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rection

검색결과 9,523건 처리시간 0.039초

Analytical determination of shear correction factor for Timoshenko beam model

  • Moghtaderi, Saeed H.;Faghidian, S. Ali;Shodja, Hossein M.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29권4호
    • /
    • pp.483-491
    • /
    • 2018
  • Timoshenko beam model is widely exploited in the literature to examine the mechanical behavior of stubby beam-like components. Timoshenko beam theory is well-known to require the shear correction factor in order to recognize the nonuniform shear distribution at a section. While a variety of shear correction factors are appeared in the literature so far, there is still no consensus on the most appropriate form of the shear correction factor. The Saint-Venant's flexure problem is first revisited in the frame work of the classical theory of elasticity and a highly accurate approximate closed-form solution is presented employing the extended Kantorovich method. The resulted approximate solution for the elasticity field is then employed to introduce two shear correction factors consistent with the Cowper's and energy approaches. The mathematical form of the proposed shear correction factors are then simplifi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available in the literature over an extended range of Poisson's and aspect ratios. The proposed shear correction factors do not exhibit implausible issue of negative values and do not result in numerical instabilities too. Based on the comprehensive discussion on the shear correction factors, a piecewise definition of shear correction factor is introduced for rectangular cross-sections having excellent agreement with the numerical results in the literature for both shallow and deep cross-sections.

MSAS 보정정보 분석 및 국내 적용 시 성능 평가 (Analysis of MSAS Correction Information and Performance in Korea)

  • 정명숙;김정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72-382
    • /
    • 2009
  • 자체 개발한 SBAS 보정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SAS 궤도 보정정보의 정확도를 분석하고, MSAS 전리층 보정정보 대한 적도변이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MSAS 보정정보의 일부분의 제거를 통해 보정정보의 수신지연으로 인한 정확도 저하와 그것이 Protection Level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 MSAS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항공기 정밀접근 시 시스템의 무결성 및 가용성에 대해 분석했다.

Features of an Error Correction Memory to Enhance Technical Texts Authoring in LELIE

  • SAINT-DIZIER, Patrick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5권2호
    • /
    • pp.75-101
    • /
    • 2015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notion of error correction memory applied to technical texts. The main purpose is to introduce flexibility and context sensitivity in the detection and the correction of errors related to Constrained Natural Language (CNL) principles. This is realized by enhancing error detection paired with relatively generic correction patterns and contextual correction recommendations. Patterns are induced from previous corrections made by technical writers for a given type of text. The impact of such an error correction memory is also investiga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echnical writer's cognitive activity. The notion of error correction memory is develop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LELIE project an experiment is carried out on the case of fuzzy lexical items and negation, which are both major problems in technical writing. Language processing and knowledge representation aspects are developed together with evaluation directions.

NASA 모델의 편차보정에 의한 광역지역의 지표온도산출 정확도 향상 (NASA Model Deviation Correction for Accuracy Improvement of Land Surface Temperature Extraction in Broad Region)

  • 엄대용;박준규;김민규;강준묵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1-286
    • /
    • 2006
  • In this study, acquired time series Landsat TM/ETM+ image to extract land surface temperature for wide-area region and executed geometric correction and radiometric correction. And extracted land surface temperature using NASA Model, and I achieved the first correction by perform land coverage category for study region and applies characteristic emission rate. Land surface temperature that acquire by the first correction analyzed correlation with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temperature data by regression analysis, and established correction formula. And I wished to improve accuracy of land surface temperature extraction using satellite image by second correcting deviations between two datas using establishing correction formula. As a result, land surface temperature that acquire by 1,2th correction could correct in mean deviation of about ${\pm}3.0^{\circ}C$ with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data. Also, could acquire land surface temperature about study region by relative high accuracy by applying to other Landsat image for re-verification of study result.

