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tisol

검색결과 785건 처리시간 0.03초

근무형태별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불안 조사: 타액 코티솔과 자가보고 척도를 이용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Occupational Stress and Anxiety Through Salivary Cortisol and Self-Report Scale in Korean Nurses on Shift and Regular Work)

  • 서민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206-21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salivary cortisol levels, self-reported occupational stress, and anxiety before duty to those after duty in the shift and regular work nurse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Methods: Thirty nurses working in a tertiary hospital participated in the study. Salivary specimen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daytime duty for 2 days. The occupational stress and state anxiety were also evalua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ults: The average level of salivary cortisol was $0.40{\mu}g/dL$ before duty and $0.20{\mu}g/dL$ after duty in Korean nurses. Overall levels of salivary cortisol, self-reported occupational stress, and anxiety were higher in shift working nurses than regular working nurses. In shift working nurses, the salivary cortisol gap between before and after duty was attenuated on the first day of daytime dut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vel of cortisol before duty and anxiety after duty. Conclusion: Strategies to alleviate occupational stress and anxiety are needed for shift working nurses, especially for those with elevated levels of cortisol. It seems to require 3days to recover from attenuated cortisol rhythm during nighttime duty in shift working nurses.

Comparative Analysis of Salivary Cortisol in Young Adult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Chan-Young Cheon;Hyun-Jeong Park;Ji-Won Ryu;Jong-Mo Ah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7권4호
    • /
    • pp.183-188
    • /
    • 2022
  •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tive factors related to the stres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s) by evaluating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in young adult TMD patients and control groups. Methods: Saliva was obtained from 32 young adult TMDs patients and 34 control patients without a history of TMDs who visited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between June 1 and August 31, 2021.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Results: The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in the TMD pati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iffered significant significantly (p<0.05). The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clinical symptom of TMD differed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male. The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according to perceived stress level differed significantly in the mild and moderate group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between the two groups related to bruxism or clenching (p>0.05). Conclusions: The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in the TMD pati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 relevance, indicating that stress was a causative factor.

Cortisol이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의 스테로이드 생성과 세포자연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rtisol on the Steroidogenesis and the Apoptosis of Human Granulosa-Lutein Cells)

  • 김진희;양현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329-339
    • /
    • 2009
  • Cortisol은 난소내 다량으로 존재하며, 난소 세포에 그 수용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사람의 과립 및 황체화 세포에서 cortisol은 스테로이드 생성과 세포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배란 후 난포액에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cortisol이 과립-황체화 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과배란 유도후 획득한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를 배양하면서 5, 50, $500{\mu}g/m\ell$ cortisol과 1 IU/$m\ell$ FSH를 처리하고 세포의 세포자연사와 분비된 progesterone$(P_4)$과 estradiol$(E_2)$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DNA 분절화 분석과 TUNEL 방법으로 세포자연사를 평가한 결과, cortisol는 농도 의존적으로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증가시켰고, 특히 50과 $500{\mu}g/m\ell$ cortisol을 처리한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세포자연사 비율을 증가시켰다. 또한 cortisol에 의한 세포자연사의 증가는 FSH에 의해 억제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화학발광면역 측정법을 이용하여 배양내 $P_4$$E_2$의 양을 측정한 결과, cortisol을 처리한 후 $E_2$의 양은 변화가 없었던 반면 $P_4$의 양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cortisol의 $P_4$ 합성 억제 효과는 세포자연사 결과와 마찬가지로 FSH에 의해 회복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일정 농도 이상의 cortisol은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또한 $P_4$의 합성을 억제시킴으로써 난포 폐쇄를 직접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음 보여준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들은 기존의 연구 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 과립-황체화 세포에 대한 cortisol의 생리적인 관련성을 밝혀 그 기전을 명확히 할 필요성이 있다.

