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epoda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3초

Tigripus japonicus의 세균 섭이 (Feeding of Bacteria by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정민민;노섬;김필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3-118
    • /
    • 1998
  • Tigriopus japonicus를 대량생산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얻기 위해 무균 배양을 통한 nauplius 유생 단계와 성체의 식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무균 상태의 성체는 먹이로 공급한 RT 박테리아주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순조로운 증식을 보였다. 먹이로 공급한 RT 균주의 증식은 포식자 T. japonicus의 섭식에 의해서 그 증식이 크게 억제되었다. RT 균주만을 먹이로 배양한 T. japonicus의 성체가 가지고 있는 난낭안에는 oil bead로 충만해 있었다. 그러나, 무균 상태의 N. oculata만을 먹이로 공급한 경우에는 oil bead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다. 무균 조건의 nauplius 유생의 경우에는 먹이로서 공급한 RT 박테리아주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RT 박테리아주의 증식을 크게 억제하였다. 이 결과는 지금까지 T. japonicus가 잡식성인 것만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최소한 섭식기구가 미발달된 nauplius의 초기 유생은 사육수중에 세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발생이 불가능하였다. 즉, 부화 직후 또는 발생 초기의 T. japonicus의 nauplius 유생은 박테리아식성 (bacterivorous)이었다.

  • PDF

계절적인 강우와 기온의 변화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반응 종에 관한 연구 (Study on Response-Species of Zooplankton to the Seasonal Change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 송영희;이원철;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36권1호통권102호
    • /
    • pp.9-20
    • /
    • 2003
  • 2002년 5월부터 11월까지 한강지류를 대상으로 강우와 기온에 따라 반응하는 분류군과 종을 조사하였다. 윤충류 (Rotifer) 23종, 지각류 (Cladocera) 10종, 요각류(Copepoda) 8종 그리고 원생동물(Protozoa) 1종으로 총42종이 조사되었다. 조사기간 중 5월이 가장 높은 풍부도와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다. 조사지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여름 강우로 지각류와 윤충류의 풍부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가장 높은 풍부도를 보였던 윤충류의 5월 우점종은 Brachionus urceolaris, Euclanis dilatata, Lecane luna, Brachionus quadridentatus, Brachionus calyciflorus였다. 8월에는 Monostyla bulla, Conochilus unicornis가 11월에는 Brachionus quadridentatus, Euclanis dilatata, Lecane luna가 다수 출현하였다. 지각류는 5월에 Moina weismanni, Simocephalus vetulus, Scapholebris mucronata, Chydorus sphaericus가 8월에는 소수의 Chydorus sphaericus, Scapholebris mucronata가 11월에는 Chydorus sphaericus, Alona rectangula가 우점을 이루었다. 클러스트링 (nearest neighbour clustering)을 통해 5월과 11월의 조사지에 따른 유형은 유사하였으나 8월은 다른 양상을 보였다.

Siphonostomatoid Copepoda (Crustacea) Associated with Invertebrates from Tropical Waters

  • Kim, Il-Hoi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8호
    • /
    • pp.1-176
    • /
    • 2010
  • Siphonostomatoid copepods associated with marine invertebrates are described from tropical waters of the West Indies and Madagascar. They belong to the families Asterocheridae (7 new genera and 39 new species), Dinopontiidae (one new species), and Nanaspididae (one new species). New taxa of the Asterocheridae are 14 species of Asterocheres (Asterocheres unioviger n. sp., A. trisetatus n. sp., A. bahamensis n. sp., A. tricuspis n. sp., A. plumosus n. sp., A. peniculatus n. sp., A. oricurvus n. sp., A. planus n. sp., A. sensilis n. sp., A. indivisus n. sp., A. nudicoxus n. sp., A. tenuipes n. sp., A. galeatus n. sp., and A. fastigatus n. sp.); 3 species of Hetairosynella n. gen. (Hetairosynella bifurcata n. sp.; H. angulata n. sp.; H. aculeata n. sp.); 15 species of Asteropontius (Asteropontius capillatus n. sp., A. membranulatus n. sp., A. plumatus n. sp., A. parvipes n. sp., A. humesi n. sp., A. angulatus n. sp., A. latioriger n. sp., A. magnisetiger n. sp., A. pinnatus n. sp., A. trifilis n. sp., A. orcafer n. sp., A. bilinguis n. sp., A. dentatus n. sp., A. minutisetiger n. sp., and A. bispinifer n. sp.); Collocherides minutus n. sp.; Cyclocheres sensilis n. gen. n. sp.; Stenomyzon edentatum n. gen. n. sp.; Cephalocheres flagellatus n. gen. n. sp.; Humesimyzon pusillum n. gen. n. sp.; Thermocheres validus n. gen. n. sp.; and Gascardama longisiphonata n. gen. n. sp. New taxa of the remaining two families are Stenopontius spinulatus n. sp. in the Dinopontiidae and Stephopontius ahni n. sp. in the Nanaspididae. Asterocheres crinoidicola Humes, Asteropontius genodon Stock, and Asteropontius ungellatus Stock are redescribed. Asteropontius gonioporae Kim is reported as a new record from Madagascar. A key to species of Asteropontius is provided.

