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rn oil

검색결과 584건 처리시간 0.031초

대규모의 주정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불순물과 그 효율적 분리 (Impurities formed from ethanol fermentation process among different materials and it′s effective separation in large scale)

  • 류병호;김운식;남기두;이인기;하미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371-376
    • /
    • 1986
  • 주정발효공정에서 생성되는 불순물의 분리를 위한 공정개선으로 주정원료별 불순물의 양을 알아보고 이를 super-allospas식 연속증류기에서 집적하여 효율적인 분리를 하였다. 주정발효공정중에 생성되는 불순물 중 methanol은 절간고구마가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그 다음이 타피오카였다. fusel oil중 n-propanol은 쌀, 절간고구마, 옥수수, 쌀보리 및 타피오카의 순서이고 iso-butanol은 타피오카, 옥수수, 쌀, 절간고구마 및 쌀보리의 순서였다. 그리고 iso-amyl alcohol은 타피오카, 쌀. 절간고구마 옥수수, 쌀보리의 순이었다. 한편 supper-allospas식 연속증류기에 의한 fusel oil의 분리시 alcohol함량에 따른 집적율을 보면 n-propanol은 alcohol이 78.25%(v/v)일 때 37.9%. iso-butanol은 alcohol이 68.54% (v/v)일 때 28.6%, n-butanol은 alcohol 50% (v/v)일 때 37.4% iso-amyl alcohol은 alcohol이 50% (v/v)일 때 56.1%의 가장 높은 집적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집적된 불순물은 side cut 하여 후류탑으로 유입시킨 후 재차 농축하여 탑저부의 붕(plate)에서 fusel oil을 side cut하여 일부는 직접분리하고 나머지는 다시 fusel oil분리기에 넣어 alcohol이 20%(v/v) 되도록 가수하여 분리하였다.

  • PDF

식이지방 수준에 따라 n6 와 n3 계 불포화지방산이 혈장 지질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Differential Effect of n6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Plasma Lipids in Rats Fed Low and High Fat Diets)

  • 남정혜;박현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4호
    • /
    • pp.314-325
    • /
    • 1991
  • 식이지방의 수준에 따라 n6 와 n3 불포화지방산이 혈장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과 또 그 기전이 다른지를 연구하고자 Sprague Dawley 종 수컷쥐에게 저지방(LF, 10% Cal)식이와 고지방식이(HF, 40% Cal)를 각각 6주동안 투여하였으며, 사용된 기름은 포화지방산 급원으로는 쇠기름, n6 linoleic acid(LA) 급원으로 corn oil, n3 ${\alpha}-linolenic$ acid(LL) 급원으로 perilla oil, n3 eicosapentaenoic acid(EPA)와 docosahexaenoic acid(DHA) 급원으로 fish oil이었다. Ultracentrifugation 방법으로 VLDL fraction을 분리하여 thin layer chromatography에 의해서 화학적조성을 구하였다. Plasma cholestere 수준은 LF 와 HF 모두 n6 LA에 의해서는 오히려 증가되었고 n3 LL과 n3 EPA에 의해서는 감소되었으며, HF 에서 n3 EPA가 가장 cholesterol 저하효과가 있었다. HDL-Chol 농도는 n6 LA에 의해서 증가되었으나, HF 경우 n3 EPA에 의해서 유의성있게 감소되었다. Plasma TG 농도는 n3 EPA에 의해서 가장 감소되었고 간의 lipogenic enzyme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VLDL fraction의 TG상대적양(%)이 유의성 있게 낮아졌다. 이때 LF 군에서는VLDL fraction의 apo-B의 상대적양(%)이 감소되지 않았으나 HF군에서 n3 EPA에 의해서 유의성 있게 낮았다. 그러므로 n3 EPA의 hvpotriglyceridemic effect는 간에서 lipogenesis를 억제하여 plasma VLDL로 TG 분비가 억제되었을 것이며, HF일 경우는 간에서 apo-B 생성도 억제되었다. 관상동맥성심장질환의 예방적 차원에서 평상시에도 쇠기름과 corn oil 보다는 n3 PUFA가 풍부한 들기름이나 생선을 더욱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DHA가 풍부한 어유가 새끼쥐의 뇌발달과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HA-Rich Fish Oil on Brain Development and Learing Ability in Rats)

