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image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4초

피부결 및 주름 평가에 있어 광학단층영상술(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활용 연구(Pilot Study) (Evaluation of Skin Texture and Wrinkle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Pilot Study))

  • 김승훈;안유진;;김필운;정웅규;이해광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47-254
    • /
    • 2017
  •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는 광 산란과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생체조직의 표면 및 내부 구조를 이미지화 할 수 있는 영상기술이다. OCT 기술은 질병의 조기진단과 같은 의료 분야에서 활발히 활용되어 왔으나 미용을 위한 피부진단으로의 적용은 아직 초기단계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OCT를 피부효능평가에 도입하여 피부결 및 주름 평가에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모사판(replica)을 대상으로 한 평가에서 PRIMOS와 유사한 패턴을 보여 주었고 주름을 모사한 3차원 모델을 이용한 평가에서는 PRIMOS에 비해 측정각에 따른 오차가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커버력 화장품을 이용한 사용 전후의 평가에 있어서도 이를 구분할 정도의 해상도를 보였다. 이러한 평가를 통해 OCT의 미세주름평가에서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고 향후 더 구체화된 연구를 통해 그 활용가능성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예정이다.

현대 여성의 콘트라섹슈얼 성향에 따른 패션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Depending on the Modern Woman's Contra-sexual Trend)

  • 양은진;이인성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5호
    • /
    • pp.733-745
    • /
    • 2009
  • The contra-sexual phenomenon that is recently focused is one of the new factors, which is focused when explaining the life style of progressive woman's image and it is creating cultural category. Moreover, the contra sexual people that are rising as new consuming subjects are not simple primary consumers but their shopping culture and cultural tastes are giving effects to many people. Because of the tendency, marketer of consuming industry are making efforts to predict the changes of contra-sexual people's shopping habits and tast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sp contra-sexual phenomenon and research the fashion design aiming at that in order to predict woman's fashion image in the future. Therefore, the study considered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contra-sexual phenomenon and surveyed its example in the popular culture. And, the study analyz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contra-sexual fashion shown in the public cultures such as drama and movie. On the basis of the result, design was suggested by reflecting contra-sexual fashion characteristic under the concept of 'Urban Splendor'. From the results above,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contra-sexual phenomenon, which appeared as a trend and understand new woman's image and the fashion that has changed because of it. It is consider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of contra-sexual phenomenon, which plays as an important variable in woman's fashion, fashion accessory, cosmetic and advertisement field but it is hard to clarify, by analyzing the work aiming at contra-sexual phenomenon will be helpful for predicting the change of woman's fashion in the future.

  • PDF

남성화장품 브랜드명의 의미론적 특성 (Semantic characteristics of men's cosmetics brand names)

  • 나수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9-5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men's cosmetics brand names by analyzing 51 brand names in the domestic market, so as to find ways to develop strategic brand names.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area, the study looked at the Interbrand Company's Name Spectru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en's cosmetics brand names turned out to be freestanding brand names, descriptive brand names, and associative brand names, in that order. The freestanding brand names were found to be the initial combinations of the words that have the desired benefits in the concepts of the pertinent brands; in other words, coined brand names that were made by synthesizing words such as nice men, naturalism, eco-friendly plant-derived materials and ideal skin. Associative brand names are generally used to express the effect of enhancing brand awareness by considering the phonetic image of the word or prompting a masculine and favorable image. Descriptive brand names use language symbols such as men, homme, man, monsieur and gentle to represent specific business and product categories for men, and also use stem, plant, flower, skin, beauty, moisturizing, tosowoong and so on to provide the properties and benefici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s. In conclusion, the men's cosmetics brand names embody an important factor that symbolizes the concepts, functions or features of the brand, and there is a need for men's cosmetic brands to develop more unique and distinctive brand names to promote their brand names as constitutional factors that can build brand power and strengthen brand image.

남성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세분집단별 화장품 구매행동 비교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of Males Based on the Fashion Life Style)

