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ptis chinensis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7초

금은화, 황련, 상엽 추출물 혼합물과 항생제(Albac G150) 급여가 계육의 산화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edicinal Herb Extract Mix and Antibiotics (Albac G150)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Chicken Meat)

  • 정사무엘;송현파;최준호;김빛나;신명호;이봉덕;조철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9-37
    • /
    • 2008
  • 천연 한약재인 금은화, 상엽, 황련(48.5 : 48.5 : 3.0)으로부터 얻은 복합 한약재 추출물 0.3%와 항생제(Albac G150) 0.05%를 육계에 각각 급여한 후 닭 가슴육과 다리육의 산화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복합 한약재 추출물이나 항생제 모두 급여하지 않은 구를 대조구로 하였다. 닭가슴육의 총 페놀 함량은 복합 한약재 추출물 급여구가 가장 높았고, 항생제 급여구 및 대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자 공여능은 복합 한약재 추출물 급여구가 항생제 급여구에 비해 닭다리육 0일차 저장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소거 활성 또한 복합 한약재 추출물 급여구가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저장 중 지방산패도는 일반적으로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실험결과 항생제 급여구나 대조구에 비해 복합 한약재 추출물 급여구가 계육의 산화 안정성에 효과적이었으며, 기능성 천연 물질의 급여는 항생제 대체뿐만 아니라 계육의 부가적 기능의 향상 가능성도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천연물을 이용한 항균성 염료의 개발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Dye for Natural Dyeing using Natural Substances)

  • 유영은;박은영;정대화;변성희;김상찬;박성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2-39
    • /
    • 2010
  •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천연 염색 시 염료로 사용이 기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지는 한약재와 천연물 중 72가지를 선발하고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1차 조사와 열수, 에탄올, 메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이용한 2차 조사 결과 전반적인 천연물에서 열수와 메탄올 추출물에서 상대적으로 유효한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별한 천연물 중 대황, 산사, 산수유, 소목, 오매, 오미자, 오배자와 황련 추출물에서 20 mm 이상의 생육저지환이 형성되었으나 항세균성에 대한 활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항진균성에 대한 연구가 보다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물 중 가장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낸 황련 열수 추출물의 S. aureus ATCC 6538에 대한 MIC 값을 조사한 결과 110 mg/mL로 조사되었다. 또한 공시균주 외 다른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조사한 3종에 대하여도 양호한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선별된 천연물이 천연염색 뿐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많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용매에 따른 회수율과 항균성을 비교할 때 낮은 회수율에서도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는 소목과 황련의 경우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좋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약재 추출액의 S. aureus KCCM12256과 V. parahaemolyticus KCCM11965에 대한 항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to S. aureus KCCM12256 and V. parahaemolyticus KCCM11965)

  • 도은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81-887
    • /
    • 2010
  • 천연식품 보존제의 개발과 이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31종의 한약재 추출물 중 S. aureus와 V. parahaemolyticus 등 식중독 유발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한약재를 선발하고, 선발된 한약재 추출물의 농도나 분획물의 항균 활성 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물과 메틸알콜을 용매로 추출하여 S. aureus와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한 결과, 지유, 황련 및 마치현 등이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며, 물보다는 메틸알콜 추출액의 항균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유의 물 및 메틸알콜 추출물 모두 S. aureus 및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강한 항균 활성이 있었다. 지유 추출물은 S. aureus에 대해서는 5% 희석 농도까지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으나, V.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는 10% 희석 농도까지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지유 추출물의 EtOAc, BuOH 및 $H_2O$ 분획물은 S. aureus와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있었으며, S. aureus에 대해서는 EtOAc 분획물은 5%, BuOH 분획물은 2% 그리고 $H_2O$ 분획물은 1% 희석 농도까지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으며, V.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는 EtOAc 분획물은 1% 희석 농도, $H_2O$ 분획물은 2% 그리고 BuOH 분획물은 5% 희석 농도까지 항균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마우스에서 berberine과 silibinin 복합투여를 통한 지질대사 개선과 항비만 효능 증진 (Combination of berberine and silibinin improves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icacy in high-fat diet-fed obese mice)

