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nstarch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3초

세탁후 최종처리액의 조성이 직물의 오염 및 세척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ditives in Final Rinse Water on Soiling and the Removal of Soil.)

  • 조성교;김성련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67-176
    • /
    • 1978
  • The effect of additives in final rinse water during laundering on soiling, soil removal and some properties of fabrics has been studied with various fabrics. The additives examined were fabric softener (Sta-Puf), cationic surfactant (Apole PS), sizing materials such as CMC, PYA, cornstarch and mixture of CMC and cationic surfactant. The results obtained may be summerized as follows. L Addition of additives except PVA in final rinse water generally reduce the deposition of carbon-$CCl_4$ soil and it seems to be rather independant of the concentration of additives. The effect of additives on soil resistant is found to increase in the following order. cotton; Apole

  • PDF

Glycosyl-Sucrose가 흰쥐가 혈당 및 지질농도와 당 가수분해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lycosyl-Sucrose on Blood Glucose, Serum Lipids and Activities of Carbohydrate Hydrolysing Enzymes in Rats)

  • 이선영;정영진;안경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19-526
    • /
    • 1991
  • 평균 체중이 $137.51{\pm}4.84g$인 Sprague-Dawley종 수컷 22마리를 세 군으로 나누어 각각 68% cornstarch 식이(cornstarch군)와 20% sucrose+48% cornstarch 식이(sucrose군), 그리고 20% glycosylsucrose+48% cornstarch 식이(glycosyl-sucrose군)로 6주간 사육하여 glycosyl-sucrose가 혈당 및 혈청 지질 농도, 당 가수분해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사료 섭취량, 체중 증가량 및 사료 효율에 있어서는 세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Glycosyl-sucrose군에서 공복시의 혈당 농도는 sucrose군과 비교해 차이가 없었으나 포도당 투여 30분 후, 60분 후의 혈당치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충혈당바응면적(total integrated blood glucose response area)도 sucrose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청 지질 함량은 분석한 지질(중성 지방, 인지질,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모두에 있어 세 군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췌장-amylase 활성은 glycosyl-sucrose 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장 점막, 특히 공장과 회장에서의 서당 가수분해 효소 활성은 glycostyl-surcose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맥아당 가수분해 효소의 활성은 cornstarch군에 비해 glycostyl-surcose군의 공장과 회장 부위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공장에서는 sucrose군보다도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 PDF

Influence of the pH and Salt Concentration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Myofibrillar Protein Gels Added with Cornstarch

  • Lee, Chang Hoon;Chin, Koo B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54-261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myofibrillar protein (MP) added with cornstarch as affected by different pH values and salt cocnentrations. MP mixtures were prepared with three different pH values (pH 6.00, 6.25, and 6.50) and three different salt concentrations (0.15, 0.30, and 0.45 M). Cooking yield (CY), gel strength, viscosit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re measured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MPs. CYs of MPs with cornstarch at above pH 6.25 or salt 0.30 M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ose at pH 6.00 or salt 0.15 M. However, gel strengths of MPs at salt 0.45 M were higher than those at salt 0.30 M. In microstructure analysis, MP gels with increasing pH value and salt concentration showed compact and uniform structure. Thus, MP gels with pH 6.25 and salt concentration of 0.30 M would be better for manufacturing meat products containing cornstarch to increase their water holding ability.

Nano-Scale Pulverizer (NSP)와 Ultra-Fine Pulverizer (UFP)로 물리적 변성된 옥수수전분 섭취가 흰쥐의 성장능력 및 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Intake of Ultra-fine or Nano-Scale Pulverized Cornstarch on the Growing Performance and Gut Function in Rats)

  • 이혜성;주다님;김보람;김선희;한명륜;김명환;장문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8호
    • /
    • pp.740-749
    • /
    • 2009
  • 본 연구는 ultra-fine pulverizer 또는 nano-scale pulverizer로 초미세분쇄시켜 입자크기가 감소된 옥수수전분의 섭취로 인한 생리적 기능성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실험식이군의 식이 섭취량은 UFC군, NAC군은 차이가 없었으며, NSC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NSC군의 식이 섭취량이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증가량이 많아 식이효율은 NSC군에서 가장 높았다. 2) 간, 신장의 무게는 UFC군 > NSC군 > NAC군순으로 높았다. 3) 소장의 무게는 UFC군이 NAC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소장의 길이는 각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맹장의 무게 및 장통과 시간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 맹장내 단쇄지방산의 함량은 NSC군이 UFC군이나 NAC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장내 미생물에 의한 발효가 활성화되고 있었으며 장내 Bifidobacterium 증식도 NSC군이 다른 군에 비해 활발하였다. 5) 소장세포의 증식은 NSC군에서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때 nano-scale로 입자의 크기가 감소된 옥수수 전분은 소화흡수율을 증가시켜 성장능력을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ifidobacterium 증식 촉진, 단쇄 지방산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갖고 있어 상대적인 영양밀도를 높이는 기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능이 미숙한 유아기, 장기능이 불완전하거나 미약한 환자, 노인등의 특수목적 영양식의 기본재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Dietary maifanite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calcium and phosphorus in growing pigs