  • 홍성순
    • 복식
    • /
    • 제57권2호
    • /
    • pp.29-4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male consumer groups according to the fashion lifestyle, to examine characteristics, needs and wants of each group, and to find out differences of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among each group segment. After surveying 19-50 year old males by making a visit to college, company and home, 584 sampl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7.0) package program.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crosstabs and $X^2-test$ were used to analys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wenty-two questionnaires using AIO fashion lifestyle variables produced seven factors; oriented fashion, flaunting brand preference, active preference, information intention, strong personality, reasonable economy and others directivity. Three groups based on oriented seven factors: personality, fashion and economy. 2. The Personality group had strong personal characters in their fashion. Men in this group prefer casual style and were represented by singles and professionals in their 30's. The fashion group pursued fashion trends, formal wears, and high-priced fashions. They were represented by singles with high-income managerial positions in their 19-29 age group. The economy group represented the largest sample in this study(54.5%). Men in this group tended to purchase fashion goods during of good fabrics at discount stores. This group represented married man with average incomes in their 40's. 3. Each of these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The personality group mainly purchased cosmetics on-line market because of price. The Internet tended to be their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s. They spent under 10,000won and pursued a simple and clear image. The fashion group purchased cosmetics at department stores to benefit from the knowledge of sales personal and their source of informations in the mass media. They spent over 70,000won monthly and pursued also a simple and clear image. The economy group purchased cosmetics at discount stores because of their wide assortment of products. They spent under 30,000won monthly and pursued a simple and clear image. Each of these groups currently consume different products and have a different concept of future cosmetic products.

각질세포 내 멜라닌 정량과 피부색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Melanin Content in Corneocyte with Skin Color)

  • 곽택종;장민열;이상민;박선규;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3-198
    • /
    • 2010
  • 사람의 피부색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멜라닌은 표피 기저층의 멜라닌형성세포(Melanocyte)에 의해 생성되어 피부 전반에 분포하고 있으며, 표피의 가장 외각인 각질층에서도 멜라닌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각질세포 내 멜라닌과 피부색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각질세포 내 멜라닌의 선택적 염색(Fontana-Masson method) 및 영상분석을 통한 정량적 평가법을 확립하였고, 각질세포 내 멜라닌 양과 색차계를 통한 피부색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71명의 여성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색차계를 이용한 피부색과 동일부위의 각질세포에 함유된 멜라닌을 정량하여 비교하였을 때, 각질 세포 내 멜라닌이 차지하는 면적을 나타내는 MCA (Melanin covering area)값이 피부색의 $L^*$값, $ITA^{\circ}$ (Individual Typology Angle)값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각각 r = 0.6049, r = 6651).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각질세포 내 멜라닌 양이 피부색 분류의 새로운 기준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MCA값에 따라 새로이 피부색을 분류하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해, 각질세포 내 멜라닌 정량법의 개발과 멜라닌 양에 따른 새로운 피부색 분류 기준을 세울 수 있었으며 개발된 각질세포 내 멜라닌 정량법은 향후 새로운 in vivo 미백 평가 및 피부 색상과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복합적 인식 및 만족도 (Customers' Convergent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about Cosmeceuticals)

  • 박수하;권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59-464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지역 20-50대 성인 남녀 161명을 대상으로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에 대한 인지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소비자들을 위한 개선 사항을 분석하여 향 후 마케팅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코스메슈티컬이라는 생소한 용어 때문에 40대 이 후 연령에서는 인지도가 떨어지지만 병원에서 사용되는 전문성, 의사의 권유, 과학적인 이미지로 많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 49.85%의 사용자 중 94.41%가 재 구매의사를 밟혀 매우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고, 50.15%의 비사용자 중 향 후 구매 의사를 밝힌 응답자가 72.22%에 해당하였다. 피부지식도가 높을수록 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미적 실천율이 높았으며, 제품을 선택 할 때는 피부지식도가 높을수록 비사용자는 브랜드 인지도(r=.222, p<.05)와 성분(r=.245, p<.005)을 많이 고려함을 알 수 있었고 사용자는 피부지식도가 높을수록 사용의 용이성(r=.162, p<.05)을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직은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에 대한 전체 소비자들의 인지가 높지 않으므로 지속적인 홍보와 재 구매 요인 강화 및 일반화장품과의 차별화 전략이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요엽후박나무 추출물의 입술 주름 개선에 대한 연구 (Effects of Magnolia Officinalis Bark Extract on Improvement of Lip Wrinkles)