Tigriopus japonicus Mori에 대한 수종 미생물의 이료효과 (Efficiency of Various Microbial Foods for Tigriopus japonicus Mori)

  • 이원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7-122
    • /
    • 1991
  • Nauplius에서 Adult까지 각 생장단계의 Tigriopus japonicus에 수종의 이료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단일 이료로서 Acinetobacter sp. AG-3균주 건조효모, Chlorella sp. 및 Tide pool에서 분리한 단세포조류(Chlorococcum sp.)균주를 투여하여, 4일후에 T. japonicus의 체중 및 체장증가를 측정한 결과, Nauplius에 대해서는 Yeast, (Bacteria+ Chlococcum sp.), Chlorococcum sp., (Bacterla+chlorella sp.), Bacteria, Chlorella sp.의 순으로 효과가 저하되었고 Copepodite는 (Bacteria+Chlorococcum sp.)가 가장 좋았고, Yeast, Chlorococcum sp., (Bacteria+ Chlorella sp.) , Bacteria, Chlorella sp.의 순으로 이료 효과가 저하되었으며, Adult에서는 Copepodite와 같이 (Bacteria+ Chlorococcum sp.), Chlorococcum sp., Yeast, (Bacteria+ Chlorella sp.), Bacteria, Chlorella sp.의 순으로 먹이 효과의 저하가 관찰되었다. T. japonicus 개체에 24시간 동안 섭취된 미생물량(C)과 체중증가량(P)를 각각 탄소양으로 환산하여 섭취 이료의 전환효율$(P/C, \%)$을 구한 결과 각 이료 미생물의 전환효율은 T. japonicus의 각 생장단계에 있어서 $21.6-68.7\%$범위의 차이를 보였다. 이료 세균 및 단세포조류와 혼합 이료는 T. japonicus증식에 충분한 이료 가치가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 PDF

흰베도라치, Enedrias fangi 치자어기의 식성 (Food of the Larval Gunnel, Enedrias fangi)

  • 김종만;김동엽;유재명;허형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84-490
    • /
    • 1985
  • 우리나라 서해안의 경기만에서 채집한 횐베도라치 개체군의 식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흰베도라치 소화관내용물과 환경생물을 비교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흰베도라치의 먹이생물은 체장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환경에서 우점적으로 출현하는 요각류의 Paracalanus parvus, Corycaeus affinis, Calans sinicus를 주로 섭이하며 미색류, 어란, 십각류 유생도 체장에 따라 다소높은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2. 흰베도라치 치자어의 먹이에 대한 선택성은 대체로 성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즉 체장이 커질수록 요각류를 선호하며, 체장 45.0mm부터는 미색류를 많이 섭이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체장 45.0mm부터 십각류유생이 대한 선택성은 감소되어 소극적 섭이를 하였고, 전 체장군에서 모악류의 섭이량은 별로 많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흰베도라치의 먹이생물크기에 대한 선택성은 뚜렷하지 않으며 우점적으로 출현하는 먹이생물의 크기에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흰베도라치의 성장함에 따른 먹이생물의 중요도는 전 체장군에서 요각류가 높게 나타났으며, 체장에 따라 어란도 다소 높았다. 체장 45.0mm부터는 십각류유생에 대한 선택성은 감소하였으나 먹이생물로서의 중요도는 높게 나타났다. 요각류의 종별 중요도에서는 체장 36.0mm 이하에서 P. parvus, C. affinis가 높았고, 체장 $45.0{\sim}46.0mm$에서는 C. sinicus가 높게 나타났다.

  • PDF

네트 망목 크기가 Acartia steueri (Copepoda: Calanoida)의 생체량 추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sh Size of Net on Biomass Estimation of Acartia steueri (Copepoda: Calanoida))

