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era

검색결과 938건 처리시간 0.027초

Education Improvement Plan Related to Data Analysis & Processing in the ICT Field for the Era of Hyperconnectivity & Superintelligence

  • LEE, Seung-Woo;LEE, Sang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102-109
    • /
    • 2021
  • Sinc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implemented based on superintelligence, new insights must be provided through convergence studies with other fields to find optimal solutions to create new ideas. In this paper, we intende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for probability and statistical education, which is an athlete's subject on data analysis and processing in the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field in the era of superintellig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paper aim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through early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new technologies by presenting probabilities and statistical curriculums that require linkage in the ICT field.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an educational system diagram linking probabilities and statistics in the ICT field to prepare a mid- to long-term response strategy for ICT education in response to innovative changes. Third, through a survey, we intend to present an effective educational operation plan linking probability and statistics to ICT major subjects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probability, statistical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majors in this field.

Proposi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Analysis Technology Education in the Era of Hyperconnection, Hyperintelligence, and Hyperconvergence

  • Seung-Woo, LEE;Sangwo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94-101
    • /
    • 2022
  •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order to adapt to the era of intelligent informatiz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 propose an information processing and analysis technology education plan that can solve problems through information search and collection. To this end, first, we explored the necessity and content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analysis technology in hyperconnection, hyperintelligence, and hyperconvergence under the theme of various majors in IT, focusing on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software and hardware curriculum. Second, the curriculum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based on information literacy, computing thinking skills, and cooperative problem-solving skills for efficient software and hardware-linked curriculum operation based on information processing and analysis technology. Third,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it is essential to secure connectivity between other studies for future innovation in new technologies related to computer technology, machine 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technology through hyperconnection, hyperintelligence, and hyperconvergence in the software and hardware curriculum. Through this, we intend to cultivate creative convergence talent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융복합 시대 휴먼서비스분야 전공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cultur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elds of Human Services for the Era of Fusion and Convergence)

  • 박소정;배양자;박순희;김선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493-507
    • /
    • 2015
  • 본 연구는 휴먼서비스분야 실천현장에서 요구되는 다문화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다문화에 대한 대학의 교육 실태와 학생들의 다문화 역량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한 결과, 문화적 역량 수준은 평균 3.49점으로 중간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경험에 있어서는 외국을 방문한 경험을 가지고 있거나 외국에서 거주한 적이 있거나, 외국인 친구가 있거나, 외국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학생들의 문화적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조사대상자의 성별과 전공에 따른 문화적 역량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해외 자원봉사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집단을 위한 국내 자원봉사활동에도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다.

지식서비스 융합시대 디지털저작권거래소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Usage of the Digital Copyright Exchange in Knowledge Service Convergence Era)

  • 이정재;한경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6호
    • /
    • pp.153-158
    • /
    • 2012
  • 클라우딩 컴퓨팅과 스마트 환경에서 디지털 혁명이라 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 시장의 규모는 상상을 초월할 만큼 큰 시장을 형성한다. 앞으로 콘텐츠 산업의 성장은 우리 미래의 먹거리를 책임질 중요한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해리포터 시리즈가 지금까지 벌어들인 돈이 현대자동차가 10년 동안 벌어들인 순익을 능가한다고 한다. 이렇듯 높은 경제적 파급력을 지닌 문화산업 발전의 핵심 동력인 디지털콘텐츠산업 시장은 매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식서비스 융합시대에 콘텐츠 관련 이해관계자의 협업을 통하여 디지털저작권거래소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유사한 증권거래소, 전자문서유통, 공인인증 등과 관련된 선행 논문을 토대로 디지털저작권거래소 활성화를 위한 거래소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의 적극적인 이용의도에 대해 기술수용모형을 활용하여 이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찾고 저작권산업의 유통체계 및 건전한 이용질서 확립을 통한 저작권산업육성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스마트미디어시대의 정보통신정책과 정책홍보방안 (A Study o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olicy in the era of Smart media and its Policy PR Direction)

  • 박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155-164
    • /
    • 2012
  • 소셜미디어와 정보통신의 융합으로 다양한 스마트 정보통신 서비스들이 확산되고 있다. 스마트 정보통신에 대한 정책은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실업, 그리고 경제 및 금융위기를 해결하는 전략적 대안으로 선진 주요 국가들이 활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정보통신 정책은 정보통신부와 과학기술부의 폐지 등으로 다소 침체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스마트미디어시대 정보통신에 대한 정책 철학으로 역동적 삶의 질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것은 삶의 질의 구성요소들이 스마트 정보통신의 정책 요소로 구현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역동적 삶의 질은 그린 IT정책으로서 의미뿐만 아니라 스마트 정보통신을 기반으로 한 경기회복과 경제 성장 그리고 고용창출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정보통신 정책은 국민적 동의와 사회적 합의를 이루기 위한 정책홍보 방법으로 제시된다.