  • PDF

시험 스트레스와 Vitamin B 복합제가 혈장 ACTH, Cortisol 및 Prolactin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am Stress and Vitamin B Complex on Plasma ACTH, Cortisol and Prolactin Level)

  • 고경봉
    • 정신신체의학
    • /
    • 제4권2호
    • /
    • pp.207-214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시험스트레스 및 vitamin B 복합제가 혈장 ACTH, cortisol 및 prolactin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의과대학 2학년 학생들 중 시험 4주전, 시험 2주전 및 시험기간 세차례를 모두 완료한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기 혈장 hormone치는 방사성 면역분석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그리고 스트레스지각 및 정신병리는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척도와 SCL-90R척도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혈장 ACTH치는 시험 4주전에 비해 시험 2주전과 시험기간 중에 각각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세기간 중 혈장 cortisol과 prolactin치는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vitamin B투여 유무 간에는 혈장 ACTH, cortisol 및 prolactin치는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시험 2주전에 경제적 문제와 관련된 스트레스지각 점수는 혈장 ACTH 및 prolactin치와 유의한 양상관성을 보였다. 시험 2주전에 적대감척도 점수는 혈장 ACTH치와 유의한 양상관성을, 편집증척도 점수는 혈장 ACTH치와 양상관성의 경향을, 시험기간 중 불안척도 점수는 혈장 cortisol치와 양상관성의 경향을 보였다. 시간경과는 물론 vitamin투여 유무에 따른 혈장 ACTH, cortisol 및 prolactin치의 변화량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시험스트레스에 대해서 cortisol이나 prolactin보다는 ACTH가 더 예민한 반응을 나타내고, 주관적 스트레스지각이나 시험전 적대감 및 편집증, 그리고 시험기간 중 불안과 같은 정신병리가 상기 hormone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vitamin B복합제는 스트레스에 의한 상기 hormone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한다.

  • PDF

단기 고온 스트레스가 마우스 혈청 Cortisol, Dehydroepiandrosterone Sulphate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rt-term Thermal Stress on the Mouse Serum Concentrations of Cortisol and Dehydroepiandrosterone Sulphate)

  • 차정호;최광수;최형송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9-113
    • /
    • 2000
  • 단기 고온스트레스가 혈청 cortisol, DHEAS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기 고온스트레스 (Short-term TS)를 받은 BALB Ic 생쥐의 혈청 cortisol과 DHEAS 농도를 방사선면역측정 (RI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30분 TS를 받은 그룹(T30) 에서 대조군에 비해 cortisol 의 유의적인 증가(P<0.01)를 보였으나, 120 분 부과 (T120) 시에는 T30 에 비해 유의성 없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DHEAS 의 경우 30분 TS를 받은 그룹 (T30) 과 120 분 TS를 받은 그룹 (T120)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은 없으나 감소된 경향을 보였다. 특히, DHEAS 의 경우 단기고온 스트레스라는 국한된 스트레스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단기 고온스트레스가 혈청 cortisol과 DHEAS 농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DHEAS가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스트레스 마커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 PDF

보육의 특성에 따른 유아의 코티솔 패턴 (Children's Cortisol Patterning at ChildCare Centers)

  • 박경자;최정윤;권연희;김지현
    • 아동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201-215
    • /
    • 2007
  • This study examined cortisol patterning in 160 children(79 boys, 81 girls; aged 4-5) attending twelve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Saliva samples for the assay of cortisol were collected twice a day at 10 : 30 am and 3 : 30 pm. Saliva samples were collected again within a week after the first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rtisol level of the afternoon showed neither increase nor decrease compared to morning.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ime children spent at childcare centers accounted for increased afternoon cortisol levels; that is, higher levels of afternoon cortisol were associated with more hours per day at childcare centers.

  • PDF

In vitro에서 cortisol투여에 의한 LPS 전처치 고양이 림프구의 IgG생산변화 (In vitro Change of IgG Production by Administration of Cortisol Lipopolysaccharide Treated Lymphocyte of Cat)

  • 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13
    • /
    • 1998
  • Change of IgG production of feline mononuclear cell(MNC) was evalual vitro. MNC was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LPS) before cortisol administration. tisol induced change of B cell subpopulation with surface IgG and reduced IgG prods against virus. However, before treatment o$\ulcorner$ MNC with LPS induced increasement of subpopulation with surface IgG and IgG production against virus. These results impel: diminution of IgG production by cortisol is well again by LPS treatment.

