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rn oil

검색결과 583건 처리시간 0.032초

어육(魚肉) 연제품(煉製品)의 보수력(保水力)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Water Holding Capacity of Fish Meat Paste Products)

  • 김무남;조상준;이강호;최진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3-52
    • /
    • 1978
  • It is well known that water holding capac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cessing such meat products as frankfurter-type sausage and fish meat paste products as kamaboko and fish sausage. Consumer qualities of meat products, such as appearance, flavor, as well as drip and shrinkage on cooking, depend greatly on the degree of water binding. In this paper, the water holding capacities of fish paste and salt added paste of white corvenia, Argyrosomus argentatus and file fish, Novodon modestus were measured by centrifuging and press method before and after cooking. And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phosphates and starch to enhance water binding and stabilize gel formation were also discussed.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hich are suitable to determine the water binding of fish meat paste product were suggested. The results were expressed in percent of water absorbed by the filter paper when pressed or released by pressor or centrifuge to the weight of sample. From the results. a proper condition to measure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fish meat paste was that 3.0 g of sample which was previously added with 10 percent water was centrifuged at 13,400 G or 12,000 rpm for 15 minutes for the centriguging method and for press method, 0.3 g sample with 10 percent of water added was extracted by an oil pressor at $30\;kg/cm^2$ for 1 minute. Water holding capacity of fresh paste of white corvenia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file fish and the difference between species of fish was great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measurments by two methods. Sodium chloride had a great effect on enhancing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fish meat paste giving better effect when 3.0 percent of salt was added. Phosphates used except calcium phosphate revealed a certain enhancement in water binding, yielding best effect at 0.3 percent addition, and metaphosphate seemed to be more effective in order. The addition of corn starch, however, appeared to be not so effective for enhancement of water binding in fresh-salt-added fish meat paste but in cooked fish paste which might be attributed to absorption of water by starch grain and swelling during the heating and consequently enforced gel strength of cooked fish paste. And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cooked fish paste was proportionally related to its gel strength.

  • PDF

1,2-Dichloropropane (1,2-DCP)-Induced Angiogenesis in Dermatitis

  • Jin, Meiying;Hong, Youngeun;Lee, Hyunji;Tran, Quangdon;Cho, Hyeonjeong;Kim, Minhee;Kwon, So Hee;Kang, Nak Heon;Park, Jisoo;Park, Jongsu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361-369
    • /
    • 2019
  • 1,2-Dichloropropane (1,2-DCP) has been used as an industrial solvent and a chemical intermediate, as well as in soil fumigants. Human exposure may occur during its production and industrial use. The target organs of 1,2-DCP are the eyes, respiratory system, liver, kidneys, central nervous system, and skin. Repeated or prolonged contact may cause skin sensitization. In this study, 1,2-DCP was dissolved in corn oil at 0, 2.73, 5.75, and 8.75 mL/kg. The skin of mice treated with 1,2-DCP was investigated using western blotting,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and immunohistochemistry. 1,2-DCP was applied to the dorsal skin and both ears of C57BL/6J mice. The thickness of ears and the epidermis increased significantly following treatment, and the appearance of blood vessels was observed in the dorsal skin. Additionally,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which is tightly associated with neovasculariz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levels of protein kinase-B (PKB), phosphorylated PKB,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and phosphorylated mTOR, all of which are key components of the phosphoinositide 3-kinase/PKB/mTOR signaling pathway, were also enhanced. Taken together, 1,2-DCP induced angiogenesis in dermatitis through the PI3K/PKB/mTOR pathway in the skin.