  • PDF

PET-CT에서 감쇠보정 영상과 비감쇠보정 영상을 통한 Metal Artifact 보정에 대한 고찰 (Metal artifact SUV estimation by using attenuation correction image and non attenuation correction image in PET-CT)

  • 김준;김재일;이홍재;김진의
    • 핵의학기술
    • /
    • 제20권2호
    • /
    • pp.21-26
    • /
    • 2016
  • 최근엔 대부분의 PET-CT영상의 감쇠보정은 많은 강점을 가지고 있는 CT를 기반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CT 검사때 metal artifact가 발생하게 된다면, PET 영상에서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감쇠보정 영상의 count와 비감쇠보정 영상의 count의 비를 통하여 보정계수($e^{-{\mu}x}$)을 구하였고 이를 통해 측정 SUV에 대입하여 실제 SUV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실험장비로는 본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Biograph mCT S(40)_SIMENS을 촬영 장비로 이용하였고, phantom은 micro phantom을 사용하였다. 팬텀 실험방법은 micro phantom에 metal artifact를 발생시켜 촬영한 뒤 감쇠보정 영상과 비 감쇠보정 영상으로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SIMENS 사의 Sygo.via VA11A 프로그램을 이용 감쇠보정 영상과 비 감쇠보정 영상의 count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보정계수를 구하여 Metal artifact 발생 부위와 Metal artifact 발생 직전 부위의 보정계수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임상영상에서는 본원에 내원한 환자 10명($66{\pm}15$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여러 장기의 평균 보정계수를 계산하였고, Metal artifact가 발생한 연부조직의 보정계수와 metal artifact가 발생하기 직전의 연부조직의 보정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hantom 실험에서는 밝은 artifact 부분에서의 보정 계수는 Metal artifact가 발생하지 않은 부분에서의 보정계수보다 평균 12%증가 되게 나타났다. 어두운 artifact 부분에서의 보정계수는 발생하지 않은 부분에서의 보정계수보다 6% 감소 되게 나타났다. 또한 phantom 실험결과 본 논문에서 사용한 식을 이용한 추정 SUV가 실제 SUV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임상영상에서는 normal 장기의 보정계수를 계산 하였고, 이를 이용한 각 장기의 평균 보정계수를 계산하여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 값을 통해 CT number가 큰 조직 일수록 보정계수도 커지는 상호 비례 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metal artifact시 밝은 artifact 부분의 연부조직 보정계수는 metal artifact가 발생 하지 않은 연부조직 보정계수에 비해 평균 20% 증가, 그리고 어두운 artifact 부분은 10%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로 작성한 soft tissue 평균값과 비교 하였을 때는 metal artifact가 발생 하지 않은 연부조직에 비해 밝은 artifact 부위는 평균 19% 증가 어두운 artifact 부위는 평균 9% 감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우에 따라 각 개인의 보정계수를 계산 할 필요 없이 그래프로 작성한 평균값을 간편하게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이 실험결과로 보아 본 논문에서 제시하였던 감쇠보정 영상과 비 감쇠보정 영상에서의 count의 비를 통해 metal artifact가 발생하지 않는 부위의 보정계수와 발생한 부위의 보정계수를 구하고, 이를 활용하여 측정 SUV에 대입하여 실제 SUV를 추정하는 방법 역시 metal artifact 발생 부위의 더 정확한 정량분석 위하여 고려 해볼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 PDF

교정률 최적화를 위한 한국어 철자교정기의 모듈 배열 (A Research on Module Arrangement of Korean Spelling Corrector to Optimize Correction Rate)

  • 윤근수;권혁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5호
    • /
    • pp.366-377
    • /
    • 2005
  • 본 논문은 한국어 철자교정기의 최적교정률을 보이는 모듈들의 나열순서를 찾는 연구이다. 철자교정기의 모듈 개수가 n개이면 모듈나열 경우의 수는 n!가지가 가능하므로 철자교정기의 최적 교정률을 계산하기가 힘들어 진다. 실험에 사용한 한국어 철자교정기는 현재 19개 모듈들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데이타에 대해서 19!개 모듈을 적용하여 최적교정률을 찾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주어진 입력데이타에 대해 이론적인 최대교정률과 최소교정률을 구하여 교정률 범위를 구하고, 최대교정률에 근접한 최적교정률에 대한 모듈나열순서를 구하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최적교정률을 구하기 위해 경험적 지식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입력데이타는 신문사에서 몇 년간 발생한 오류어절 753,191개의 집합이다. 이 오류집합에 대해 철자교정기의 이론적인 최대교정률은 $97.28\%$ (732,764개/753,191개)이나 경험적으로 우리가 찾은 최적교정률은 $96.62\%$ (727,750개 /733,191개)이다. 철자교정기의 성능은 $99.31\%$ (727,750개 /732,764개)이다.