  • Bai, Li Li;Ming, Dong Xu;Dong, Shu Ren;Yang, Zhong Yue;Wang, Wen Hui;Zhang, Shuai;Piao, Xiang Shu;Liu, Ling;Wang, Feng L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2호
    • /
    • pp.245-251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maifanite supplementation and fecal collection method on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calcium (Ca) and phosphorus (P) and blood parameters in growing pigs. Methods: Thirty-six growing barrows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27.0{\pm}2.6kg$) were allotted to six dietary treatments with 6 pigs per treatment according to body weight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i) Low Ca+cornstarch (2.25%), ii) Low Ca+maifanite (2.25%), iii) Medium Ca+cornstarch (1.42%), iv) Medium Ca+maifanite (1.42%), v) High Ca+cornstarch (0.64%), and vi) High Ca+maifanite (0.64%). Feces were collected by the total collection (TC) and indicator method (IM).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experiment,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each pig. Results: For the TC method, there were no difference in Ca intake, fecal Ca output, Ca retention and the ATTD of Ca between cornstarch and maifanite diets at the same dietary Ca level. However, urinary Ca excretion was lower (p = 0.01) in pigs fed low Ca diets without maifanite supplementation compared with other dietary treatments. Dietary maifanite supplementation had no effect on the P metabolism in growing pigs. For the IM metho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 digestibility between cornstarch and maifanite diets at the same dietary Ca level. The ATTD of P was greater (p<0.01) in pigs fed the high Ca diet with maifanite supplementation compared with the high Ca diet with cornstarch treatment. Dietary inclusion of maifanite had no effect on blood parameters in growing pigs. Conclusion: Dietary maifanite supplementation had no effect on the ATTD of Ca and P and serum parameters in growing pigs. The IM resulted in lower digestibility values than the TC method.

식료품 분진의 발화 및 폭발 위험성 (Hazards of Explosion and Ignition of Foods Dust)

  • 한우섭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5호
    • /
    • pp.629-637
    • /
    • 2017
  • 식료품 가공 산업에서 분진폭발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배관이나 장치 내의 화염전파에 의한 폭발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분체특성으로 인하여 활용 가능한 화재폭발특성자료가 적다는 문제가 있다. 사고발생 빈도가 높고 사회적 수요가 많은 설탕, 옥수수, 밀가루의 발화 위험성과 폭발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설탕, 옥수수, 밀가루 분진의 평균입경은 27.56, 14.76, $138.5{\mu}m$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분체조건에서 열중량분석(TGA) 및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사용하여 발화온도를 조사하였다. 최대폭발압력($P_m$) 및 폭발지수는($K_{st}$) 각각 7.6, 7.6, 6.1 bar 및 153, 133, 61 [$m{\cdot}bar/s$]로서 분진폭발 위험성은 설탕이 가장 높고 밀가루가 가장 작았다. 또한 분진폭발 시의 화염전파로 인한 피해확대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진화염전파의 소요시간을 계산하였으며 화염전파로 인한 폭발피해 위험성은 설탕, 밀가루, 옥수수 분진의 순으로 높았다.

전기유변유체의 점탄성 특성에 관한연구 (Viscoelastic properties of electrorheological fluids)

  • 최윤대;김상국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20-227
    • /
    • 1992
  • 전기유변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 : ERF)는 크기가 $10^{-6}m$정도를 가진 분극성이 강한 입자 분말을 유전유체속에 혼합하여 만든 콜로이드용액으로서 외부전기 장에 의하여 액체상태로부터 겔(gel)상태로 상태변환을 한다. 상태변환과정은 가역과정이며 $10^{-3}$초 정도의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주기적응력이나 주기적 변형이 가해지는 강제진동실험을 통하여 ERF의 점탄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점탄성은 복소수로서 실수부인 동적전단탄성율(storage shear modulus, G')과 허수부인 동적손실율(loss modulus, G")의 합으로 표현된다. 동적전단탄성율은 강제진동의 진폭과 주파수의 함수로 외부전기장에 의하여 크게 변화되었으나 손실계수(loss factor, ${\eta}=G"/G'$)는 진동의 진폭, 진동수 및 외부전기 장에 거의 독립적이었다. 실험(1)은 강제진동의 진폭을 고정하고 진동수를 변화하는 방법(frequency sweep)과 실험(2)는 진동 진폭을 변화시키는 방법(amplitude sweep)으로 실행했다. 본 실험에서는 cornstarch입자를 corn oil에 혼합한 것과 zeolite입자를 silicone oil에 흔합한 콜로이드 용액이 ERF로서 사용되었으며 인가된 전기장은 약$(1~3){\times}10^6V/m$의 직류전기장이 가하여졌다.기장이 가하여졌다.

