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onary artery bypass

검색결과 506건 처리시간 0.03초

보이지 않는 좌전하행지의 쉬운 노출 방법 (Easy Exposure of Invisibl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 최종범;임영혁;양현웅;이삼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2호
    • /
    • pp.995-998
    • /
    • 2003
  • 관상동맥 우회로술 때 보이지 않는 좌전하행지의 노출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특히 심근 내 위치하는 좌전하행지인 경우 보다 표면에 위치하는 근위 관상동맥을 노출하여 내흉동맥편을 문합함으로써 이식편의 우수한 장기 열림을 기대할 수 있다 육안 상 보이는 원위 좌전하행지의 절개창을 통해 삽입한 더듬자로 심장 외막에 가까운 근위 좌전하행지를 쉽게 노출할 수 있는 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관상동맥 우회로술 154예이 조기 임상 결과 (Clinical Analysis of the Early Result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송창민;안재범;김우식;신용철;유환국;김병열;김인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7호
    • /
    • pp.476-482
    • /
    • 2005
  • 최근 들어 관상동맥 질환과 관상동맥 우회술은 점차 증가하고 수술성적은 점차 나아지고 있다. 국립의료원에서도 1985년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작한 이래 154예의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성적을 분석,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148명을 대상으로 154예의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전 진단, 관상동맥 질환 정도, 시행한 수술의 종류, 이식된 혈관의 종류, 원위부 문합수, 동반된 술식, 수술 후 심기능 보조를 위한 대동맥내 풍선펌프의 이용 추이, 수술 후 합병증 및 사망률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48명에서 성비는 남녀 각 84명$(56.8\%)$, 64명$(43.2\%)$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8.9\pm8.3$세였다. 수술 전 진단은 불안전성 협심증 97예$(63.0\%)$, 안정성 협심증 31예$(20.1\%)$, 급성 심근경색이 12예$(7.8\%)$, 심근경색 후 협심증이 14예$(19.1\%)$이였다. 수술 전 관상동맥 조영상 좌주 관상동맥질환 12예$(7.8\%)$, 삼혈관 질환 68예$(44.2\%)$, 이 혈관 질환 39예$(25.3\%)$, 일혈관 질환 55예$(22.7\%)$이었다. 총 154예 중 체외순환하 관상동맥 우회술이 78예$(50.6\%)$, 비체외순환하 수술이 76예$(49.4\%)$였고, 3예에서 비체외순환하 관상동맥 우회술에서 체외순환하 관상동맥 우회술로의 전환이 있었다. 원위부 문합수는 총 319개, 평균 $2.06\pm0.96$이었다. 관상동맥 우회술시 다른 수술이 동반되었던 경우가 총 10예$(6.5\%)$였다. 수술 후 대동맥내 풍선펌프는 21예$(13.6\%)$에서 이용하였으나, 비체외순환하 수술에서는 4예$(5.1\%)$로 줄었으며, 전체 사망환자는 12명$(7.9\%)$이었으나, 2001년 이후에는 111예 중 5명$(4.5\%)$으로 감소하였다. 수술합병증으로 수술 전후의 심근경색증 9예$(5.8\%)$, 저심박출증 17예$(11\%)$, 부정맥 30예$(19.5\%)$등이었다. 결론: 국립의료원 흉부외과에서는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작한 이래 수술경험의 축적, 비체외순환하 관상동맥 우회술의 도입, 내흉동맥 및 요골동맥으로의 이식편 이용 변화에 따라 수술성적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임상경험의 축적 및 장기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ost-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Myocardial Ischemia Caused by an Overgrown Left Internal Thoracic Artery Side Branch

  • Kim, Eung Re;Oh, Se Jin;Kang, Hyun-Jae;Kim, Ki-B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5호
    • /
    • pp.465-467
    • /
    • 2014
  • We present a patient who developed recurrent angina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Myocardial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demonstrated deterioration in the myocardial perfusion, and coronary angiography revealed an overgrown side branch of the grafted left internal thoracic artery (ITA); otherwis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with previous imaging studies obtained after the CABG. After percutaneous embolization of the grafted left ITA side branch, the angina was resolved and myocardial SPECT showed improved perfusion.

