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n root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7초

지중저장 이산화탄소의 잠재적 누출 모사에 따른 옥수수 초기 반응 및 생장 연구 (Corn Growth and Development influenced by Potential CO2 Leakage from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Site)

  • 김유진;첸쉔린;허웬메이;유가영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57-264
    • /
    • 2017
  •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technology has been suggested as an ultimate strategy for mitigating climate change. However, potential leakage of $CO_2$ from the CCS facilities could lead to serious damage to environment. Plants can be a bio-indicator for $CO_2$ leakage as a cost-effective way, although plants' responses vary with plant species. In this study, a greenhous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CO_2$ tolerance of corn species and the initial physiological responses to the elevated soil $CO_2$ concentration. Treatment groups included CI (99.99% $CO_2$ gas injection) and BI (no gas injection). Mean soil $CO_2$ concentration for the CI treatment was 19.5~39.4%, and mean $O_2$ concentration was 6.6~18.4%. The soil gas concentrations in the BI treatment were at the ambient levels. In the CI treatment, chlorophyll content was not decreased until the $13^{th}$ day of the $CO_2$ injection. On the $15^{th}$ day, leaf starch content and stomatal conductance were increased by 89% and 25% in the CI treatment compared to the BI treatment, respectively. This might be due to the compensatory reaction of corn to avoid high soil $CO_2$ stress. However, the prolonged $CO_2$ injection decreased chlorophyll content after 13 days. After $CO_2$ injection, plant biomass was reduced by 25% in the CI treatment compared to the BI treatment. Due to the inhibited root growth, leaf phosphorous and potassium contents were decreased by 54% on average in the CI treatment. This study indicates that corn has a high tolerance to soil $CO_2$ concentration of 30% for 2 weeks by its compensatory reactions such as an maintenance of chlorophyll content and an increase in stomatal conductance.

침엽정유추출잔사의 퇴비화 및 조사료 이용 (Utilization of Essential Oil Free Needles for Compost and Roughage)

  • 최인규;강하영
    • 임산에너지
    • /
    • 제21권1호
    • /
    • pp.7-15
    • /
    • 2002
  • 침엽수 잎으로부터 정유를 생산하고 남는 폐잔사의 이용도를 구명하고자 소나무, 잣나무, 편백 및 화백을 이용하여 음식물찌거기와 혼합하여 퇴비화 및 조사료화를 시도하였다. 폐유기물인 음식물찌거기를 효율적으로 발효시키기 위하여 미생물균주원을 탐색하여 돈분퇴비 등으로부터 고온호기성 박테리아 및 방선균을 선발하여 혼합균주를 대량배양 하였다. 이를 음식물찌거기, 정유 잔사와 혼합하여 부숙과정을 거쳐 퇴비화를 시도하였으며 작물이용시험에 의한 양질 퇴비 여부를 판단하였다. 또한 발효 후 남는 잔사에 대한 조사료로서 이용 가능성 여부를 타진하기 위하여 영양성 평가 및 소화율을 분석하였다.

  • PDF

Standardized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Phosphorus in Copra Expellers, Palm Kernel Expellers, and Cassava Root Fed to Growing Pigs

  • So, A.R.;Shin, S.Y.;Kim, B.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1호
    • /
    • pp.1609-1613
    • /
    • 2013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and standardized total tract digestibility (STTD) of phosphorus (P) in copra expellers (CE), palm kernel expellers (PKE), and cassava root (CR). Eight barrows (initial BW of 40.0 kg, SD = 4.5) were individually housed in metabolism crates. A replicated $4{\times}3$ incomplete Latin square design was employed involving 4 dietary treatments, 3 periods, and 8 animals. Three experimental diets contained 40% CE, PKE or CR as the only source of P. A P-free diet mainly based on corn starch, sucrose, and gelatin was also prepared to estimate the basal endogenous loss of P. The marker-to-marker method was used for fecal collection. Values for the ATTD of P in the CE and PKE were greater than in the CR (46.0 and 39.7 vs -14.0%; p<0.05). However, the STTD of P did not differ greatly among the test ingredients (56.5, 49.0, and 43.2% in the CE, PKE, and CR,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ATTD of P values in CE and PKE were greater than that in CR, but the STTD of P did not differ greatly among CE, PKE, and CR.

