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per(I) chloride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2초

Chemical Treatment of Low-level Radioactive Liquid Waste (I)

  • Lee, Sang-Hoon;Choe, Jong-In;Kim, Yong-Ea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69-76
    • /
    • 1976
  • 핵연료 재처리 과정이나 원자력발전소에서 대량으로 발생되는 비교적 반감기가 긴 핵종들(Sr-90, Ru-106, Cb-137, Ce-144)의 화학응집제와 국산점토 광물(montmorillonite)에 의한 제거 효율을 결정하기 위해 본 실험이 수행되었다. Phosphate process는 Ce-144의 제거에 있어서 99.5% 이상의 극히 좋은 효율을 나타냈고, lime-soda process는 Sr-90에 대하여 93%의 높은 제거율을 보였으며, Cs-187에 대해서는 copper-ferrocyanide가 제거율 99%의 매우 적절한 화학 응집제임을 나타냈다. Phosphate나 lime-soda process에서 가장 좋은 제거효율은 PH 11 이상에서 얻어졌다. 그리고 NaCl로 처리된 montmorillonite가 방사성 핵종들은 제거하는데 있어서 natural montmorillonite 보다 향상된 제거 효율을 보여주었다.

  • PDF

쑥을 이용한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Natural Dyeing with Artemisia)

  • 임명은;유혜자;이혜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911-921
    • /
    • 1997
  • Recently the interest in natural dyeing has been increased because of the color clarity, natural grace and reactionism in fashion. Indigo dyeing, safflower dyeing and Gal-ott in Cheju-Do become generally known, so the study about the natural dyeing is continued with national intrust and support. In this study, 1 used artemisia for various dyeing tests because we can get it easily. 1 tested the dyeability in wool as well as cotton and silk with wormwood in natural dyeing material. I also dyed nylon with the same material for the comparison of the molecular structure. The mercerization and the chitosan treatment were done in cotton to improve the low dyeability in the natural dyeing.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e have to dye repeatedly to get deep color in natural dyeing, and mordant treatment brought good result in color difference and dyeing fastness. 1. Compared with silk, wool and nylon, the dyeability of cotton was the worse. The color difference of cotton was 18.81 without mordants , and 24.05 with mordant. The dyeability of cotton was much increased by mordants such as potassiumdichromate, copper sulfate, iron sulfate and salt water. The color of cotton was turned into yellow-green in potassium dichromate and yellow-green with deep green in copper sulfate. The mercerization and the chitosan treatment of cotton made the improvement in color, dyeability, laundering fastness, abrasion fastness. 2. The color difference of silk was 3 times as high as cotton. It showed the similar degree with the chitosan treated-cotton. That is to say, silk had good dyeability because it contains amino group and carboxyl group. The dyebility of silk was increased by a mordant such as iron sulfate, potassium dichromate and salt water, Drycleaning fastness showed 5 grade, abrasion-fastness was high over 4~5 grade and sunlight fastness showed 1 grade in all case. 3. The color difference of wool was the best among four fabrics because of 18 kinds of amino acids. It is considered that the sulfate of wool has the polarity and help metal- mordants get the better dyeability such as potassium dichromate, iron sulfate, copper sulfate, and aluminum chloride. The color was reddish-green in potassium dichromate, yellow.greenin iron sulfate and copper sulfate, and yellow in the rest mordants. Drycleaning fastness of wool showed over 4~5 grade, abrasion fastness 5 grade. Sunlight-fastness 1 grade. 4. The dyeability of nylon was almost same because of the similar molecular structure with silk. The clarity of color was poor. The color was yellow-green in copper sulfate and yellow in the rest mordants. Laundering fastness and abrasion-fastness of nylon was good. Sunlight- fastness represented 1 grade.

