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media

검색결과 2,075건 처리시간 0.035초

네트워킹 미디어 플랫폼의 대리적 감정 경험과 크리에이티브의 수사적 표현 방식에 따른 수용자 반응 효과 (The audience's reaction effect based on vicarious emotional experiences and creative rhetorical expressions of the networking media platforms)

  • 최혁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13-123
    • /
    • 2021
  • 이 논문은 SNS 광고의 수사학적 표현 유형에 대한 실험 자극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밝혀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간접적인 감정적 반응 수준과 SNS 매체의 크리에이티브 단서들을 통한 참여자의 역동적인 커뮤니케이션 반응을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참여자는 실험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대학생들로 제한하였다. SNS 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대리적 감정 경험은 수용자의 반응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네트워킹 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대리적 감정경험이 높을수록 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수용자의 대리적 감정경험과 수사적 크리에이티브 유형 간에도 유의적인 상호작용효과가 발생하였다.

디지털 시대 프랑스의 미디어 교육 분석을 통한 시사점 고찰 (Educational Implications of Media Education in the Digital Era in France)

  • 이희승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40-145
    • /
    • 2019
  • 본 연구는 미디어 교육의 오랜 역사를 가진 프랑스 공교육 현장의 미디어 교육을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함으로써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는 국내의 미디어 교육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공교육의 미디어 교육을 뒷받침하고 있는 정부기관인 CLEMI의 역할을 중심으로 하여 프랑스 미디어 교육의 기본 철학과 디지털 시대에 따른 진화를 살펴보았다. 프랑스는 법제적, 정책적, 교육적 차원의 정비를 통해 '민주 시민으로서의 의식과 자질 함양'이라는 미디어 교육의 철학적 가치의 전통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디지털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고전적인 미디어 교육에 안주하지 않고 '정보'라는 개념을 포괄하는 미디어와 정보 교육으로 개념적 확장을 이뤄냈다. 이는 구체적으로 교육법제의 보완, 공교육 현장에서의 정보화 교육 프로그램 의무화 시행, CLEMI라는 미디어와 정보 교육 전담기구 운영 등을 통해 구현되었다. 향후 국내의 미디어 교육도 흔들리지 않는 방향성 하에서 정부 주도의 전담기구 운영과 유관기관들과의 협력체계를 통해 미디어 교육의 소프트웨어를 구축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 연구의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Social Media Influencer Research in Korea)

  • 최윤우;한상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63-170
    • /
    • 2022
  • 본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의 국내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인용색인에 등재된 학술논문 가운데, 2009년부터 2021년까지 소셜 인플루언서를 주제로 한 논문 총 178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패션 및 뷰티, 커뮤니케이션 등 특정분야에 국한되어 있던 초기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 연구는 시간이 흐를수록 다양한 학문분야로 확장되며 양적 성장을 이루고 있었다. 실증연구의 비중은 최근 들어 높아지는 추세이며, 질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한 연구들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특성은 매우 다양하고 각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의 유형과 속성 역시 이질적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미디어 플랫폼 및 인플루언서 유형에 대한 연구 비중은 오히려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 연구의 현주소를 조망하는 첫 실증연구라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소비 표현 행동이 지속가능소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연결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onsumption Expression Behavior through Social Media on Sustainable Consumpti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nnectedness)

  • 박유현;황혜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2호
    • /
    • pp.247-26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nsumer consumption behavior on sustainable consumption through social media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nnectedness on sustainable consumption. A survey comprising 222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as conducted in which their consumption expression behavior, sustainable consumption and social connectedness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 Model 4 and it was found that consumers who shared a considerable amount of personal information on their lifestyle on social media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exhibited a higher level of sustainable consumption. It also became apparent that the degree of consumption expression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onnectedness and that social connectedness had a positive impact on sustainable consumption by mediating the degree of consumption-focused self-expression on social media.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media can serve as a mechanism to lead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 beyond providing a basis for forming a human network. Implications for the impact of social media on consumption behavior were presented, and proposals for exploring the environment in which sustainable consumption can be activated were suggested, together with ways in which new media can be utilize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sharing consumption behavior and having a broad range of connections on social media can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sustainable consumption is promoted.

Research on the impact of digital media art on tourism cultural communication

  • Sun, Xiangbo;Hong, Chang-ke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1호
    • /
    • pp.70-78
    • /
    • 2023
  • Culture is the soul of tourism, and communication is the key to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ourism culture. Therefore, culture and communication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tourism. Digital media art is a new form of art that combines technical, artistic, and media-oriented elements. Its artistic expression and crossover communication capabilities drive its usage in cultural tourism communic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digital media art on tourism culture communication and development by elucidat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ourism culture communication and digital media art, applying the theoretical knowledge of communication, and deriv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rt on tourism culture in terms of the transmission-reception relationship, content, medium, and effect. The role and value of digital media art in disseminating and developing tourism culture are discussed. We aim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the dissemination of tourism cultur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version of Three-dimensional Puzzles into Immersive Media based on Play Theory for Children's Experience

  • Tae-Eun Lee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1권2호
    • /
    • pp.145-151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y properties in the case of media convers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analog three-dimensional puzzles and immersive media in children's experience. Based on Roger Caillois' play theory and the contents of previous research, an experience was conducted on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d paired t-test analysis showed that the play properties were higher and more evenly distributed in the media conversion immersive experience. This implies that an increase in children's fun during the immersive experience further increases their immersion, suggesting that the use of immersive media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who achieve holistic development through play and experienc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recognize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through conversion into immersive media and will be referenced in various media studies that consider double-play properties.