  • 정경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3호
    • /
    • pp.267-277
    • /
    • 1996
  • Effect of DHA-rich fish oil on brain development and learning ability has been studied in Sprague Dawley rats. Female rats were fe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either corn oil fish oil at 10%(w/w) level throughout the gestation and lactation. Corn oil was added in fish oil diet to supply essential fatty acid at 2.3% of the calories. All male pups were weaned to the same diets of dams at 21-days after birth. Plasma fatty acid composition was analyzed for dams and pups at 21-days, 28-days and 22-weeks after birth. The analysis of DNA and fatty acid profile in the brain were undertaken at birth, 3, 7, 14, 21, 28 days and 22 weeks after birth and learning ability was tested at 18-20 weeks of age. Regardless of dietary fats, arachidonic acid(AA) and docosahexaenoic acid(DHA) were the principal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brain. Rats fed CO diet showed a continouus increase of AA content in the brain from 10.9%(at birth) to maximum 15.3% level (14-days old), while the rars fed FO diet showed 78-79% of CO group throughout the period. Rats fed FO diet showed higher incorparation of DHA from 15.2% at birth to a maximum level of 18.5% at 140days, while the rats fed CO diet showed only 7.0% incorporation of DHA at birth and a maximum level of 11.1% at 21-days. Compared to CO group, FO group showed lower ratio of chol/PL and higher content of DHA in brain microsomal membrane, resulting in better membrane fluidity. Total amount of DNA per gram of brain was reached maximum level at 21 days in both groups. This would be a period of the cell proliferation during brain development. Overall, the rats fed fish oil diet showed a higher incorporation of DHA and membrane fluidity in the brain and better learning performances (p<0.05).

  • PDF

Effect of Operational Parameters on the Products from Catalytic Pyrolysis of Date Seeds, Wheat Straw, and Corn Cob in Fixed Bed Reactor

  • Sultan Mahmood;Hafiz Miqdad Masood;Waqar Ali khan;Khurram Shahzad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4호
    • /
    • pp.591-597
    • /
    • 2023
  • Pakistan depends heavily on imports for its fuel requirements. In this experiment, catalytic pyrolysis of a blend of feedstock's consisting of date seed, wheat straw, and corn cob was conducted in a fixed bed reactor to produce oil that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fuel. The main focus was to emphasize the outcome of important variables on the produced oil. The effects of operating conditions on the yield of bio-oil were studied by changing temperature (350-500 ℃), heating rate (10, 15, 20 ℃/min), and particle size (1, 2, 3 mm). Moreover, ZnO was used as a catalyst in the process. First, the thermal degradation of the feedstock was investigated by TGA and DTG analysis at 10 ℃/min of different particle sizes of 1, 2, and 3mm from a temperature range of 0 to 1000 ℃. The optimum temperature was found to be 450 ℃ for maximum degradation, and the oil yield was indicated to be around 37%. It was deduced from the experiment that the maximum production of bio-oil was 32.21% at a temperature of 450 ℃, a particle size of 1mm, and a heating rate of 15 ℃/min. When using the catalyst under the same operating conditions, the bio-oil production increased to 41.05%. The heating value of the produced oil was 22 MJ/kg compared to low-quality biodiesel oil, which could be used as a fuel.

녹차씨기름이 고콜레스테롤식이를 섭취시킨 C57BL/6 Mice의 콜레스테롤, TBARS 및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 Seed Oil on the Cholesterol, TBARS and Inflammatory Responses in C57BL/6 Mice Fed High Cholesterol Diet)

  • 김종경;김소희;노경희;장지현;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84-290
    • /
    • 2007
  • 녹차씨유의 장기간 섭취가 혈청 콜레스테롤과 간 조직에서의 항산화능 및 염증반응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동맥경화 유발이 용이한 콜레스테롤식이를 섭취시킨 쥐에서 연구하였다. 4주령의 C57BL/6 mice($male,\;20.01{\pm}0.24\;g$)를 3군으로 나눈 후 콜레스테롤식이에 옥수수유, 녹차씨유, 올리브유를 각각 10%씩 함유한 식이를 9주간 섭취시켰다. 3주마다 안구혈관으로부터 혈액을 취해 혈청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고 항산화능은 9주 후 간 조직에서 TBARS로 측정하였으며 혈장과 대식세포에서의 LTB4, TNF-α, PGE2, NO측정을 통하여 염증반응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군 간의 체중의 증가는 녹차씨유군에서 올리브유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식이섭취량은 녹차씨유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군 간의 식이효율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녹차씨유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체중이 감소한 것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식이섭취량이 다소 낮은 수준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간의 무게는 올리브유군에서 가장 낮았으나 녹차씨유군과 옥수수유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혈청의 콜레스테롤농도는 식이 섭취 6주까지는 모든 군에서 증가하였으나 그 증가수준은 녹차씨유군에서 옥수수유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식이섭취 9주에는 군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조직의 TBARS는 옥수수유군에 비해 녹차씨군과 올리브유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혈장의 LTB4, TNF-α, NO의 생성능은 녹차씨유 섭취군에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대식세포에서는 녹차씨유을 섭취시킨 군이 옥수수유를 섭취시킨 경우보다 이들 염증반응인자의 생성정도가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실험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아 녹차씨유는 염증반응인자에 대하여 다른 식물성기름과 다르지 않는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올리브유와 지방산 조성이 유사한 녹차씨유의 일정기간섭취는 콜레스테롤식이 섭취에 따른 혈장의 콜레스테롤 농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옥수수유 섭취군에 비해 효과적으로 TBARS생성을 낮추므로 녹차씨유가 콜레스테롤식이 섭취에 따른 산화적 스트레스를 방어하는 효과가 있고 녹차씨유가 혈장과 대식세포에서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옥수수유나 올리브유와 크게 다르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다가불포화지방산의 공역이중결합 유도체가 흰쥐의 혈청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jugated Double Bond Derivative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on Serum Lipids in Rats)