  • PDF

Breakthrough behaviour of NBC canister against carbon tetrachloride: a simulant for chemical warfare agents

  • Srivastava, Avanish Kumar;Shah, D.;Mahato, T.H.;Singh, Beer;Saxena, A.;Verma, A.K.;Shrivastava, S.;Roy, A.;Yadav, S.S.;Shrivastava, A.R.
    • Carbon letters
    • /
    • 제13권2호
    • /
    • pp.109-114
    • /
    • 2012
  • A nuclear, biological, chemical (NBC) canister was indigenously developed using active carbon impregnated with ammoniacal salts of copper (II), chromium (VI) and silver (I), and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erosol filter media. The NBC canister was evaluated against carbon tetra chloride ($CCl_4$) vapours, which were used as a simulant for persistent chemical warfare agents under dynamic conditions for testing breakthrough times of canisters of gas masks in the National Approval Test of Respirators. The effects of $CCl_4$ concentration, test flow rat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RH) on the breakthrough time of the NBC canister against $CCl_4$ vapour were also studied. The impregnated carbon that filled the NBC canister was characterized for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by $N_2$ adsorption-desorption isotherm at liquid nitrogen temperature. The study clearly indicated that the NBC canister provides adequate protection against $CCl_4$ vapours. The breakthrough tim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CCl_4$ concentration and flow rate. The variation in temperature and RH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breakthrough behaviour of the NBC canister at high vapour concentration of $CCl_4$, whereas the breakthrough time of the NBC canister was reduced by an increase of RH at low $CCl_4$ vapour concentration.

Effect of nucleating agents and stabilisers on the synthesis of Iron-Oxide Nanoparticles-XRD analysis

  • Butt, Faaz A.;Jafri, Syed M. Mohsin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3권3호
    • /
    • pp.169-176
    • /
    • 2015
  • Iron nanoparticles were made by using the modified coprecipitation technique. Usually the characteristics of synthesised particles depend upon the process parameters such as the ratio of the iron ions, the pH of the solution, the molar concentration of base used, type of reactants and temperature. A modified coprecipitation method was adopted in this study. A magnetic stirrer was used for mixing and the morphology and nature of particles were observed after synthesis. Nanoparticles were characterised through XRD. Obtained nanoparticles showed the formation of magnetite and maghemite under citric acid and oxalic acid as stabilisers respectively. The size of nanoparticle was greatly affected by the use of different types of stabilisers. Results show that citric acid greatly reduced the obtained particle size. Particle size as small as 13 nm was obtain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kinds of nucleating agents were also observed and two different types of nucleating agents were used i.e. potassium hydroxide (KOH) and copper chloride ($CuCl_2$).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nucleating agent in general pushes the growth phase of nanoparticles towards the end of coprecipitation reaction. The particles obtained after addition of nucleating agent were greater in size than particles obtained by not utilising any nucleating agent. These particles have found widespread use in medical sciences, energy conservation and electronic sensing technology.

Extraction of Water-Soluble Porphyrin and Metalloporphyrins into Acetonitrile by Salting-out

  • Tabata, Masaaki;Kumamoto, Midori
    • 분석과학
    • /
    • 제8권4호
    • /
    • pp.511-517
    • /
    • 1995
  • A cationic water soluble porphyrin (5,10,15,20-tetrakis (l-methyl-pyridinium-4-yl)porphyrin, $H_2tmpyp^{4+}$) and its metalloporphyrins (MP) were easily extracted into acetonitrile separated by addition of sodium chloride ($4mol\;dm^{-3}$) in the presence of sodium perchlorate, where M denotes $Zn^{2+}$, $Cu^{2+}$, $Co^{3+}$, $Fe^{3+}$, and $Mn^{3+}$ and $P^{2-}$ is porphyrinate ion. The extracted ion-pair complexes were completely dissociated to $[MP(ClO_4)_3]^+$, and $[MP(ClO_4)_2]^{2+}$. The extraction and the dissociation constants were determined by taking into account of the partition constant of sodium perchlorate ($K_D=1.82{\pm}0.01$).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separated acetonitrile phase as $E_{T(30)}$ and $D_{II,I}$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other water miscible solvents (acetone, actonitrile, 1,4-dioxane, tetrahydrofuran, 1-propanol and 2-propanol). Furthermore, a sensitive and selective method was propo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 subnanogram amount of copper(II) in natural water samples by using the present salting-out method and the porphyrins.

