iQ = Q > Qu > Bp > 1MN = 2MN > Pe > DMN을 나타냈다. 메탄올 추출에 의해 얻어진 NHCs의 최대 수율과 BACs를 기준한 NHCs의 최대 선택도는 각각 94%, 23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실험적 결과를 이용하여 콜타르 중에 함유된 NHCs의 회수공정을 검토했다.

Thermo-splint를 이용한 불안정한 관골궁골절에 대한 효과적인 고정방법 (The Effective Reduction Method of Unstable Zygomatic Arch Fracture with Thermo-Splint)

  • 김순흠;이수향;최현곤;신동혁;엄기일;송우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1호
    • /
    • pp.110-115
    • /
    • 2008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management of unstable zygomatic arch fracture. The reduction methods of arch fracture were relatively simple but the maintenance of reduction state is very troublesome. On this, authors introduce an effective management method of unstable zygomatic arch fracture. Methods: Authors experienced 23 cases of unstable segmental zygomatic arch fractures and used Thermo-splint in all cases. All the arch fractures were reduced through Gillies' approach under the general anesthesia. After the reduction, the most effective suspension points were marked on the covering skin of the fractured arch. A needle of heavy nonabsorbable suture material was inserted toward the marking site under the reduced zygomatic arch. And then Therm-splint was dipped in the hot water, and we got the splint pattern of patient face. Reshaped Thermo-splint was trimmed and fixated with previous suspension suture materials. More additive suspension was done if necessary. The splint was applied for in two to three weeks postoperatively. Results: In all the cases, good cosmetic and functional results were observed without severe complications. There were 4 cases of incomplete reductions but they also had no specific problems. There were no facial nerve symptom and scar(stitch mark). Postoperative slight tenderness and trismus were completely subsided after removal of the splint. Conclusion: The Thermo-splint safely protect and maintain the postoperative reduction state. The application, maintenance and removal were easy and simple. It could be reformed to any contour of face and had enough rigidity for supporting. Above all these things, effective prevention of displacement and easy manipulation were significant merit. Authors experienced good results with Thermo-splint, and would introduce it for another method of management of zygomatic arch fracture.

부평초 추출물의 미백 및 항주름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 of Spirodela polyrhiza extracts)

  • 김동희;박태순;김세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391-398
    • /
    • 2019
  • 부평초 추출물 및 부평초 분획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 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부평초 70% 에탄올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SE-E) 100 ㎍/mL 농도에서 각각 44.2와 74.3%로 나타났다. 항주름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내에서의 procollagen 생합성 활성과 MMP-1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부평초 70% 에탄올추출물(SE)은 25 ㎍/mL 농도에서 48.5%, 같은 농도에서 SE-E는 가장 높은 57.8%의 생합성 활성을 나타내었다. SE와 SE-E의 MMP-1 저해활성은 25 ㎍/mL 농도에서 각각 13.4와 28.5%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melanin 생합성 저해 활성과 세포내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25 ㎍/mL 농도에서 SE는 각각 9.6과 13.8%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E-E는 각각 15.4와 22.0%의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SE와 SE-E의 높은 항주름 및 미백 활성이 확인되어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높아 졌으며 추가적인 항균, 항염, 항암 등의 연구가 진행된다면 제약, 화장품, 기능성 식품 등의 분야에 효과적인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hlamydomonas sp. 유래 mycosporine-like amino acid 혼합물의 항주름 활성 (Anti-corrugation activity of micosporine-like amino acid mixtures from Chlamydomonas sp.)