다양한 원료의 사료첨가제가 전복의 성장, 체조성 및 패각 색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Various Sources of Dietary Additives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Shell Color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조성환;박정은;김충일;유진형;이상민;최철영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5-280
    • /
    • 2006
  • 카제인과 덱스트린 및 대두유와 어유의 혼합유를 주요 단백질과 탄수화물 및 지질원으로 구성한 전복용 배합사료에 다양한 microalgae (Haeatococccus, Isochrysis galbana, Shizochytrium)와 갑각류성 기원의 첨가제(krill meal, shrimp head meal, red crab meal) 및 녹차부산물을 각각 2% 첨가한 실험사료를 준비하여 16주간 전복에게 공급하여 주었다. 그리고 다시마를 공급한 실험구를 대조구로 두었다. 실험 종료시 전복의 생존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사료 첨가제를 첨가한 모든 실험사료에서 전복의 체중증가량은 다시마를 공급한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전복의 체중 증가량은 Spirulina, Shizochytrium 및 Isochrysis의 순으로 우수하였다. 전복의 체장 및 체중에 대한 가식부의 중량 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체폭은 다시마를 공급한 실험구에 비하여 첨가제를 첨가한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복 패각의 색채 개선효과는 Spirulina 첨가구에서 가장 뚜렷하였다. 실험사료내 다양한 microalge와 갑각류성 기원의 사료첨가제는 전복의 성장을 효율적으로 개선시켰으며, 사료내 Spirulina의 첨가는 전복 패각 색채 개선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신령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액이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quid Culture of Agaricus blazei Murill on Lipid Metabolism and Enzyme Activities in Rats Fed High Fat Diet)

  • 이현정;고진복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4호
    • /
    • pp.352-358
    • /
    • 2003
  • 신령버섯 균사체 배양액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숫쥐의 성장률, 장기무게, 지질 농도, 단백질 농도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생후 7주령의 흰쥐 (255.3 $\pm$ 20.2 g)에 표준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표준식이에 15% 돈지를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고지방군, 고지방 식이에 신령버섯의 균사체 배양액을 음료수에 20% 및 30%로 혼합 급여한 군 (20% 및 30% 신령버석군) 등 4군으로 나누어 5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 그리고 간, 신장, 비장 및 췌장의 무게는 고지방군과 20% 및 30% 신령버섯군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부고환지방은 정상군에 비하여 고지방군 및 신령버섯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어 신령버섯 섭취에 따른 감소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를 농도 및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활성은 고지방군에 비해 30%신령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간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농도는 고지방군과 20% 및 30% 신령버섯군이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고지방군에 비해 30%신령버섯군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혈청의 단백질, 혈색소 및 혈당 농도, 동맥경화지수와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정상군과 각 실험군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혈청의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활성은 고지방군과 20% 및 30% 신령버섯군이 비슷한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 신령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30% 급여시 체중증가량과 장기 무게는 정상수준을 유지하였고,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LDL-콜레스테를 농도를 낮추고,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Conjugated Linoleic Acid(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돈육의 조직감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영향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CLA) Feeding Levels and Periods on Textural Proper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ork)

  • 이정일;하영주;곽석준;이중동;김두환;강근호;허선진;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1047-1060
    • /
    • 2003
  • Conjugated linoleic acid(CLA)를 비육돈에 급여하여 비육돈 체조직내에 CLA를 축적시키고, CLA가 축적된 돈육의 품질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CLA는 alkaline isomerization 방법으로 식용유를 이용하여 전체 CLA 이성체가 50%인 CLA를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대조구는 80${\sim}$110 kg 까지는 일반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출하체중:110 kg) 2주전부터 일반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에 CLA를 1.25% 첨가하여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2는 출하 2주전부터 사료 함량에 CLA를 2.5%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처리구 3은 사료 함량에 1.25% CLA를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4는 2.5% CLA를 4주간 급여하였다. 급여기간이 끝난 후 일괄적으로 함양도축장에서 도축하여 돈육의 등심부위를 함기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14일간 저장하면서 각 실험항목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돈육등심의 CLA 함량, 콜레스테롤, 지방산 조성, 지방산화, 조직감 및 연도 등을 조사하여 CLA가 축적된 돈육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전단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저장 8일 까지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저장 11일과 14일에는 대조구가 CLA 급여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전단가를 보였다(P〈0.05). 모든 처리구들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P〈0.05). 경도는 전 저장기간 동안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대조구와 CLA 급여 처리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착성은 대조구와 CLA 급여 처리구간에 뚜렷하게 차이나는 경향이 없고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TBARS 변화는 전 저장기간동안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CLA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CLA를 급여한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TBARS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에 따른 비교에서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저장 2일에 대조구와 비교해서 CLA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내었으며(P〈0.05), T4 처리구가 가장 낮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지방산 조성은 전 저장기간동안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증가할수록 myristic, palmitic 및 stear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며(P〈0.05), 반면에 oleic, linoleic 및 arachidon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CLA 함량을 보면 CLA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는 CLA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CLA 급여 처리구에서는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증가할수록 육내 축적율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CLA를 육내에 축적시킬 수 있으며, CLA가 축적된 돈육은 저장 중 지방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능력이 있어 고품질 . 고기능성 돈육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실험적 간암모델에서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 및 렉틴 투여가 전암성 병변의 생성 및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Mistletoe Extract and Lectin on the Preneoplastic Hepatic Lesion and Apoptosis in Experimental Hepatocarcinogenesis)