  • PDF

고정화 글루코아밀라제의 성질과 응용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of Immobilized Glucoamylase)

  • 조성환;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4호
    • /
    • pp.233-238
    • /
    • 1985
  • Glucoamylase를 $ZrO_2$로 피복된 96% porous glass에 azo-linkage를 형성시켜 결합하게 한후, 2.5% glutaraldehyde로 처리하여 효소를 고정화시켰다. 효소기질로는 용해도가 높고 점도가 낮은 30% enzyme thinned cornstarch (dextrose equivalent 값 : 24)를 사용하여 plug flow-column reactor에서 연속반응시켰다. 반응 최적 pH는 수용성효소의 5.0보다 alkaline 쪽으로 기울어져 7.0으로 나타났고, 고정화반응에 따라 열안정성이 높아지고 $40{\sim}60^{\circ}C$에서 최적 온도범위를 가리키며, Km값은 수용성 효소의 1.25mM보다 낮은 1.04mM값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pH 7.0, $45^{\circ}C$에서 160시간 동안 corn starch를 기질로 효소반응을 시켜 glucose 90.3%, maltose 8.0%인 DE값 94.0인 전분당분해산물을 획득할 수 있었다.

  • PDF

식이중 지방 및 탄수화물의 비율과 열량제한이 흰쥐의 인슐린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hanges in the Ratio of Dietary Fat to carbohydrate and Energy Restriction on Insulin Sensitivity in Rats)

  • 선영실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2권4호
    • /
    • pp.266-274
    • /
    • 1989
  • The curr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ratios of dietary fat to carbohydrate and energy restriction on insulin sensitivity in the growing rats. Male rats weighting 80-90g were fed experimental diets for two weeks. Rats were killed and epiddymal adipose tissue were removed and sliced. Explants of adipose tissues were incubated for 2 hours in KRB(Krebs-Ringer bicarbonate) buffer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human insulin and [U-14C]glucose. Insulin sensitivity was determined as glucose conversion to total lipids (lipogenesis) during 2 hr incubation. Exp't I : Effects of Ratios of Fat to Carbohydrate on Insulin Sensitivity. Eighteen male rats were fed 3 diets for 2 weeks. Diet 1 was low fat-high carbohydrate (4% soybean oil and 66.5% cornstarch) ; diet 2, medium fat-medium sarbohydrate(12% soybean oil and 58.5% cornstarch) ; diet 3, high fat-low carbohydrate (20% soybean oil and 50.5% cornstarch). Insulin sensitivity was higher in the order of LF-HC, MF-HC and HF-LC diet groups (p<0.05), i.e, lipogenesis was higher at all insuline concentration in the explants from rats fed LF-HC diet. However, ther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 gain and epididymal adipose tissue weight among treatments. Exp't II ; Effects of Energy Restriction on Insulin Sensitivity. Twelve rats were grouped into ad libitum feeding and restricted feeding(70% of ad libitum). The experimental diet was medium fat-medium carbohydrat diet as used in the Exp't I. Restricted feeding group tended to show higher insulin sensitivity compared to ad libitum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s expected, body weight gain and epididymal adipose tissue were higher in the ad libitum group. In summary, the resutl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the epididymal adipose tissue taken from the rats fed low fat-high carbohydrate diet showed higher insulin sensitivity compared to those fed high fat-low carbohydrate, and that resticted feeding tended to elevate insulin sensitivity in these tissues.

  • PDF

위저추벽성형술(Nissen Fundoplication) 시행 후 발생한 덤핑(Dumping)증후군 1례 (A Case of Dumping Syndrome Following Nissen Fundoplication in an Infant)

  • 문진수;양혜란;배선환;김재영;고재성;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4권1호
    • /
    • pp.92-98
    • /
    • 2001
  • 덤핑증후군은 소아에서 위식도역류의 치료로 위저추벽성형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잘 발생하는 질환으로 당 부하 검사를 통하여 식사 직후에 나타나는 고혈당과 뒤이어 나타나는 저혈당을 보임으로써 진단될 수 있으며, 생 옥수수 전분을 포함한 식이 요법으로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저자들은 위저추벽성형술을 시행 받은 뒤에 덤핑증후군이 발생한 1례를 경험하였고, 본 질환이 소아에서 위저추벽성형술과 같은 위 수술 후에 수유장애가 있을 경우 반드시 의심해보아야 할 질환이라고 사료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