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per slag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19초

대전 원신흥동 유적 출토 고대 세라믹 유물의 재료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Clay Source Interpretation of the Ancient Ceramic Artifacts from the Wonsinheungdong Site in Daejeon, Korea)

  • 김란희;정해선;정상훈;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3-179
    • /
    • 2011
  • 이 연구는 대전 원신흥동 유적에서 출토된 도가니, 토기 및 기와의 재료학적 특성과 원료의 동질성 검토를 통한 원산지 해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현미경 관찰 및 X-선 회절분석 결과, 각 시료의 광물조성은 거의 일치하나 기벽의 두께 및 포함된 광물의 분급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 중 토기는 0.5~0.7cm의 얇은 기벽에 가장 정선된 태토 특성을 보이는 반면 도가니와 기와는 기벽이 1.3~2.5cm로 두꺼우며 분급이 불량한 석영, 정장석 및 사장석이 다량 관찰된다. 도가니의 경우, 태토에 혼합된 짚이 소성과정에서 탄화되어 크고 길쭉한 공극이 관찰되는 느슨한 기질적 특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재료학적으로 차이를 보이지만 이들은 유적지 토양과 광물조성 및 지구화학적 거동특성이 상당히 일치하고 있어 모두 동일한 모암의 풍화에 의해 생성된 점토를 이용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1,050{\sim}1,150^{\circ}C$의 소성온도를 경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질토기를 제외하면 모든 세라믹 유물들은 $850{\sim}950^{\circ}C$의 온도영역에서 소성하였을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도가니의 용융물은 구리와 주석의 편석을 일부 포함한 슬래그로 판단되나 부분적으로 치밀한 적색 및 녹색 유리질 조직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유리 용융물의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저위생산답(低位生産沓) 토양(土壤)에 대(對)한 개량제(改良劑)와 인산(燐酸)의 효과(效果) (The effect of a soil amendment on phosphate efficiency in a low productive paddy soil)

  • 심상칠;송기준;김정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1-26
    • /
    • 1971
  • 몇가지 미량원소(微量元素)(Mn, Cu, Zn, B)를 혼합(混合)한 시판(市販)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추답토양(秋畓土壤)에 대(對)한 개량제(改良劑)로서의 효과(效果)와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비효(肥效) 증진(增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개량제(改良劑)로서의 시용(施用) 효과(效果)가 현저(顯著)하였다. 대조구(對照區)의 정조수량(精粗收量) 462kg/10a에 비하여 개량제처(改良劑處) 이구(理區)는 560kg/10a 로 이는 천립중(千粒重), 등숙비(登熟比), 임실률(稔實率) 및 수당입수(穗當粒數)가 개량제(改良劑)의 처리(處理)에 의(依)해 각각(各各) 증가(增加)한 때문인 것 같다. 2. 개량제(改良濟)의 처리(處理)에 의(依)해 인산(燐酸)의 비효(肥效)가 증대(增大)되는 경향(傾向)이었다. 인산(燐酸)의 시비량(施肥量) 증가(增加)에 의(依)해 천립중(千粒重), 임실률(稔實率), 등숙비(登熟比)가 증가(增加)되었으며 특(特)히 대조구(對照區)의 임실률(稔實率)이 크게 증가(增加)되었다. 3. 인산(燐酸)의 시용(施用)은 수도(水稻)의 생육(生育)을 촉진(促進)하고 개량제(改良劑)의 시용(施用)은 생육(生育)을 억제(抑制)하는 경향(傾向)이 었으며 결과적(結果的)으로 개량제(改良劑)의 시용(施用)에 의(依)해 무효분얼(無效分蘖)의 발생(發生)이 억제(抑制)되었다. 4. 개량제(改良劑)의 시용(施用)에 의(依)해 식물체중(植物體中)의 규산(珪酸)과 망강의 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고 인산(燐酸), 동(銅), 아연(亞鉛)의 함량(含量)은 감소(減少)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