  • 김미정;김정희;이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82-787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산 겨우살이 물 추출물과 이것에서 분리한 렉틴 성분을 실험적으로 간암을 유도한 흰쥐에게 투여하여 이들이 간 발암억제 효과 및 그 기전의 일부인 apoptosis와의 관련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0~90 g 정도로 이유된 .3주령 Sprague-Dawley종을 한국산 겨우살이 물 추출물 투여 (100 $\mu\textrm{g}$/kg BW), 렉틴의 투여 10 ng/kg BW)와 DEN 투여 여부에 따라6군으로 나누어 발암물질 투여 1주일 후부터 주 2회 복강 투여하였다. 총 사육기간은 9주간이었고, 희생시킨 후 간조직을 분리하여 조직 병리학적 변화 측정을 위한 전암성 병변의 지표인 GST-P$^{+}$foci의 수와 면적을 측정하였고, apopotosis와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apoptosis 염색, DNA fragmentation 측정 및 Bcl-2, c-lAP2, caspase-9, caspase .:, fas-L의 발현정도 측정을 위한 western blotting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체중은 발암물질에 의해 식이 섭취가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제한 섭취를 실시하였으므로 발암물질 투여 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겨우살이 또는 렉틴의 투여에 따른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간 무게는 겨우살이, 렉틴의 투여에 따른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발안물질 투여 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체중에 대한 상대적인 간 무게에 대한 결과도 간 무게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한 투여 량의 한국산 겨우살이 물 추출물 및 렉틴이 간에 독성을 나타내는 농도가 아닌 것으로 보여진다. (2) GST-P$^{+}$ foci의 수, 면적과 PCNA은 겨우살이 물 추출물과 렉틴의 투여에 따라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겨우살이 물 추출물과 렉 틴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조직화학적으로 apoptosis염색한 결과와 DNA fragmentation을 측정한 결과는 모두 apoptosis에 대한 증거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western blot을 측정한 결과 apoptosis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인 Bcl-2와 IAP2는 발암물질 투여에 의해 증가된 발현 정도가 겨우살이 물 추출물이나 렉틴의 투여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apoptosis를 촉진하는 단백질인 caspase-9, fas-L의 경우에는 발암물질 투여 에 의 해 증가된 발현 정도가 겨우살이 물 추출물 및 렉틴의 투여시 더욱 증가되었다.

완두 전분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 (A study on the noodle quality made from pea starch-wheat composite flour)