Refractory Vascular Spasm Associated with Coronary Bypass Grafting

  • Kim, Young Sam;Yoon, Yong Han;Kim, Jeoung Taek;Shinn, Helen Ki;Woo, Seong Ill;Baek, Wan K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5호
    • /
    • pp.468-472
    • /
    • 2014
  • Diffuse refractory vascular spasms associated with coronary bypass artery grafting (CABG) are rare but devastating. A 42-year-old male patient with a past history of stent insertion was referred for the surgical treatment of a recurrent left main coronary artery disease. A hemodynamic derangement developed during graft harvesting, necessitating a hurried initiation of cardiopulmonary bypass (CPB). Although CABG was carried out as planned, the patient could not be weaned from the bypass. An emergency coronary angiography demonstrated a diffuse spasm of both native coronary arteries and grafts. CPB was switched to the femorofemor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or (ECMO). Although he managed to recover from heart failure, his discharge was delayed due to the ischemic injury of the lower limb secondary to cannulation for ECMO. We reviewed the case and literature, placing emphasis on the predisposing factors and appropriate management.

Harmonic Scalpel을 이용한 요골동맥의 적출 (Harvesting of Radial Artery With Harmonic Scalpel)

  • 이현성;강정한;최성실;장병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499-501
    • /
    • 2001
  • 1970년대에 요골동맥은 관상동맥우회로술의 이식편으로 제안되었으나 적출시 나타나는 경직에 의한 이식편의 폐쇄 때문에 금지되었다. 새로운 항경직성 약물의 등장과 외상을 최소화시키는 기술의 발전은 관상동맥 우회로술의 이식편으로 요골동맥을 되살리게 되었다. Harmonic Scalpel(Ultracision Inc, Smitweld, Rl)은 요골동맥을 덜 손상을 주고, 경직이 없고, 더 빨리 적출할 수 있게 한다.

  • PDF

우위대마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수술;임상적 및 혈관촬영에 의한 단기결과

  • 이현성;장병철;이성수;김재영;맹대현;박형동;윤영남;장양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2호
    • /
    • pp.151-159
    • /
    • 2000
  • background: The right gastroepiploic artery(RGEA) has been use in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from 1987. The RGEA is the most useful arterial conduit in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CABG) followed by the internal mammary artery, Materials and method: From Septermber 1998 to February 1999 the RGEA was used fo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in 11 patients 10 males and 1 female. Postoperative angiography was performed in all of the patients before discharge Result: Early patent rate of the RGEA was 100%. The flow competition of the REGA graft was seen in 4 patients(36.4%) The flow pattern war RGEA dependent type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ipient coronary artery 1.5 mm the inner diameter of the RGEA 2.5 mm and the rtio of inner diameter of the RGEA and the recipient coronary artery 1(p<0.05) Conclusion : Early results of CABG with RGEA was satisfactory. However the RGEA graft has a tendency of flow competition in relation to the inner diameter of graft. Preoperative angiographic evaluation for RGEA and meticulous operative technique are required for a good surgical results.