디지털 시네마의 지표성과 영화언어의 진화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 between Indexicality of Digital Cinema and Evolution of Cinematic Language)

  • 정민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85-191
    • /
    • 2018
  • 프레임에서 픽셀로의 전환은 영화가 기술적 차원에서 거대한 전환을 이룬 것뿐만 아니라 영화언어 차원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보여준다. 필름시대와 디지털 시대를 정의하며, 필름 시대의 영화와 디지털 시대의 영화가 스타일 차원에서 어떻게 구분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본고는 지표성의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지각적 사실주의 입장에서 보자면,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담론은 환영주의와 고전적 사실주의의 이분법적 구분을 해체한다. 이에 따라 이미지의 현실성은 지표적 차원에만 의존하지 않으며, 보다 근본적으로 관객이 어떻게 지각하느냐 하는 수용의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디지털 시네마 시대에는 효과로서의 수용성이라는 차원에서 디지털 시네마의 지표성과 세계, 그리고 디지털 이미지 간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는 작업을 해야 하며, 또한 이미지 생산의 관점에서 재고찰해야 할 것이다.

3차원 가상현실 시각화에 관한 고찰 (Remarks on Visualizations of 3D Virtual Reality)

  • 김하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88-98
    • /
    • 2010
  • 지금은 급속도로 발전하는 ICT(정보통신기술)뿐만 아니라 BT, CT, NT, ST 들이 컨버전스하는 고도의 통합기술이 활용되는 유비쿼터스시대이다. 이들 기술로 시간과 공간의 벽을 넘어 인간의 5감을 크게 도와주는 3차원 가상현실 시각화기술을 이해함은 최근에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3차원 가상현실 시각화 기술을 살피고 향후의 발전 방향을 예측하고 전망과 제언을 하는 것이다. 가상현실 구현기술은 3차원 컴퓨터그래픽스 표현기술에 크게 종속되어 있어 몰입할 수 있는 3차원 영상 구현기술이 가능하였고, 또한 컴퓨터의 상호작용성을 이용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영상을 증강시키는 PC와 디스플레이 장비를 기반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보다 인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 기술은 초고속 인터넷 기술 등의 상위기술들의 해결로 명실상부한 21세기 유비쿼터스사회 구현에 큰 몫을 감당할 것이 확실하다.

  • PDF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 (New Paradigm Changes in Animation in the Era of Media Convergence)

  • 이상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31-43
    • /
    • 2007
  • 최근 애니메이션 시장은 시대적 트렌드와 환경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새로운 소비 형태의 애니메이션 콘텐츠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의 애니메이션 장르가 어떠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미디어의 다양성에 따른 애니메이션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를 모색해 보는 것이 주목적이다. 연구결과, 애니메이션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끄는 핵심적인 변화 요인으로, 인터넷 통신기술의 발달과 상호작용성, 미디어 특성에 따른 뉴미디어의 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사점으로, 다원화 사회의 소비환경은 개인미디어를 중심으로 한 적극적인 마케팅 도입이 필요하고, 애니메이션 장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또한 애니메이션 산업은 창작기술 발달과 체험 경제적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미래의 선도 산업으로 발전 가능성이 크다는 것과 뉴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애니메이션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는 뉴미디어를 중심으로 한 창작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실무적 측면에서 연구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사이버 저작권윤리(Cyber Copyright Ethics)의 수용에 관한 연구: 영향요인도출 (Factors Influencing Cyber Copyright Ethics Reception and Policy Alternatives in Digital Convergence Era)

  • 이기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57-70
    • /
    • 2011
  • 본 연구는 디지털융합시대 사이버 저작권윤리(cyber copyright ethics)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저작권윤리의 확보는 저작권을 적절히 수용하는지의 여부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보았다. 관련이론과 문헌검토를 통해 인간-기술-내용-문화(human-technology-contents-culture, HTCoC)의 4가지 요인이 저작권 윤리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LISREL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형이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저작권의 윤리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주관적 규범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인터넷매체라는 기술적 한계를 보완하면서, 동시에 저작권문화의 형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작권 문화는 저작권윤리의 확립에 있어 매개변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말미에는 분석결과를 기초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결국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저작권보호를 위해서는 저작권윤리의 정착을 통해 저작권의 침해행위가 최소화되어져야 하고, 동시에 체계적인 정책노력을 통해 디지털융합시대의 역기능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국내 ICT기업의 해외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ICT 기업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verseas expansion strategy of domestic ICT companies in the post-corona era -Focusing on case studies of ICT companies-)

  • 박상희;김기윤;정현승;현대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163-173
    • /
    • 2021
  • 본 연구는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상황과 더불어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적합한 국내 ICT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모델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분석 결과 첫째, 국내 ICT기업의 국제화 사례를 실현화 이론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COVID-19 상황에서 국내 ICT 기업들은 임기응변적 대응, 국제적 네트워크 활용, 외부기관 활용, 자원기반 실천을 통해 유기적으로 위기 상황에 대응하고 목표를 달성하면서 해외에서 성장해나가고 있음을 질적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국내 ICT 기업이 국제화를 통해 성장하기 위해 어떠한 지원 전략이 필요한지 분석하고, 이를 3가지로 유형화하여 제시한 바, '안테나 기업 중심 협업 모델' 전략, '정부 지원기관 역할 강화 모델(G2G)' 전략, '생태계 동반진출 모델' 전략으로 도출하였다. 궁극적으로 정부의 해외 진출 지원 체계에 따라 그 성패가 달라질 수 있어 정부 정책의 고도화가 필요한 부분으로 해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