수입 박류사료내 에너지 및 영양소 함량의 변이 (Variation in Energy and Nutrient Composition of Oilseed Meals from Different Countries)

  • 손아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7-114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nutrient composition of oilseed meals and to develop prediction equations for amino acid concentrations. Energy and nutrient contents were determined in a total of 1,380 feed ingredient samples including copra byproducts,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palm kernel byproducts, and soybean meal. The ingredient samples were imported to the Republic of Korea between 2006 and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IXED procedure of SAS. The regression procedure of SAS was used to generate the prediction equation for the lysine concentration using the crude protein (CP) concentr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concentrations of moisture, gross energy, CP, ether extract, crude fiber, ash, calcium, phosphorus, lysine, methionine, cysteine, and threonine in tested oilseed meals differed (P<0.05) depending on producing countries. The prediction equations for amino acid concentrations (% as-is basis) in the oilseed meals are: lysine = -1.08 + 0.080 × CP (root mean square error = 0.244, R2 = 0.924, and P<0.001); threonine = -0.297 + 0.044 × CP (root mean square error = 0.099, R2 = 0.958, and P<0.001). In conclusion, energy and nutrient compositions vary in the oilseed meals depending on the producing countries. Moreover, the crude protein concentration can be used as a suitable independent variable for estimating lysine and threonine concentrations in the oilseed meals.

유기농 찰옥수수종자 생산지의 병해충 발생 소장 (Occurrence of Diseases and Insects in Organic Sweet Corn Seed Production Area)

  • 김정순;고병대;곽재균;이명철;김창영;김정곤;심창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3-104
    • /
    • 2010
  • 찰옥수수 유기종자의 안전한 생산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병해충 제어가 필수적이므로 2개의 찰옥수수 품종(미백2호, 흑미찰)을 대상으로 2008~2009년에 병해충 발생 양상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8년 유기농 찰옥수수 종자 생산지의 우점 비산포자는 Alternaria sp., Cladosporium sp., Pyricularia sp., Collectotrichum sp., Helminthosporium sp., Bipolaris sp. 등이었고, Alternaria sp., Cladosporium sp. 및 Helminthosporium sp.은 전 생육기간에 관찰되었다. 종자 및 유묘에 나타나는 병해충 발생 양상은 종자가 발아하지 않고 썩는 경우와 유묘가 시들어 심하면 고사하는 증상을 보였으며, 거세미나방에 의해 땅가 부위가 잘려진 증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종자 및 유묘의 발병주율은 14~16% 미만이었다. 옥수수재배포장에서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조명나방의 발생밀도 발생밀도는 품종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2008년은 트랩당 3.5~20.5마리였고 2009년은 트랩당 0.5~6마리로 낮게 나타났다. 피해주율은 2008년은 7.5~21%이었으며, 2009년은 1~46%로 수확기까지 지속적으로 그 피해가 증가하였다. 잎마름병의 발병주율은 2008년도에 7~34%였으나 품종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2009년도는 6월 18일 처음 발생하였고, 8월 21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59%) 9월 25일에는 미흑찰(69%)이 미백2호(56%)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깜부기병의 발병주율은 2008년도에 5~15%였으며, 2009년에는 7월 17일 처음 발생하여 2008년에 비해 17일 정도 늦게 발생하였으며 발병주율도 8% 미만(9월 25일)으로 2008년에 비해 아주 낮게 나타났다. 깨씨무늬병의 발생주율은 2008년도에 발생 초기에는 평균 11%(미흑찰)이었다가 9월 19일 조사 때는 두 품종 모두 62%로 높게 나타났다. 2009년도 처음 발생 시기는 6월 8일 이후로 2008년에 비해 20일정도 일찍 발생하였으며 9월 25일까지 지속적으로 발병하여 약 86%까지 달하였으며 2008년에 비해 24% 이상 높게 나타났다.