예능프로그램이 트위터 여론형성에 미치는 영향: SBS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 안철수 후보 편을 중심으로 (Influences of Entertainment Programs on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in Twitter)

  • 이승희;김균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329-340
    • /
    • 2015
  • 본 연구는 미디어 융합시대를 맞아 예능프로그램의 영향력이 SNS를 통해 증폭되면서 젊은 층의 여론형성에 영향력을 배가시킨다는 측면에서, 안철수 후보의 '힐링캠프' 출연과 관련하여 트위터 이용자의 힐링캠프 방영 전후 여론형성 행태를 분석함으로써 예능프로그램이 트위터상에서의 여론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안철수 후보 관련 논의가 힐링캠프 방영 전 인간적 특성에 관해 주로 이루어졌던 반면 힐링캠프의 방영으로 인해 안철수 후보의 정치입문 관련 논의가 활성화 되었다. 또한 정서적 차원에서도 힐링캠프 방영 후 안철수 후보에 대한 정치 관련 인간적 특성 관련 긍정적 정서가 모두 증가함으로써 힐링캠프의 방영이 실제로도 트위터 내에서의 여론형성 및 변화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로 트위터 내에서 여론이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실제 방영된 TV예능프로그램과 연계해 살펴봄으로써 기존 매체의 메시지가 트위터 내 여론에 미치는 역동적인 과정도 함께 살펴보았다.

스마트미디어시대의 정보통신정책과 정책홍보방안 (A Study o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olicy in the era of Smart media and its Policy PR Direction)

  • 박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155-164
    • /
    • 2012
  • 소셜미디어와 정보통신의 융합으로 다양한 스마트 정보통신 서비스들이 확산되고 있다. 스마트 정보통신에 대한 정책은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실업, 그리고 경제 및 금융위기를 해결하는 전략적 대안으로 선진 주요 국가들이 활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정보통신 정책은 정보통신부와 과학기술부의 폐지 등으로 다소 침체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스마트미디어시대 정보통신에 대한 정책 철학으로 역동적 삶의 질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것은 삶의 질의 구성요소들이 스마트 정보통신의 정책 요소로 구현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역동적 삶의 질은 그린 IT정책으로서 의미뿐만 아니라 스마트 정보통신을 기반으로 한 경기회복과 경제 성장 그리고 고용창출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정보통신 정책은 국민적 동의와 사회적 합의를 이루기 위한 정책홍보 방법으로 제시된다.

체험적 커뮤니케이션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에 관한 고찰 (Study on Mobile Interactive Media Art based on The Interaction of Experiential Communications)

  • 정윤성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9호
    • /
    • pp.297-320
    • /
    • 2015
  • 현대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예술의 융합은 디지털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매체예술'인 미디어아트의 비약적 발전을 가지고 왔다. 이는 21세기 새로운 창의성의 근간인 커뮤니케이션 예술로서 그 영역과 한계를 확장해 가고 있으며, 현대 디지털 기술의 집결체인 모바일을 통하여 기존의 장르와 분야 간의 경계를 허물고 인터랙티브 즉,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대중예술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첨단기술과 예술의 융합인 모바일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는 시간과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상호작용과 참여의 능동적인 주체로서 체험적 커뮤니케이션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있으며, 예술과 학문, 문화산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유동적인 플랫폼을 제공해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확장된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에 대한 정의를 문헌 연구를 통하여 고찰해 보고, 모바일을 예술적 표현의 매개체로 활용하고 있는 모바일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체험적 커뮤니케이션의 상호작용적 효과와 대중예술로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융합과 상호작용, 체험을 화두로 하는 모바일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는 첨단기술과 예술 그리고 새로운 감성이 만나 우리의 생활과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융합과 통섭의 시대적 트랜드에 걸맞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새로운 예술장르로서 진화와 발전을 거듭할 것으로 기대된다.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한국전통 보드게임 설계 및 개발 (A Design and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Board Game on Android Environment)

  • 김양집;강승우;송특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294-2300
    • /
    • 2013
  • 최근 들어 스마트폰의 보급과 활용이 급증함에 따라 스마트폰관련 연구는 IT분야의 중요한 연구과제중 하나가 되었다. 게임을 비롯한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많은 어플리게이션이 개발될 것이다. 기존의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었으나 우리나라의 전통놀이를 소재로 한 어플리케이션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전통놀이중 하나인 고누를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개발하였다. 고누는 연령에 상관없이 즐길 수 있는 보드게임중 하나이다. 고누와 같은 전통문화와 관련된 어플리게이션이 개발되어 스마트폰환경에서도 우리나라 문화를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