  • 이진형;최영훈;윤영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3호
    • /
    • pp.291-29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HFD)를 급식하여 제조한 비만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여 berberine (BBR)과 silibinin (SBN) 복합투여가 혈중 지질대사 및 항비만 개선 효능에 유의적인 시너지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HFD로 유도된 비만마우스를 8 주 동안 HFD의 지속적인 제공와 함께 BBR 및 SBN (BBR-SBN) 조합을 투여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체중과 식이량을 측정하였고 혈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HDL 콜레스테롤 수준을 분석하였다. HFD를 제공한 마우스는 정상 대조군(NC) 그룹에 비해 체중과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치가 급격히 증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비만마우스에 BBR-SBN조합을 투여하였을 때 체중 증가가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치는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HFD그룹의 복부지방 무게는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부고환 지방조직 내의 지방세포의 크기가 NC 그룹에 비해 크게 확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BBR-SBN 그룹에서는 지방세포의 크기가 NC 그룹의 크기와 비슷했으며 복부지방 무게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더불어, HFD 그룹에서 보이는 간 조직의 거대 소포성 지방구의 축적은 BBR-SBN 그룹에서 크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BBR-SBN 조합이 HFD 유발 비만마우스에서 체중 및 복부 지방 증가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혈청 내의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준을 낮추어 항비만 효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앞으로 항비만 치료 및 개선제제로서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생쥐 대장 카할세포의 자발적 탈분극에서 한약의 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Effects of Herbal medicines in Pacemaker Potential of Colonic Intestinal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n mice)

  • 최나리;정해정;최우균;김병주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19
    • /
    • 202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s on pacemaker potentials of large intestinal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CC) in mice. Methods : We made the ICC culture in large intestine in mice and used the electrophysiological method to record pacemaker potentials. Also we used MTT assay to check cell viability and examined the ICC protein expression by western blot. Results : 1.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GF) (50-150 ㎍/ml) induced pacemaker depolarization and decreased frequenc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EC50 is 58.95 ㎍/ml. Angelica gigas (AG) (50-200 ㎍/ml) induced pacemaker depolarization and decreased frequenc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EC50 is 77.22 ㎍/ml. Poncirus fructus (PF) (10-100 ㎍/ml) induced pacemaker depolarization and decreased frequenc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EC50 is 13.39 ㎍/ml. Citrus unshiu S. Marcov. (CU) (10-500 ㎍/ml) induced pacemaker depolarization and decreased frequenc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EC50 is 139.80 ㎍/ml. Gardenia jasminoides J. Ellis (GJ) (100-500 ㎍/ml) induced pacemaker depolarization and decreased frequenc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EC50 is 78.70 ㎍/ml. Coptis chinensis (CC) (100-1000 ㎍/ml) induced pacemaker depolarization and decreased frequenc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EC50 is 138.10 ㎍/ml. Scutellaria baicalensis (SB) (10-100 ㎍/ml) had no effects on pacemaker potentials and decreased frequenc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IC50 is 18.34 ㎍/ml.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AM) (10-100 ㎍/ml) induced pacemaker hyperpolarizations and decreased frequenc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IC50 is 18.54 ㎍/ml. 2. PF, SB and AM had no effects on cell death in large ICC. 3. PF increased the ANO1 and c-kit protein expression and SB and AM increased the c-kit protein expression in large ICC.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F, SB, and AM are likely to be the optimal combination of herbal medicines that can be used to treat diseases such as gastrointestinal motility disorders such as irritable bowel syndrome.

황연(黃連)이 Cationic Bovine Serum Albumin 투여로 유발된 Membranous Nephropathy Mouse Model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optidis Rhizoma Extract on the Membranous Nephropathy induced by Cationic Bovine Serum Albumin in Mice)

  • 채은영;조충식;김철중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9-110
    • /
    • 2009
  • Objectives : The current treatment regimens for patients with nephrotic syndrome due to membranous nephropathy(MN) are based on steroids or immunosuppressive therapy with the aim of reducing proteinuria and improving outcome. Although these treatments attenuate the deterioration of renal function in MN patients, it has been suggested that all are burdened by significant toxicity. Therefore, more specific and less toxic therapies are needed.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ptidis Rhizoma Extract(CRE) on the MN induced by cBSA in mice. Methods :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One group named for 'Normal' was injected with a saline solution not to be immunized. The rest groups were treated as follows; After mice were immunized with 0.2 mg of cBSA and Freund's complete adjuvant one time every two weeks for 6 weeks, they received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10 mg/kg of cBSA daily for 4 weeks. Also, they were divided into 3 groups. The first named for 'Control' was not given CRE. The second for 'CRE-250' was given oral administration of 250 mg/kg of CRE daily for 4 weeks. The third for 'CRE-500' was given 500 mg/kg of CRE. All of mice were sacrificed 4 weeks after the first immunization. We measured a body weight and 24hrs proteinuria as well as serological analysis. The morphologic changes of renal glomeruli were also observed with a light microscope and an electron microscope. Results : The levels of 24 hrs proteinuria, triglyceride, IgG, IL-6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CRE groups. And the level of Ig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RE-250 group. In histological findings of kidney tissue, thickening of GBM and deposition of electron-density were consideraly decreased in both CRE groups. Conclusions :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CRE is highly effective when treating mice with MN induced by cBSA. More clinical data and studies are to be done for efficient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