RC 고층 건물에서 계측 결과를 이용한 기둥축소 해석보정의 효과에 대한 변수 연구 (A Parametric Study on Effects of Column Shortening Analytical Correction Using Measured Results in RC Tall Buildings)

  • 송은석;김재요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38-47
    • /
    • 2020
  • RC 고층건물에서 발생하는 기둥축소의 예측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계측결과를 이용한 해석보정에 대한 변수연구가 수행되었다. 해석보정의 변수는 해석보정 시행기준, 해석보정 값, 계측 위치이며, 변수에 따른 해석보정 모델을 41층 규모의 RC 건물의 시공단계해석에서 적용하여 변수에 따른 보정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보정 횟수와 전체 보정량에 따른 층별 오차 값의 감소율을 비교하였으며, 해석보정의 시행기준은 일정한 간격을 기준으로 해석보정 할 경우, 해석보정 값은 오차 값만큼 보정할 경우, 계측 위치는 매 층 계측이 될 경우에 오차가 최소화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실제 해석 모델에 대하여 여러 해석보정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가장 적합한 해석보정 모델을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듈로 구성된 선형 검출기의 영상보정 방법 (Image Correction Method for Segmented Linear Detector)

  • 천권수;오석심;진왕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63-168
    • /
    • 2022
  • 여러 모듈을 선형으로 배치하여 제작한 선형 검출기가 산업의 전수검사에 활용되고 있으나 선형 검출기로 획득한 2차원 영상에서 연결부위에 선 허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는 Flat-Field Correction 이후에 Wedge 팬텀 영상을 이용하여 선 허상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통상적인 Flat-Field Correction을 수행하더라도 모듈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선 허상을 제거하지 못하였다. 모듈의 연결부위에 위치한 양 엣지의 픽셀들이 Flat-Field Correction 이후 과도하게 보정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픽셀들의 추가적인 보정을 위해 Wedge 영상을 이용하여 보정인자를 구하여 적용함으로써 선 허상이 완전히 제거된 영상을 획득하였다. 보정인자를 구하는 수동적인 절차를 자동화하여 산업에서 선 허상 제거를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완전교정과 저교정 상태에서 조절반응 변화량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Accommodative Response Change on the Full Vision Correction and Low Vision Correction)

  • 배성현;곽호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5-81
    • /
    • 2012
  • 목적: 양안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완전교정과 저교정 상태에서 실제 일어나는 조절 반응량을 측정하여 조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30세($21.14{\pm}2.00$세)의 대학생 79명(남 58명, 여 21명)을 대상으로 타각적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완전교정은 시력이 1.0일 때, 저교정은 임의적으로 플러스 렌즈를 부가하여 0.8, 0.7, 0.6일 때의 조절 반응량을 5.0 m, 1.0 m, 0.50 m, 0.33 m, 0.25 m에서 측정하였다.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주시거리에 따른 1.0, 0.8, 0.7, 0.6 시력 상태에서 조절 반응량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우안 좌안 모두 완전교정 상태(1.0)가 저교정 상태(0.7) 보다 조절 반응량의 값이 크게 나타났다(p=0.000). 완전교정 상태가 저교정 상태(0.7) 보다 주시거리가 짧아질수록 조절 반응량의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주시거리에 따른 시력과 조절 반응량의 상관관계는 거리가 짧을수록 더 낮게 조사 되었다. 결론: 장시간 근거리 작업은 조절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저교정을 하여 눈의 안위를 편안하게 하는 것이 안정피로 증상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공공건축물에 적용되는 신·재생에너지원의 새로운 보정계수 제안 (Proposal of New Correction Factors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in Public Building)

  • 김윤호;박윤하;원안나;황정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6권6호
    • /
    • pp.13-24
    • /
    • 2016
  • The government introduced a mandatory installation system of new & renewable energy for public building to meet the target of greenhouse gas reduction and also suggest a correction factor for new renewable energy to expand the installation of various new & renewable energy systems. The introduction of correction factors, however, was followed by the reduction of installation size of new & renewable energy sources. Assuming that it was caused by a correction factor for each new renewable energy source calculated by the initial costs, this study proposed a new correction factor approach based on payback periods to reflect the technology element in the calculation process of correction factors additionally. The application results of new correction factors show that it was possible to do complex calculations including the economic and technological aspects to select a new & renewable energy system and that the installation size was also enlar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