  • PDF

제주 교래곶자왈 숲 탐방객의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tisol량의 변화에 대한 연구 (Changes of Stress Hormone Cortisol After Visiting the Gotjawal Forest in Jejudo)

  • 신방식;임동호;이근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71-479
    • /
    • 2017
  • 본 연구는 대상자들(35명)이 제주곶자왈 산림을 방문하기 전과 후의 타액cortisol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문 전후에 타액을 채취하여 항혈청면역법으로 분석을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 4 주간에 실시하였다. 대조군의 사전과 사후의 측정 cortisol 평균치는 유의성이 없었다. 실험군의 평균치는 사전보다 사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Cortisol 함량의 차이는 대조군과 실험군은 사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사후에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이 낮게 나타나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Cortisol 평균값은 남자의 경우에 대조군보다 실험군이 낮았다. 여자의 경우에 대조군보다 실험군이 낮아서 남자가 여자보다 2배 이상 큰 변화를 보이었다. 사후의 측정치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의 cortisol함량이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의 성별 및 대조군과 실험군 별 분석에서는 성별, 집단, 성별과 집단의 결합효과 간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성별과 집단에 따른 cortisol 수치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삼림욕의 효과를 나타내는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Acupuncture and Cortisol Levels: a Systematic Review

  • Lim, Jin-Woong;Song, Ki-Tae;Lee, Sang-Hoon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21-28
    • /
    • 2010
  • Objectiv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systematically assess and summarize the effects of acupuncture on cortisol secre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searched articles published up to May 2010 in six electronic databases (PubMed, Cochrane Library, KISS, KISTI, DBPIA, Kyobo Scholar). Randomized clinical trials (RCTs) which met all the inclusion criteria were reviewed. Eight RCT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is systematic review and assessed by three reviewers. The risk of bias was also estimated by using the Cochrane criteria. Results: Six RCTs reported no distinct difference of cortisol levels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wo RCTs reported significant differences of cortisol levels between groups; one reported the acupuncture group with markedly higher concentrations of cortisol while the other reported the opposite result. Conclusion: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clearly identifying the effects of acupuncture on cortisol levels in this systematic review due to inconsistent results. Therefore, more rigorous trials with larger scales need to be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s of acupuncture on cortisol levels.

The Proliferative and Apoptotic Properties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sIg+ Lymphocytes by Cortisol Treatment

  • Park, Kwan-Ha;Choi, Sang-Ho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6호
    • /
    • pp.563-569
    • /
    • 2011
  • The effects of cortisol o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of tilapia surface immunoglobulin positive ($sIg^+$) lymphocytes isolated from different tissues were investigated. $sIg^+$ lymphocytes from the tilapia head kidney (HK) and spleen showed a higher proliferation and lower intracellular calcium ($Ca^{2+}{_i}$) level to Ig-crosslinking compared with peripheral blood $sIg^+$ lymphocytes. Peripheral blood $sIg^+$ lymphocytes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showed high levels of apoptosis in the presence of cortisol. HK and to a lesser extent spleen $sIg^+$ lymphocytes, although less sensitive than their equivalent in peripheral blood, showed cortisol-induced apoptosis irrespective of LPS stimulation of control levels. Compared to plasma values measured during stress conditions, proliferation regardless of LPS stimulation was apparently suppressed by cortisol that is effective in induc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apoptosis in all three different cell populations of $sIg^+$ cells, suggesting the immunoregulatory effect of cortisol in both LPS stimulated and non-stimulated conditions. Different sensitivity of $sIg^+$ cells to the cortisol, in regard to developmental stage and activity, could be related in inhibiting excessive and continuing depletion of $sIg^+$ lymphocy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