  • PDF

관상동맥우회술 후 CT 조영술을 이용한 이식편의 조기 열림의 판정 (Determination of Early Graft Patency Using CT Angiograph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이미경;류대웅;최순호;최종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7호
    • /
    • pp.570-577
    • /
    • 2004
  • 관상동맥우회술 후 이식편의 조기 열림을 판정하기 위한 CT 조영술은 비침습적이고 간단하며 안전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관상동백 우회술 환자들에서 수술 후 퇴원 전에 CT 조영술을 시행하여 이식편의 조기 열림의 판정에 대한 여부와 영상에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50예에서 수술 후 퇴원 전에 4개의 검출기를 가진 CT기로 조영술을 시행하고 내흉동맥 이식편(50편), 요골동맥편(18편), 대퇴정맥편(56편)의 조영상해로 이식편의 열림을 조사하고 이식편의 조영상태와 문합혈관의 직경, 부행혈류 및 협착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좌관상동맥계에 문합되는 정맥편(24편, 32문합부)은 모두 잘 조영되었으나, 우관상동백계에 문합된 정맥편(30편, 35문합부) 중 3편 (4.7%)은 CT 조영술에서 조영되지 않았고 대퇴동맥을 통한 침습적인 관상동맥 조영술에서도 폐쇄된 소견을 보였다. 내흉동맥편 중 39편(78%)은 CT 조영술에서 잘 조영되었고 8편(16%)은 일부 좁아지거나 끊기는 불완전한 조영을 보였으며 3편(6%)은 조영되지 않았으나 동맥을 통한 침습적인 관상동맥 조영술에서는 모두 정상적인 열림 소견을 보였다. 결론: 관상동맥조영술 후 CT 조영술에서 조영되지 않는 정맥편은 페쇄를 의미하나, CT조영술에서 조영되지 않는 동맥편은 폐쇄가 아닌 관상동맥과 이식편 사이의 상경혈류 때문에 일어날 수 있으므로 조영이 안 되는 동맥편의 열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침습적인 관상동맥조영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isk Factors of On-Pump Conversion during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Yoon, Sung Sil;Bang, Jung Hee;Jeong, Sang Seok;Jeong, Jae Hwa;Woo, Jong So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5호
    • /
    • pp.355-362
    • /
    • 2017
  • Background: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PCABG) procedures can avoid the complications of an on-pump bypass. However, some cases unexpectedly require conversion to cardiopulmonary bypass during OPCABG.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 sudden need for cardiopulmonary bypass were analyze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283 subjects scheduled for OPCABG from 2001 to 2010. These were divided into an OPCABG group and an on-pump conversion group. Preoperative, operative, and postoperative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the 2 groups. Results: Of the 283 patients scheduled for OPCABG, 47 (16%) were switched to on-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The mortality of the both the OPCABG and on-pump conversion group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major risk factors for conversion to on-pump CABG were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odds ratio [OR], 3.5; p=0.029), ejection fraction (EF) <35% (OR, 4.4; p=0.012), and preoperative beta-blocker (BB) administration (OR, 0.3; p=0.007). The use of intraoperative (p=0.007) and postoperative (p=0.021) inotropic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version group. The amount of postoperative drainage (p<0.001) and transfusion (p<0.001) als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version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oke or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between the groups over the course of short-term and long-term follow-up. Conclusion: Patients who undergo OPCABG and have CHF or a lower EF (<35%) are more likely to undergo on-pump conversion, while preoperative BB administration could help prevent conversions from OPCABG to on-pump CABG.

협착이 발생된 관상동맥에 대한 이식우회로술의 효과분석 (Analysis of Bypass Grafting Effects in Stenosed Coronary Arteries)

  • 김형호;서상호;이정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2호
    • /
    • pp.153-159
    • /
    • 2012
  • 협착이 발생된 관상동맥의 치료를 위해 외과적인 수술방법으로는 이식우회로술이 많이 사용된다. 이식우회로술 시술 시 개존율 향상을 위해서는 최적의 혈관 문합 시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Y-grafting bypass 와 T-grafting bypass 시술의 효과와 분지각도 및 문합각도 변화에 따른 문합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하학적 형상을 최적화하고 각각의 기하학적 형상에 대해 혈류역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식혈관의 분지각도와 문합각도가 각각 $30^{\circ}$$15^{\circ}$일 경우에 LAD 와 LCX 쪽 모두 혈류량이 고르게 분배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