  • 강형구;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45-450
    • /
    • 2002
  • A series of 29 sampling with a 330 ${\mu}$m and a 64 ${\mu}$m mesh size of nets was conducted at a fixed station in Ilkwang Bay, southeast cost of Korea, from Oct, 2, 1991 to Oct. 10, 1992,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sh size of nets on biomass estimation of copepod Acartia steueri. The catch of copepodite and nauplius stages of A. steueli taken by two nets with different mesh size was different, showing that all developmental stages of A. steueri were retained on the 64 ${\mu}$m mesh net, but only $\geq$stage 4 copepodite were caught by the 330 ${\mu}$m mesh net. Abundance and biomass in each developmental stage estimated with the 64 ${\mu}$m mesh ne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330 ${\mu}$m mesh net, except for adult female and stage 5 copepodite in female. The body length as well as the body width is likely to affect the catch of the nets. The mean biomass of A. steueli estimated with the traditional 330 ${\mu}$m net was 2.8 times lower than the value obtained with the 64 ${\mu}$m mesh net. However, the seasonal patterns of the biomass were comparab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curate sampling strategr of the entire copepods assemblage including nauplii and copepodites are essential when estimating the abundance and biomass of copepods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copepods in marine ecosystem.

멸종위기어류 미호종개 Cobitis choii(Pisces: Cobitidae)의 섭식생태 (Feeding Ecology of the Endangered Korean Endemic Miho Spine Loach, Cobitis choii (Pisces: Cobitidae) in Geumgang River, Korea)

  • 고명훈;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2-99
    • /
    • 2018
  • 멸종위기종 미호종개 C. choii의 생태학적 특징을 밝히고 복원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섭식생태를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인양리의 금강지류 지천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미호종개는 3월부터 10월까지 활동기로, 11월부터 2월까지는 월동기로 나누어졌으며, 활동기에는 주행성 어류로 기질 (모래) 밖으로 나와 활동하였다. 소화관내용물을 상대중요성 지수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로 분석한 결과, 파리목 (Diptera) 69.9%, 요각목 (Copepoda) 23.2%, 꽃병벌레과 (Arcellidae) 2.3%, 새각목 (Branchiopoda) 2.0%, 유영목(Ploima) 2.0%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크기가 작은 당년생 치어(0년생)는 유영목과 새각목을 주로 섭식하였으나, 성어(2~3년생)는 크기가 큰 깔다구과(Chironomidae)를 주로 섭식하여 차이를 보였다.

Two Species of the Genus Oncaea (Copepoda, Poecilostomatoida, Oncaeidae) from the East Sea, Korea

  • Wi, Jin-Hee;Suh, Hae-Lip;Yang, Han-Soeb;Soh, Ho-Young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3권4호
    • /
    • pp.183-193
    • /
    • 2008
  • Oncaea venusta Philippi, 1843 has been known as having some different size groups, but recent genetic study for cyt b and ITS 1 (Elvers et al. 2006) suggests that these size groups can be considered as different species. Of these size groups, the largest O. venusta Philippi and the smallest O. venella Farran, 1929 were first described in Korean waters. The latter is easily distinguishable from the former i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its small size: (1) length to width ratio of genital double somite of two genders smaller, and (2) female second pediger bearing inconspicuous dorso-posterior swelling. Oncaea venusta and O. venella co-occur in Korean waters during spring to fall, but their occurrence patterns seasonally differ: the former shows higher density in fall while the latter does in summer.

Halicyclops Copepods (Cyclopidae, Halicyclopinae) from Korea

  • Lee, Jimin;Chang, Cheon 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9권1호
    • /
    • pp.36-50
    • /
    • 2013
  • As one of the serial faunistic studies on the brackish cyclopoids from Korea, taxonomic accounts of three species of Halicyclops from various brackish waters in South Korea are provided, with detailed illustrations of them: H. uncus Ueda and Nagai, 2009, H. setiformis Ueda and Nagai, 2012, and H. itohi Ueda and Nagai, 2012. Halicyclops uncus is newly recorded from Korea, and the latter two species are corrected from H. sinensis sensu Chang, 2009 and H. cf. rotundipes sensu Chang, 2009, respectively. As a result, a total of seven species of the genus are now recognized in Korea, and a revised key to the species is presented.

First Record of Paramenophia platysoma (Copepoda: Harpacticoida: Thalestridae) from Korea, with Notes on the Morphology of the Genus

  • Kim, Jong Guk;Choi, Hyun Ki;Yoon, Seong Myeo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3권3호
    • /
    • pp.176-188
    • /
    • 2017
  • Paramenophia platysoma (Thompson and Scott, 1903) is newly reported from Korean waters based on the materials collected from several seagrass and algal bed habitats. The Korean materials of P. platysoma in the present study coincide well with the original description of the species with respects to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first, fourth, and fifth legs, and in most respects to P. platysoma sensu $Gam{\hat{o}}$ (1969) reported from Japan except for the antennary exopod. However, they show some differences to P. platysoma sensu Pallares (1973, 1975) reported in Argentina, in terms of the morphology of the fifth leg in females and the second leg in males.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s of P. platysoma are provided for both sexes.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Paramenophia species are discussed and a key to the species of genus is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