  • PDF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1,1-Dialkyl-2,5-bis(trimethylsilylethynyl)siloles as Anode Active Material and Solid-state Electrolyte for Lithium-ion Batteries

  • Hyeong Rok Si;Young Tae Park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6호
    • /
    • pp.429-440
    • /
    • 2023
  • 1,1-Dialkyl-2,5-bis(trimethylsilylethynyl)-3,4-diphenylsiloles (R=Et, i-Pr, n-Hex; 3a-c) were prepared and utilized as an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3a was also used as a filler for the solid-state electrolytes (SSE). Siloles 3a-c were prepared by substitution reactions in which the two bromine groups of 1,1-dialkyl-2,5-dibromo-3,4-diphe- nylsiloles, used as precursors, were substituted with trimethylsilylacetylene in the presence of palladium chloride, copper iodide, and triphenylphosphine in diisopropylamine. Among siloles 3a-c, 3a had the best electrochemical properties as an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including an initial capacity of 758 mAhg-1 (0.1 A/g), which was reduced to 547 mAhg-1 and then increased to 1,225 mAhg-1 at 500 cycles. A 3a-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3a-CPE) was prepared using silole 3a as an additive at concentrations of 1, 2, 3, and 4 wt.%. The 2 wt.% 3a-CPE composite afforded an excellent ionic conductivity of 1.09 × 10-3 Scm-1 at 60℃, indicating that silole 3a has potential applicability as an an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and can also be used as an additive for the SSE of lithium-ion batteries.

경상분지내 열수동광상의 지화학 및 성인연구 : 화천리지역 광화대 (Geochemistry and Genesis of Hydrothermal Cu Deposits in the Gyeongsang Basin, Korea : Hwacheon-ri Mineralized Area)

  • 소칠섭;최상훈;윤성택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4호
    • /
    • pp.337-350
    • /
    • 1995
  • 경상분지 백악기 화산암류내 배태된 함동열수맥상광체들로 구성된 화천리지역 동광상(대원, 구룡, 청룡, 화천)들은 구조운동에 수반되어 3회(I, II, III)에 걸쳐 광화작용이 진행되었다. 주 광화시기인 광화 I기는 광물들의 산출조직과 공생관계 등에 의하여 3개의 substage (Ia, Ib, Ic)로 구분되며, 황철석, 유비철석, 자류철석, 자철석, 황동색, 에렉트럼, 섬아연석, 방연석, 적철석 등의 광석광물들이 주로 산출된다. 이들 광물조성은 지역내 각 광상에서 유사하지만, 몰리브덴의 산출이 관찰되는 화천광상의 경우 광화I기 초기(Ia)의 광화작용이, 구룡과 청룡광산에서는 적철석의 산출로 특징지어지는 광화I기 후기(Ic)의 광화작용이 각각 우세하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관계화성암과 관련된 지역내 각 광상의 공간적 분포상태에 따른 열수유체의 진화정도에 의해 지배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체포유물 연구결과, 광석광물의 주된 침전은 9~1 wt.% 상당염농도를 갖는 광화유체로부터 $350^{\circ}$에서 $200^{\circ}C$에 걸쳐 진행되었다. 광화유체내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연구결과, 화천리지역 열수계의 광화유체내 산소 안정동위원소비값이 광화작용의 진행에 따라 2.7‰로 부터 후기 -9.9‰로 감소함은 수소 안정동위원소비값의 감소 (-62‰${\rightarrow}$-80‰)와 함께, 상대적으로 낮은 water/rock 비값을 갖는 환경하에서 동위원소 교환반응을 이뤄 평형상태에 이른 초기 열수계내에 차갑고 동위원소적 교환반응이 거의 이뤄지지 않은 천수의 혼입이 점증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광화유체의 진화양상과 광상내 산출하는 광물공생관계 및 화학조성에 의한 열역학적 고찰결과는, 광화유체내 Cu는 주로 chloride complex상으로 이동되었으며, 이의 침전은 주로 천수유입에 의한 $fo_2$의 변화와 온도감소에 의하여 지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 PDF

영남지역 출토 금제 귀걸이의 성분 조성에 따른 유형 분류와 금속 재료 특성 (Type Classification and Material Properties by the Composition of Components in Gold Earrings Excavated from the Yeongnam Region)

