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ked pork patty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물 및 에탄올 추출을 통해 제조된 홍삼 추출물의 첨가가 저장 중 가열 돈육패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ed with Water and Ethanol on the Qualities of Cooked Pork Patties During Storage)

  • 김일석;양미라;진상근;박재홍;추교문;김재영;강석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5호
    • /
    • pp.475-481
    • /
    • 2013
  • 본 연구는 홍삼에탄올 (EE) 및 물 추출물(WE)이 가열 돈육 패티의 저장 중 품질특성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DW 0.5% 이상에서 1% EE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pH 감소를 보였으며, 보수력은 0.5% 이상의 DW 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화억제능 및 총균수 억제능은 모든 추출물의 0.25% 이상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육색의 경우 0.5% 이상의 EE, DW가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지방산화억제 및 총균수 감소를 위해서는 추출물의 종류와 관계없이 0.25% 이상이 유효하며, 보수력 상승은 모든 농도의 에탄올추출물은 효과가 없으며, 0.5% 이상의 물 추출에서 효과를 보였다.

식염 및 지방을 함유한 분쇄돈육의 이화학적 성상 및 최종가열온도 측정을 위한 근장단백질의 이용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Utilization of Sarcoplasmic Proteins for the Determination of End-point Cooking Temperatures of Ground Pork Hams Containing Salt and Fat)

  • 강상미;진구복;조수현;이종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83-90
    • /
    • 2004
  • 본 연구는 식염과 지방 그리고 여러 가열조건에 의한 pH 및 일반성분, 가열감량 및 단백질 용해성의 변화에 따른 단백질 분획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처리구에 따른 가열감량 (CL, %)은 지방의 첨가에 상관없이 식염을 2%첨가한 경우 식염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약 1/2배 정도 낮은 가열감량을 보였다. 한편, 식염 무첨가구의 경우 지방을 첨가한 경우 가열감량은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식염 2%첨가구는 지방 첨가에 따른 가열감량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가열온도에 따른 가열감량은 $66^{\circ}C$까지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68^{\circ}C$ 보다 높은 가열온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염 무첨가구와 식염 2% 첨가구 사이에서는 단백질 용해성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지방이 첨가된 경우 상대적인 단백질 함량의 감소로 단백질 용해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가열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용해성의 감소가 현저히 나타났으나 $68^{\circ}C$ 이상의 가열온도에서는 단백질 용해성이 유의적 차이 없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추출한 근장 단백질이 각 처리구별 가열온도에 따른 단백질 분획을 분석하기 위해 전기영동을 실시한 결과 식염, 지방 그리고 가열에 따라 특이적으로 반응한 것은 36 과 66 kDa의 분자량을 가진 근장 단백질 분획이었다. 이러한 단백질 분획은 최종가열온도가 66 ${\sim} 70^{\circ}C$에서 급격히 thtlfehladmfhTJ 돈육의 최종 가열온도 측정을 위한 지시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