  • 김소영;김성희;김경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20-1127
    • /
    • 2007
  • n-6계 linoleic acid의 함량이 높은 옥수수유 및 n-3계 linolenic acid의 함량이 높은 들깨유와 함유된 다가불포화지방산을 공역이중결합 유도체화 처리한 옥수수유 및 들깨유가 흰쥐의 혈청 지질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S.D.계 숫 흰쥐에게 돈지 식이를 대조군으로 하고 옥수수유 10%, 들깨유 10%, 유도체화 처리한 옥수수유 10% 및 유도체화 처리한 들깨유 10%을 급여하여 4주간 실험 사육한 후 혈청 지질성분을 분석하였다. 유도체화 처리한 옥수수유(TCO)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3개의 linoleic acid의 유도체가 확인되었고 유도체화 처리한 들깨유(TPO)에서는 5개의 linolenic acid의 유도체가 확인되었다.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은 유도체화 처리한 옥수수유 및 들깨유 급여군에서 유의성 있게 낮았다. 혈청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전실험군에서 유의성 있게 낮았으며, 특히 유도체화 처리한 옥수수유 및 들깨유 급여군에서 더욱 낮았다.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전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청 LDL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전실험군에서 유의성 있게 낮았으며 유도체화 처리한 옥수수유 및 들깨유 급여군에서 더욱 낮은 경향을 보였고, 특히 유도체화 처리한 들깨유 급여군에서 가장 낮았다. VLDL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전실험군에서 유의성 있게 낮았으며, chylomicron 농도는 유도체화 처리한 유지 급여군에서 유의성 있게 낮았고 특히 유도체화 처리한 들깨유 급여군에서 가장 낮았다. 혈청 유리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전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반면 유도체화 처리한 옥수수유 및 들깨유 급여군에서 약간 낮았다. 혈청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전실험군에서 유의성 있게 낮았으며, 특히 유도체화 처리한 들깨유 급여군에서 가장 낮았다. 인지질 농도는 옥수수유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난 반면 유도체화 처리한 유지 급여군은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 n-6계 linoleic acid의 함량이 높은 옥수수유 및 n-3계 linolenic acid 함량이 높은 들깨유의 공역이중결합유도체의 섭취는 혈중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chylomicron 및 중성지질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혈청 지질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n-3계 들깨유의 공역이중결합 유도체 급여군이 혈청 지질 개선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어유 및 종자유의 급이가 흰쥐의 혈청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sh Oil and Some Seed Oils on Lipid Composition of Serum in Rats)

  • 정효숙;김성희;김한수;김갑순;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2-319
    • /
    • 1991
  • n-3계 EPA 및 DHA를 함유하고 있는 어유 및 $\alpha$- linoleic acid 함량이 많은 들깨유와 n-6계 linoleic acid 의 함량이 많은 옥수수유 및 고추종자유, n-6계 inoleic acid 함량이 많고 ${\gamma}$-linoleic acid를 약 10% 함유한 달맞이꽃종자유가 흰쥐의 혈청 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청 지질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어유, 들깨유, 옥수수유 급여군이 대조군인 올리브유 급여군 보다 낮은 반면 고추종 자유, 달맞이꽃종자유 급여군에서 높았다.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추종자유, 달맞이꽃종자유 급여군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농도비는 전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높았다. 유리콜레스테롤은 고추종자유 급여군을 제외한 전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낮았으며 특히 어유, 들깨유 및 옥수수유 급여군에서 더욱 낮게 나타났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농도는 n-6계 다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많은 고추종자유, 달맞이꽃종자유 군에서 높았다.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농도비는 대조군인 올리브유 급여군(62%)보다 전 실험군(70.0%~74.4%)에서 높게 나타났다. 인지질 농도는 어유 및 들깨유 급여군에서 낮았고,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들깨유, 어유, 달맞이꽃종자유 군에서 현저히 낮았다. LCAT 활성은 대조군보다 돈지 급여군에서 높은 반면, 다른 실험군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 PDF

탈취온도가 옥수수기름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제1보) 탈취온도가 옥수수기름의 지방산 및 triglyceride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odorizing Temperatur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Corn Oil (I) Effect of Deodorizing Temperature on fatty Acid and Triglyceride Composition in Corn Oil)