"단양찰" 자식계통의 초기생육 특성 (Characteristics of Early Growth in Inbred Line of Dangyang Waxy Maize)

  • 지희정;김충수;이희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33권2호
    • /
    • pp.149-157
    • /
    • 2006
  • 자식 계통간의 초기생육을 비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양찰" 계통은 파종후 출현이 다른 계통보다 2~3일정도 빨랐으며 출아후 2일째에는 다른 계통 보다 생육이 느렸지만 출아후 4일째에 서서히 빨라져서 출아후 8일째에는 15.6cm로 초기에 컸던 "당진/칠보" 자식계통보다 오히려 컸다. 2. 지상부의 생체중은 출아후 2일째에 9계통 모두 차이가 없었으나 출아후 8일째에는 서로간의 차이가 커서 "단양찰" 계통이 0.473g으로 다른 계통들 보다 오히려 무거웠다. 3. 지상부의 건물중 역시 출아후 8일째에 공시계통 중에서 "단양찰" 계통이 0.045g으로 무거웠으며 New Dangjin 계통이 0.018g으로 가장 가벼웠다. 4. 근장은 "단양찰" 계통이 출아후 2일에 12.22cm로 가장 길었고 출아후 4일째에는 28.6cm, 출아후 8일째에는 64.4cm로 다른 계통 보다 길었다. 5. 뿌리의 생체중 역시 "단양찰" 계통이 출아후 2일, 4일, 8일에 각각 0.091g, 0.238g, 0.471g 등으로 다른 계통들 보다 무거웠다. 6. 배유의 생체중은 "단양찰" 계통이 출아후 2일에 0.350g으로 무거웠고 출아후 8일째에는 0.261g으로 평균 0.222g 보다 무거운 편이었다. 그러나 다른 계통에 비하여 출아후 8일에는 배유무게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또한 배유의 건물중도 출아후 2일째에 0.204g, 출아후 4일째에는 0.150g으로 가장 무거웠지만 오히려 출아후 8일째에는 0.084g으로 가벼워 출아후 4일째부터 지상부로 양분의 이동이 빨리 진행 되어 배유의 양분이 급속히 감소되는 현상을 보였다. 7. 초장과 근장은 $0.56^{**}$로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고 지상부의 생체중은 지상부의 건물중, 뿌리의 생체중 배유의 생체중에서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배유의 건물중과 뿌리의 건물중과는 $-0.29^{**}$로 고도의 부의 상관을 보였다.

  • PDF

Effect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s on Soil Salinity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Lee, Sanghun;Bae, Hui-Su;Lee, Soo-Hwan;Oh, Yang-Yeol;Ryu, Jin-Hee;Ko, Jong-Cheol;Hong, Ha-Chul;Kim, Yong-Doo;Kim, Sun-Lim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618-627
    • /
    • 2015
  • Soil salinity is the most critical factor for crop production at reclaimed tidal saline soil. Subsurface drainage system is recognized as a powerful tool for the process of desalinization in saline soi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s on soil salinity and corn development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saline soil. The fiel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etween 2012 and 2014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Buan, Korea. Subsurface drainage was installed with four treatments: 1) drain spacing of 5 m, 2) drain spacing 10 m, 3) double layer with drain spacing 5 m and 10 m, and 4) the control without any treatment. The levels of water table showed shorter periods above 60 cm levels with the deeper installation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 Water soluble cation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exchangeable forms and soluble Na contents, especially in surface layer, were greatly reduced with the installation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 Subsurface drainage system improved biomass yield of corn and withering rate. Thus, the biomass yield of corn was improved and the shoot growth was more affected by salinity than was the root growth. The efficiency of double layer was not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drain spacing of 5 m. The economic return to growers at reclaimed tidal saline soil was the greatest by the subsurface drainage system with 5 m drain spacing.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nstallation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 with drain space of 5 m spacing would be a best management practice to control soil salinity and corn development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saline soil.