  • 서승석;서효현;이정훈;황진익;박미례;모상현;이택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393-5399
    • /
    • 2014
  • 미세조류 유래 mycosporine-like amino acids (MAAs) 혼합물의 항주름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type I procollagen, elastin 및 involucrin 유전자 발현분석을 실시하였다. Chlamydomonas sp.를 80% 에탄올로 추출하고, 컬럼을 통해 분획물을 정제하고, HPLC 분석을 통해 asterina 330+palythine (A+P) 및 shinorine+palythine (S+P) 혼합물을 정제하였다. MTT assay 결과 A+P 및 S+P는 0.1 mg/mL까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UV에 노출된 섬유아세포에 대한 MAAs 혼합물의 영향을 분석하였을 때, 0.05 mg/mL A+P 및 0.01 mg/mL S+P 농도에서 각각 2.7 및 3.6 배 PCOLCE mRNAs 발현이 증가하였다. Elastin 유전자는 0.01 mg/mL의 A+P 및 S+P를 처리하였을 때 각각 5.59배 및 3.1배 발현이 증가하였다. 특히 0.01 mg/mL의 A+P 및 S+P 농도에서 involucrin mRNAs 발현이 UV 처리된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5배 및 2.5배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Chlamydomonas sp. 유래 MAAs 혼합물은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위한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후경골 동맥 유리 피판에 의한 수부 전기 화상의 재건 (Reconstruction of Electrical Burned Hand by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 최수중;서은민;이창주;장준동;김석우;이상훈;이동훈;서영진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4-23
    • /
    • 2004
  • Introduction: The hand and wrist ar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electrical burn. Skin defect with damage or exposure of underlying vital structure requires coverage by skin flap especially in case of the need for late reconstruction. We are reporting 4 cases of electrical burned hand treated by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The commonly used skin flaps such as scapular flap or groin flap are too bulky so that they are not satisfactory in function and cosmetic appearance. So we tried to cover them with a more thin skin flap. Materials and Method: From January 2002 to June 2003, four cases of hand and wrist electrical burn were covered using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All the cases were due to high voltage electrical burn. Age ranged from 31 years to 38 years old and all the cases were male patients. Recipient sites were 2 wrist, one thenar area and one knuckle of 2.3rd MP joint. Additional procedures were flexor tenolysis (simultaneous), FPL tenolysis and digital nerve graft (later) and extensor tendon reconstruction (later). Result: All the flap have survived totally without any complication including circulatory concern about the donar foot. Posterior tibail arterial free flap was so thin that debulking procedure was not required. Conclusion: For skin coverage of the hand & wrist region,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reliable anatomy, easy dissection and easy anastmosis with radial or ulnar artery and possibility of sensory flap. The most helpful advantage for hand coverage is its thinness. So we think this flap is one of the very useful armamentarium for reconstructive hand surgery.

  • PDF

열처리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염 활성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eat-treated Starfish Extract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 박재현;안근재;이선령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634-639
    • /
    • 2020
  • 불가사리는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가진 유용한 해양생물자원으로 알려져 있으나 불가사리가 가진 특유한 냄새로 인해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우리는 최근에 로스팅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율적인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열처리된 불가사리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PS에 의해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서 열처리 불가사리 추출물의 염증 조절 기전을 조사하여 항염증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열처리 불가사리 추출물은 LPS에 의해 증가된 NO의 분비량과 iNOS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켰고 IL-1β와 IL-6와 같은 pro-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에서도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열처리 불가사리 추출물에 의한 NF-κB p65 단백질의 핵으로의 전이 억제와 NF-κB 저해제인 PDTC와의 동시 처리에 의한 NO 분비량 감소는 열처리 불가사리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 효과가 NF-κB 신호전달을 통해 이루어짐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열처리 불가사리 추출물이 NF-κB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염증매개인자들의 발현을 억제하여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품종별, 생육단계별 시설재배 오이의 페놀화합물 함량과 항균효과 및 Tyrosinase 억제활성 (Phenolic Compounds, Antimicrobial Effects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Cucumber Grown Greenhouse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th Stages)

  • 양승렬;부희옥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45-651
    • /
    • 2013
  • 시설오이로 많이 재배되고 있는 4 품종을 선발하여 생육단계별로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피부염증과 가려움증 관련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Malassezia furfur균에 대한 항균효과 그리고 tyrosinase 억제 활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장죽청장과 장형낙합 품종에서 늘푸른청장과 신조은백다다기 품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생육단계별로는 대부분 수확기에 이른 5단계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조사된 오이 4품종 모두 생육단계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균에서는 장형낙합 품종이 모든 생육단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Staphylococcus epidermidis균에서는 생육단계 및 품종에 따라 저해환이 8~12 mm로 항균성에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Malassezia furfur균에서는 장죽청장에서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생육 3, 4단계에서는 저해환이 14 mm로 형성되어 가장 높은 항균효과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오이의 항균성은 Staphylococcus aureus균에서 비교적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이 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 활성은 장축청장과 신조은백다다기 품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장형낙합 품종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지만, 늘푸른청장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낮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생육초기보다 수확기에 이르렀을 때 모든 품종에서 tyrosinase 억제 활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 피부상재균 및 비듬균에 대한 오이의 항균성과 미백효능을 확인함으로서 향후 고부가가치 향장소재로서의 이용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