  • 이선주;김미나;박성범;김기영;박선규;김미선;강내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5-103
    • /
    • 2019
  • 입술은 각질층이 매우 얇아 수분증발에 취약하며, 노화 과정에서 주름이 증가하고, 붉은색을 잃으며, 볼륨이 감소하게 된다. 매력적인 입술을 가지기 위해 시행되는 지방이식, 필러 주입을 대체하기 위한 성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가 거의 없으며, 최근 새로운 지방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인체 내 지방을 늘릴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우리는 선행연구에서 지방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천연물질로써 요엽후박나무 추출물(Magnolia officinalis bark extract)의 우수한 효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요엽후박나무 추출물이 바이오 프린팅으로 제작한 지방 유사 구조체에서 지방(lipid droplet)의 양을 증가시키면서 분화를 촉진시킴을 3D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입술 주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주름 사진으로 부터 명암값의 표준편차(SDGV)를 J 이미지 소프트 웨어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객관적 측정 방법을 확립하였고, 주름 정도에 따른 입술 주름 그레이드를 도출하여 정량화하였다. 결과적으로 요엽후 박나무 추출물 1%를 함유한 제품을 12주간 사용했을 때, 입술 주름을 유의하게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요엽후박나무 추출물이 지방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효능을 가지며, 이러한 효능이 입술 주름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따라서 요엽후박나무 추출물은 입술 주름과 볼륨을 개선하는 화장품 후보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백 기능성 화장품 원료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In Vitro 색소화피부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 In Vitro Pigmented Skin Model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Whitening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s)

  • 김설영;이건희;곽은지;김수지;이수현;임경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97-30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미백 기능성 화장품 및 원료의 효능을 평가하는 동물대체시험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세포수준과 색소화피부모델(KeraSkin-MTM)에서 기존에 잘 알려진 4종의 미백기능성원료(arbutin, ascorbic acid, kojic acid, niacinamide)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특히 기존 시험법의 보완을 위해 인체피부유래 케라틴세포와 멜라닌세포를 혼합하고 공배양하여 색소화피부모델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색소화피부모델을 이용하여 미백효능을 평가함으로써 세포수준에서는 확인이 어려웠던 각 피부세포층에 따른 멜라닌 과립과 멜라닌캡(melanin cap)의 분포 등의 지표들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미지분석을 통한 정량화로 음성대조군 대비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KeraSkin-MTM을 이용한 미백효능평가법이 기존에 사용하던 총멜라닌함량와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평가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법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살리실릭애씨드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가 적용된 투명 클렌징 워터의 개발 (Development of Transparent Cleansing Water with Salicylic Acid and Capryloyl Salicylic Acid)

  • 여혜림;박인정;정소영;이소민;김형묵;이미기;곽병문;빈범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7-95
    • /
    • 2022
  • 본 연구는 베타 하이드록시애씨드(beta-hydroxy acid, BHA)인 살리실릭애씨드와 지방족 하이드록시애씨드(lipo-hydroxy acid, LHA) 중 하나인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capryloyl salicylic acid)가 적용된 투명한 외관의 클렌징 워터 제품 개발에 관한 것이다. 에탄올, 폴리올 및 소듐 하이드록사이드를 이용하여 지용성인 살리실릭애씨드와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상승시킨 후 2 종류의 PEG 계면활성제의 이중 마이셀 구조를 이용하여 현탁 및 석출 현상을 보완함으로써 투명 외관을 안정화하였다. 이러한 기술이 적용된 클렌징 워터를 개발하였고 광학 카메라와 이미지 분석기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세정 능력과 피부결 개선 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개된 가용화 기술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 그동안 적용이 어려운 LHA의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제안하며 새로운 화학적 필링 제품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목적 콘택트렌즈 용액에 대한 미용 칼라렌즈의 탈색 관찰 (Bleaching Observation of Cosmetic Color Lenses According to Multipurpose Contact Lens Solutions)

  • 김효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5-303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렌즈 관리에 이용되는 다목적 콘택트렌즈 용액에 의한 탈색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6개월용 착용렌즈로 굴절력이 0.00 D이며, 주변부가 다른 제조공법으로 착색된 세 가지 칼라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였고(타입 1: pigment application method, 타입 2: chemical bonding process, 타입 3: sandwich method), 다목적용액은 성분이 다른 두 종류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칼라 콘택트렌즈는 다목적용액에서 20일간 보관하면서 1일 15초 동안 소용돌이 혼합(vortexing) 하였다. 소용돌이 혼합 전과 후에 형광흡광도, 표면사진 그리고 명도지수와 색좌표지수를 측정하여 탈색정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두 종류의 다목적용액에서 모든 타입의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형광 흡광도 값은 소용돌이 혼합 전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면사진은 렌즈의 전면은 모든 타입에서 매끄러웠고, 후면은 타입 3은 1과 2 보다 돌출된 정도가 적었다. 소용돌이 혼합 전과 후 렌즈 표면색의 색차 변화는 타입 3이 타입 1과 2보다 유의하게 변화도가 작았으나 모두 허용오차 안에 들었다. 결론: 소프트 콘택트렌즈 다목적 용액에 의한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탈색은 형광 흡광도와 표면색 측정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따라 렌즈 후면의 돌출된 정도는 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