  • 김은주;윤재영;김희섭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92-697
    • /
    • 2002
  • 밀가루에 배합비를 달리하여 완두전분을 대체한 완두 전분 복합분의 제면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완두 전분 첨가 복합분을 이용하여 만든 dough와 cooked dough를 rheometer를 이용하여 기계적 측정을 한 결과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는 시료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며 cohesiveness만이 밀이 51.6%로 가장 높아 다른 대체전분과 유의성이 있었다. (p<0.05) 국수의 조리특성중 삶은 국수의 무게 증가량은 시료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조리 손실율은 밀가루 국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P2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색도를 측정한 결과 P30의 L값은 가장 높게 b값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C20은 P30에 비해 L 값은 낮았으나 b값은 비슷했고 밀은 가장 낮은 L값과 가장 높은 b값을 나타내었다. 완두전분을 많이 첨가할수록 색이 밝아지고 황색도가 낮아졌다. 조리된 국수는 완두전분을 첨가했을 때 transparency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hardness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30에서는 smoothness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Stickiness, chewiness, acceptability에서는 시료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20은 모든 관능적 특성에서 밀가루면과 비슷한 특성을 나타냈으며 국수를 삶았을 때 transparency가 높았다. C20은 P20, P30보다 hardness가 유의적으로 낮거나 smoothness가 높았다. 국수를 국수장국에 말아 10분간 방치한 후의 관능평가에서도 P20은 모든항목에서 P30은 aceeptablity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W와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패 완두 전분의 조리된 국수의 swelling 방지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으나 20% 대체한 P20이 완두 전분 첨가면으로서 적합하였다.e proportion of 1st principal component was 0.818 in ESI-flavored oil. The PCA plot was used to detect stored Elsholtzia splendens flavored oils.(앞 뒤 문맥이 안맞음. 뒤에 이어지는 글이 있는지?).철저한 위생관리가 요구되어졌다.안한다고 답한 비율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 < 0.05), 저체중군의 편식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식사의 질에 대하여 식사를 고칠 필요가 있다고 답한 비율은 남자가 40.4%, 여자가 56.3%로 나타났으며 (p < .0.01), 다른 군에 비하여 저체중군 남자와 과체중군 여자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4. 수면 시간은 남자는 평균 6.92시간, 여자는 6.53시간으로 조사되었으며, 과체중군 남자가 가장 길었으며, 저 체중군 여자가 가장 짧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면시간에 관해서 남녀 모두 적당하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한편 하루 중 노동, 운동, 휴식, 식사의 균형에 관해서 남녀 모두 가끔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혀 아니라고 응답한 비율도 모든 체형에서 24%이상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70.2%,여자의 52.3%는 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 < 0.001) 남자는 체형과 상관없이 운동을 가끔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전혀 운동을 하지 않는 비율도 24% 이상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운동을 항상 하고 있는 비율은 저체중군에서, 가끔 하는 비율은 과체중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자각적 건강 상태에 관하여 남녀 모두 과반수 이상이 그저 그렇다고 응답하였으며 건강하여 문제가 없다는 남자에게서, 항상 피곤하고 건강 장애가 있다는 여자에게서 높게 나타났다(p < 0.05). 항상 피곤하고 건강 장애가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과체중군 남자와 표준체중군 여자에게서

CLA가 축적된 돈육으로 제조된 Press Ham의 지방산 조성 및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Accumulated Pork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 Ham)

  • 이정일;양한술;정진연;이진우;이제룡;주선태;도창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5-145
    • /
    • 2004
  • CLA는 alkaline isomerization 방법으로 식용유를 이용하여 전체 CLA 이성체가 56%인 CLA를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대조구는 80-110kg까지는 일반 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출하체중 : 110kg) 2주전부터 일반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에 CLA를 1.25% 첨가하여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2는 출하 2주전부터 사료함량에 CLA를 2.5%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처리구 3은 사료함량에 1.25% CLA를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4는 2.5% CLA를 4주간 급여하였다. 급여기간이 끝난 후 일괄적으로 함양도축장에서 도축하여 좌 우도체 의심부위를 발골ㆍ정형하여 제조 원료로 사용하여 프레스햄을 제조한 후 진공 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1, 7, 14, 21 및 28일간 저장하면서 조직적 특성분석, 관능적 특성분석, 지방산 조성 및 CLA 함량 등을 조사하여 CLA가 축적된 프레스햄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직감의 변화에서 저장기간별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었지만 뚜렷한 경향이 없었으며, 저 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관능검사 중 육색의 변화는 전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와 비교하여 CLA급여 처리구가 다소 높은 육색을 보였다. 향기는 전 저장기간 동안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조직감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는데, 저장 1일과 7일에는 대조구가 CLA급여 처리구인 T3, T4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조직감을 보였다.(p<0.05). 전체적인 기호성은 저장 1일에 대조구에 비하여 CLA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성을 보였다(p<0.05). 저장 1일 이후에는 CLA 급여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제품의 육색, 향기,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성 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대조구에 비하여 CLA 급여 처리구는 myristic, palmitic 및 stearic acid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며(p<0.05), 반면에 oleic, linoleic 및 arachidon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CLA 함량을 보면 CLA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는 CLA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CLA 급여 처리구에서는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증가할수록 육내 축적율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함량의 비는 전 저장기간동안 대조구와 비교하여 CLA 급여 처리구가 낮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CLA 급여로 인하여 oleic acid 함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 프레스햄 제조시 CLA가 축적된 돈육의 이용은 조직감 및 관능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CLA를 축적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고급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삼겹살기름의 섭취가 흰쥐의 혈액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Feeding Belly Fat on Plasma Lipids Levels in Rats)