  • 전익환;강정무;이재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1호
    • /
    • pp.4-21
    • /
    • 2019
  • 영남지역에서 출토된 6~7세기 신라 금제 귀걸이 23점에 대한 성분 분석을 실시하고, 금판에 포함된 은(Ag) 함량을 기준으로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I 유형(20~50wt%), II 유형(10~20wt%), III 유형(10wt% 이하)으로 구분하였는데, I II 유형의 귀걸이 금판은 금(Au)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에서 미세한 기공이 집중적으로 분포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금판 표면의 성분 차이 발생 원인을 네 가지로 구분하여 1) 표면 처리, 2) 제작 과정에서 열 확산, 3) 사금의 성분 차이, 4) 금의 정련 방법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금판 표면의 금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에서는 미세한 기공이 집중적으로 관찰되며, 이와 관련하여 금 합금 표면에 의도적으로 금을 제외한 금속 성분을 제거하면서 금 함량을 높이는 고갈 도금(depletion gilding)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의도적인 표면 처리와 더불어 제작 과정에서 금판과 금속 봉 사이에 열 확산이 일어나 금판의 구리 함량이 높아진 사례를 세환이식의 분석 결과로 확인되었다. 금판의 재료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금판에 포함된 은(Ag)이 자연금에 포함된 것인지, 합금에 의해 추가된 것인지를 국내에서 채취된 사금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평균적으로 13wt% 정도의 은이 포함된 것으로 미루어 보아 II 유형은 자연금의 범주에 포함되고, III 유형은 정련 과정을 거친 금, I 유형은 자연금에 은이 합금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서 III 유형의 경우 정련 과정을 거쳐 순수한 금을 만든 뒤 은을 합금했을 가능성에 대해 국내외 고대 문헌에 소개된 금 정련 방법을 조사하였다. 고대 정련 방법은 자연금에 포함된 은이 염화물 또는 황화물과 반응하여 결합됨으로써 제거되는 방법이었는데, 이러한 방법을 통해 순수한 금을 얻기 위해서는 장시간의 노력과 기술이 요구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정련 과정을 통해 순금을 만든 후에 강도를 높이기 위해 소량의 은을 첨가했을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다양한 반응조건에 따른 폴리페닐렌에테르의 중합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y(phenylene ether)s in Various Reaction Conditions)

  • 박종현;김남철;김용태;남성우;김영준;김지흥
    • 폴리머
    • /
    • 제35권3호
    • /
    • pp.244-248
    • /
    • 2011
  • Copper(I) chloride와 아빈 계열의 리간드와의 Cu-amine complex 촉매를 사용한 단량체 2,6-dimethlyphenol (DMP)의 산회중합을 통하여 poly (2,6-dimethyl-1,4-phenylene ether) (PPE)를 제조하였다. 중합반응에 있어서 DMP와 촉매의 비율, 다양한 리간드 및 첨가제로서 2,4,6-trimethylphenol(TMP)의 함량 등 여러 반응 변수들의 영향을 분자량측정, 열분석, 및 광학적 특성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DMP의 산화중합에 사용된 다양한 Cu-amine 촉매 system의 중합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oxygen-uptake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제조된 PPE의 EDTA 수용액을 사용한 정제 방법을 통하여 잔류촉매 제거가 PPE의 열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TGA를 통해 확인하였다.

의성(義城)지역 전흥(田興) 및 옥산(玉山) 열수(熱水) 연(鉛)-아연(亞鉛)-동(銅) 광상(鑛床)에 관한 광물학적(鑛物學的)·지화학적(地化學的) 연구(硏究)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the Jeonheung and Oksan Pb-Zn-Cu Deposits, Euiseong Area)

