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k-chill system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54초

경기 북부 지역 학교 급식 종사원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Northern Gyeonggi)

  • 민경찬;이명호;박혜원;박영심;신용칠;조규봉;이경익;정광옥;신임숙;윤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3-200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cooks employed in school foodservice and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school foodservice quality. Therefore,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job satisfaction of 119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using a 5-point scale metho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SPSS Package Program(Ver 12.0) to determine percentages and frequency. Among the employees, 99.2% were women, and 75.9% were employed by contract. All of the subjects worked in elementary schools with self operated foodservice system and 57.6% of them served food in the classroom. The total number of diners served by these foodservice programs was $1,391.6{\pm}307.6$ an average of $135.0{\pm}18.2$ diners per cook. Among the foodservice employees, 82.2% had completed high school academic courses, and 98.4% had never changed jobs. Their overall degree of job satisfaction degree was relatively high at $3.05{\pm}0.85$, but the wage and welfare system($2.45{\pm}0.86$), and the merit rating methods($2.25{\pm}0.87$) ranked among the lowest in the job satisfaction survey.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nagers and the coworkers marked relatively higher at $3.02{\pm}1.03$, compared with other aspects of job satisfaction. As for the work environment, the scaled score was $2.38{\pm}0.85$. Finally the ranking of achieving job improvement through education($3.28{\pm}0.93$), an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3.58{\pm}0.78$) showed u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education.

In vitro 및 In vivo에서 펙틴의 비만 억제 효과 (The Beneficial Effects of Pectin on Obesity In vitro and In vivo)

  • 권진영;안인숙;박건영;최홍식;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20
    • /
    • 2005
  • 펙틴의 비만억제 효과 및 지질저하 효과를 3T3-Ll adipocyte cell culture system과 20%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흰쥐에서 살펴보았다 펙틴을 첨가한 3T3-Ll adipocyte cell의 글리세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leptin의 농도는 83% 유의 적으로 감소하여 (p<0.01) adipose 세포에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흰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실험군간의 식이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20% 지방을 섭취시킨 쥐는 정상식이군에 비해 체중이 50% 증가하였고, 고지방식이에 펙틴을 10%와 20% 첨가시킨 군에서 는 체중이 각각 12% 및 16% 감소하였다. 상대적인 내장지방의 함량(g/100 g body weight)은 ND 4.3 g, ITFD 5.6 g, HFP10은 3.1 g, HFP20은 2.3 g로 펙틴 첨가군의 상대적인 내장 지방 함량이 정상대조군보다 낮아 펙틴의 비만억제 효과가 현저하였다 고지방식이에 의해 상승된 혈장 중성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펙틴 첨가에 의해 감소되었고, HDL-콜레스테롤은 증가하여 펙틴의 첨가에 의한 지질 개선 효과가 관찰되었다. 간 및 심장의 지질 농도 역시 고지방식이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펙틴의 첨가에 의해 감소되었다. 특히 분변으로의 지질 배설 현상은 펙틴 첨가군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펙틴의 효과는 첨가 농도 의존적으로 관찰되었다. 펙틴의 비만 억제 효과내장지방의 축적을 억제하고, 소장에서 지질의 흡수를 방해하여 분변으로의 지질 배설을 촉진시키는 이외에도 다른 생리 활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펙틴은 고지방식이를 섭취 하는 경우 복부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체중감소 효과보다 크며 혈장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고 HDL 콜레스테롤은 상승시키는 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구 결과, cook-chill생산 시 녹차 추출물의 첨가가 미생물적 품질유지에 효과가 있다고 사료되는 바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급식소에서 음식 생산 시 녹차 추출물 및 천연 항균성 물질 첨가에 따른 미생물적 품질 및 관능적 품질검사를 통한 레시피 개발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다.다.다리다보니 점심시간을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차후 학교급식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급식환경 개선의 일환으로 식당공간 확보 시 신속한 시간 내에 급식이 가능하도록 넓은 공간과 쾌적한 환경의 식당 조성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 여부를 반영하는 임상증상의 빈도가 높은 청소년기 남녀 중학생의 경우 아침과 저녁의 결식빈도 및 외식과 간식의 빈도가 높았고, 아침식사의 질과 체형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의 건강과 식습관 및 체형만족도가 상호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성장기 청소년의 건강 유지를 위하여 바람직한 식습관의 중요성을 재인식할 수 있었으며, 올바른 식습관 확립을 위한 영양교육의 중요성이 재확인되었다.경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er 90 % of good relativ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due to fineness of formation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unit powder content and the improvement of flowability, without regard to the replacement of crushed stone fin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usage of crushed stone fines can control the strength of super flowing concrete by replacement and reduce heat of hyd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