  • 이근보;홍민;한명규;이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9-193
    • /
    • 1997
  • 옥수수기름의 탈취온도가 탈취유의 이화학적 항수, 지방산 조성 및 triglyceride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적정 탈취온도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40{\sim}270^{\circ}C$의 탈취온도에서 산값은 $240^{\circ}C$ 처리군에서 0,07로 가장 낮았고, $250{\sim}270^{\circ}C$에서는 $0.08{\sim}0.09$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Lovibond total color는 $255^{\circ}C$에서 가장 낮은 24였으며, 과산화물값은 $240{\sim}270^{\circ}C$ 전구간에서 0을 나타내었으나 $235^{\circ}C$에서는 0.42로 과산화물이 완전 제거되지 않아 $240^{\circ}C$이상의 탈취온도가 요망되었다. 한편, 탈취온도가 증가할수록 myristic, palmitic, stearic acid 등의 포화지방산 함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탈납유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arachidic acid함량이 급속한 증가 경향을 보였다. 탈취온도에 따라 TG조성도 변화를 보여 $250^{\circ}C$ 이상 처리군에서는 $S_3$형 TG가 발견되는등 고온탈취는 탈취유의 이화학적 특성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omega3$$\omega6$계 지방산이 흰 쥐의 뇌 성장과 지능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mega}-3$ and ${\omega}-6$ Fatty Acids from Prenatal to Growing Period on the Brain Growth and Behavioral Development of the Rats)

  • 이윤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8권7호
    • /
    • pp.602-611
    • /
    • 199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omega$-3 and $\omega$-6 polyunsaturated and saturated fatty acid from prenatal to growing period on the brain growth and behavioral development of rats. Rats(Sprague-Dawley strain) were fed experimental diets-fish oil, corn oil or beef tallow-with different contents of $\omega$-3 and $\omega$-6 fatty acids throughout the prenatal and lactational period and up to 10 weeks of age. DNA and RNA concentration of rat brain were determined at 0, 3, 6 weeks of age and choline and acetylcholine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at 10 weeks of age. When the rats were 7 weeks of age, position reversional test in a Y-shaped water maze for 4 weeks was measured.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Food intak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fish oil group and body weight gain was low in the group fed beef tallow and the groups fed fish oil and corn oil were somewhat good. Food efficiency ratio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Brain weight was not affected by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experimental diets and DNA and RNA concentration of the rat brain were consistently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It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mong the dietary groups in the DNA and RNA concentrations of the rat brain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acetylcholine concentration in the fish oil group was somewhat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The position reversional test in a Y-shaped water maz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score of tes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The score of the rats fed the fish oil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and the concentration of acetylcholine in brain were too. Therefore the correlatin between the Y-shaped water maze test score and the acetylcholine concentratin in the brain was found. Above finding support the content that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 does not affect to the brain cell number and cell size but the behavior development is influenced.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behavior development is required the effective usage of finny tribe.

  • PDF

Dimethylhydrazine으로 처리한 쥐에서 식이섬유소와 지방종류가 대장의 종양발생율과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iber and Fat on Tumor Incidence and Cell Proliferation of Colonic Mucosa in DMH-Treated Rats)

  • 최주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4호
    • /
    • pp.697-707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effect of dietary fiber and fat on colon tumor incidence and cell proliferation. Male Sqraue Dawley rats(n=225) at 7 weeks of age, were divided into 3 groups depending on the type of fat b(beef tallow, corn oil and DHA-rich fish oil) and each group was again divided into 3 groups depending on type of fiber(fiber-free, perctin and cellulose) . The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dietary fat at 15%(w/w) and fiber at 6%(w/w) levels was fed for 25 weeks. At the same time, each rats was intramuscularly injected with DMH two times a week for 6 weeks to geive total dose of 180mg/kg body weight.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by in vivo incroporation of bromodeoxyuridine (BrdU) into DNA. Fish oil decreased the tumor incidence (9.67%) compared with beef talow (33.39%) and corn oil (21.21%). Tumor incidence was decreased in all groups that fed cellulose (11.67%) compared with those of fiber-free(21.74%) and pectic(19.70%). Most of tumors was distributed at the site of the distal colon. The rats fed both fish oil and cellulose significantly decreased th enumber of tumors and tumor incidence compared to other groups. Fish oil wa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cell prolofieration by decreasing crypt length and labeling index(LI) compared with beef tallow(p<0.05). Cell proliferation in distal colon was more developed to the upper part of the crypt compared to proximal colon. Overall tumor incidence and cell proliferation were more affected by dietary fat. But the effect of dietary fiber was different depending on type of fat in the experimental di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DHA -rich fish oil may has more decisive effect in inhibiting the cell proliferation in col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