옥수수의 자식계통(自殖系統)과 교잡종(交雜種)의 초기(初期) 생육(生育) 비교(比較) (Comparison of Initial Growth Inbreds and Hybrids in Corn)

  • 최봉호;이희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194-200
    • /
    • 1984
  • 자식계통(自殖系統)과 교잡종간(交雜種間)의 발아후(發芽後) 23일(日)의 생육기간(生育期間)을 통(通)해, 초장(草長), 근장(根長), 경직경(莖直徑), 생체중(生體重) 및 건물중(乾物重)을 각각(各各) 지상부(地上部)와 지하부(地下部)에 대(對)하여 초기생육(初期生育)을 조사(調査)함으로써 이들의 조기(早期) 식별(識別)을 꾀하고자 시도(試圖)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초장(草長)과 근장(根長)은 발아후(發芽後) 5일묘(日苗)에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因)해 자식계통(自殖系統)과 교잡종자(交雜種子)의 초기생육(初期生育)에서 구별(區別)이 가능(可能)했다. 특(特)히 A664 계통(系統)은 초기생육(初期生育)이 양호(良好)한데, 싸일레지나 종실수량(種實收量)의 증대(增大)를 위(爲)해 종자(種子)로써의 가치(價値)가 크다. 2. 경직경(莖直徑), 생체중(生體重), 건물중(乾物重)의 지상부(地上部)와 지하부(地下部)에 대(對)한 생육(生育)은 발아후(發芽後) 23일에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나타났는데, 적어도 23일묘(苗)에서 자식계통(自殖系統)과 교잡종자(交雜種子)의 구별(區別)은 가능(可能)했다.

  • PDF

대두 유식물에서 Protein Kinase C에 의해서 인산화되는 단백질의 동정 (Identification of Proteins Phosphorylated by Protein Kinase C in Soybean)

  • 최윤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1호
    • /
    • pp.85-90
    • /
    • 1992
  • DEAE-52 cellulose column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분리한 PKC를 이용하여 대두 유 식물 하배축 정단부와 뿌리에서 각각 분리한 세포질 단백질과 막 단백질의 인산화 실험을 통해 PKC의 기질이 되는 단백질을 조사하여 보았다. PKC의 기질은 세포질 단백질의 경우 100, 63 그리고 41 Kd 단백질들이며, 막 단백질 중 하배축 정단부의 경우는 140, 110, 66, 47 그리고 32 Kd 단백질들이며, 뿌리의 경우는 140, 110, 66, 47, 33, 31, 16 Kd 단백질들이라고 생각된다.

  • PDF

Biosolid 처리가 옥수수 근권의 유기산 생성과 중금속 유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solids on Heavy Metal Bioavailability and Organic Acid Production in Rhizosphere of Zea mays L.)

  • 구본준;정덕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73-179
    • /
    • 2005
  • Biosolid 처리는 옥수수의 생장을 촉진시켰으며 중금속 흡수 또한 현저히 증가시켰다. 특히 다른 biosolid와 비교하여 Nu-earth 처리에서 옥수수 지상부의 Cd과 Zn의 흡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옥수수의 중금속 흡수는 biosolid 자체의 중금속 함량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는데, 크롬과 납의 흡수는 그 중 상관관계가 가장 낮았다. 근권의 유기산은 주로 lact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butyric acid 및 oxalic acid 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glutaric acid와 succinic acid, pyruvic acid 및 tartaric acid도 일부 발견되었다. Biosolid를 처리한 경우에는 butyr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는 acetic acid가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