  • 박병성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9-197
    • /
    • 2004
  • 본 실험은 삼겹살 기름의 섭취가 흰쥐의 혈액 지질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흰쥐식이에 옥수수기름을 5% 첨가하여 급여한 처리구(대조구), 상업용 돼지기름으로서 정제된 라드를 5% 혼합 급여한 처리구(T1), 삼겹살 기름을 5% 첨가 급여한 처리구(T2), 삼겹살 기름을 10% 첨가 급여한 처리구(T3) 및 옥수수기름 5% 첨가 급여구(대조구)와 삼겹살 기름 10% 첨가 급여구(T3)를 각각 3일씩 교체 급여한 처리구(T4)등 5개 처리구로 나누어서 각각 6반복씩 완전임의 배치한 후 30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처리구간에 일정 한 차이가 없었으며, 증체량에 있어서는 삼겹살 기름을 첨가 급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혈액 중성지방은 T3가 나머지 네 급여구에 비해서 높았으며 대조구와 비교할 때 삼겹살 기름을 첨가 급여할수록 모든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혈액 총 콜레스테롤은 T3가 가장 높았고 T1, T2, T4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와 삼겹살기름 첨가구 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p<0.05). 혈액 HDLㆍC 함량은 T2와 T3가 가장 낮은 경향을 보여줬으나 T1, T2, T3, T4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조구와 비교할 때 삼겹살 기름을 첨가 급여할수록 모든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줬다(p<0.05). 혈액 LDLㆍC와 Al는 T3가 가장 높았고, T1, T2, T4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와 삼겹살 기름 첨가구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출혈시간은 삼겹살 기름을 첨가 급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T3가 가장 짧았고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전혈 응고시간은 T3가 가장 단축되었고 삼겹살 기름을 첨가급여 할수록 단축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처리구간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돼지고기 삼겹살의 잦은 섭취 또는 과잉섭취가 혈액 내 중성지방과 유해 콜레스테롤 함량을 높여줌으로서 혈전 형성을 가속화 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삼겹살 기름에 함유되어 있는 포화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데 기인함을 시사해 준다.

Conjugated linoleic acid-triglyceride가 함유된 프레스햄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 Ham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Triglyceride)

  • 이정일;주영국;강근호;양한술;정진연;주선태;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109-120
    • /
    • 2007
  • CLA는 alkaline isomerization 방법으로 식용유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였으며, CLA- TG는 sodium methoxide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일반적인 프레스햄을 대조구로 설정하고, CLA-TG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4 처리구로 설정하였으며, 첨가되는 등지방 중량에 대하여 처리구별로 5%(처리구 1), 10%(처리구 2), 15%(처리구 3), 20%(처리구 4)를 대체하여 프레스햄을 제조한 후 진공포장하여 냉장온도(4℃)에서 1, 7, 14, 21 및 28일간 저장하면서 전단가, 관능적 특성분석, 지방산화 및 지방산조성 변화 등을 조사하여 품질 특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전단가는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저장 21일까지 대조구가 CLA-TG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전단가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는 전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단가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항목인 제품색, 향기,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대조구와 CLA-TG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제품의 제품색, 향기,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성 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화는 전 저장기간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CLA-TG 처리구가 낮았으며, 특히 저장 7, 21, 28일째는 유의적으로 낮은 지방산화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에 따른 지방산화 값의 변화는 대조구와 CLA-TG 처리구 모두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지방산 조성 및 CLA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CLA-TG 처리구가 C14:0~C20:4 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CLA 함량은 CLA-TG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는 CLA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CLA-TG 처리구에서는 CLA-TG 대체수준이 증가할수록 제품내 축적율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CLA-TG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 프레스햄 제조시 CLA-TG의 첨가는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제품의 저장기간을 연장 및 CLA를 축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고급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