  • 최선규;이재호;윤성택;소칠섭
    • 자원환경지질
    • /
    • 제25권4호
    • /
    • pp.417-433
    • /
    • 1992
  • 경북(慶北) 의성(義城)지역 연(鉛)-아연(亞鉛)-동광상(銅鑛床)(전흥(田興), 옥산(玉山) 광산)은 경상분지(慶尙盆地) 백악기(白堊紀) 퇴적암류내의 구조면을 충진한 열수(熱水) 석영-방해석 맥상(脈狀) 광체(鑛體)로 구성된다. 광화(鑛化)작용은 구조적으로 석영-유화물(硫化物)-유염(硫鹽)광물-적철석 정출기, barren 석영-형석 정출기, barren 방해석 정출기 등 3회로 구분된다. 광화(鑛化) I기(期)의 광석(鑛石)광물은 황철석, 황동석, 섬아연석, 방연석 및 Pb-Ag-Bi-Sb계 유염광물(硫鹽鑛物) 등으로서 두 광산의 광물조성은 유사하지만, 유비철석, 자류철석, 테트라헤드라이트, 철을 다량 함유하는(약 21 mole% FeS)섬아연석 등은 옥산(玉山)광산에서만이 산출된다. 변질대 집운모(緝雲母)에 의한 K-Ar 연령은 약 62 Ma로서, 광화(鑛化)작용이 인근 금성산(金城山) 칼데라 화산암류와 도처에 분포하는 산성암맥의 분출 및 관입 활동과 관련된 후기 백악기(白堊紀) 화성활동의 산물이었음을 지시한다. 광화(鑛化) I기(期) 광물정출은 0.7~6.3wt.% NaCl 상당염농도(相當閻濃度)를 갖는 광화유체(鑛化流體)로부터 > $380^{\circ}{\sim}240^{\circ}C$의 온도범위에서 진행되었고, 특히 동(銅)광물은 대부분 > $300^{\circ}C$의 고온에서 침전하였다. 유체포유물(流體包有物) 연구에 의하면, I기 연(鉛)-아연(亞鉛)-동(銅)광물의 침전은 비등(沸騰) 냉각(冷却) 희석(稀釋)등 비교적 복잡한 양식의 광액(鑛液)진화에 기인하였지만, 전흥(田興)광산의 경우 차가운 천수(天水)의 유입(流入)에 따른 냉각(冷却) 및 희석(稀釋)이 우세하였던 반면, 옥산(玉山)광산의 경우는 비등(沸騰)이 우세하게 진행되었다. 광화유체(鑛化流體)의 비등(沸騰)에 근거한 광화(鑛化)작용시의 압력은 초기 약 210 bar에서 후기 약 80 bar에 이르며, 이는 열수계(熱水系)가 정암압(靜岩壓)이 우세한 환경에서 정수압(靜水壓)이 우세한 환경으로 전이되었음을 지시하여 주고 따라서 광화심도(鑛化深度)는 약 900m로 추정된다. 유화물(硫化物)의 유황동위원소(硫黃同位元素) 조성 ($2.9{\sim}9.6$‰)에 근거한 초기 열수유체(熱水流體)의 전(全)유황동위원소값(${\delta}^{34}S_{{\Sigma}S}$)은 약 8.6‰이며, 이는 심부(深部) 화성원(火成源)의 유황이 퇴적암류내 sulfate (?)와 다소 혼합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수속 및 산소동위원소 조성은 열수계(熱水系)내의 물이 대부분 천수(天水)로부터 기원하였음을 지시한다. 광물열역학(鑛物熱力學)적 고찰 결과, I기 광화유체(鑛化流體)의 온도 및 유황분압(硫黃分壓)의 변화는 두 광산에서 다소 상이하였다. 즉, 전흥(田興)광산의 경우 온도 감소와 더불어 유황분압(硫黃盆壓)은 황철석-적철석-자철석의 공존선을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옥산(玉山)광산의 경우는 초기 황철석-자류철석 공존환경으로부터 후기 황철석-적철석-자철석의 공존환경으로 전이하였다. 한편, 차고 산화(酸化) 상태인 천수(天水)가 광액(鑛液)중에 혼입(混入)됨에 따라 광액의 산소분압(酸素盆壓)은 점차 증가하였다. 동(銅)광물의 침전은 주로 광화유체(鑛化流體)의 냉각에 따른 동염화복합체(銅鹽化複合體)($CuCl^{\circ}$)의 용해도 감소에 기인하였으리라 고려된다. 이러한 냉각 작용은 전흥(田興)광산의 경우 주로 천수혼입(天水混入)에 따른 결과였지만, 옥산(玉山)광산의 경우는 주로 광화유체(鑛化流體)의 비등(沸騰)에 기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