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 inference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9초

직관 실험 및 코퍼스를 바탕으로 한 의미 중의성 해소 계산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Computational Model of Word Sense Disambiguation, based on Corpora and Experiments on Native Speaker's Intuition)

  • 김동성;최재웅
    • 인지과학
    • /
    • 제17권4호
    • /
    • pp.303-321
    • /
    • 2006
  • 본 논문은 의미 중의성 해소에 대한 화자의 직관의 계산 모형에 대한 연구로 Harris (1964)의 '분포가설'에 근거하여 핵심어와 공기하는 어휘들에 대한 분포적 정규성을 포착하는 언어 직관의 계산 모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분포적 정규성에 대한 화자의 처리 계산 모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심리언어학적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계산 모형으로는 논리 모형, 확률 모형, 그리고 확률 추론 모형의 세가지 모형이 설정되었다. 실험은 두 가지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는 100만 어절 코퍼스에서 추출된 문장을 화자 직관으로 의미를 식별하는 실험이었다. 이 실험에서는 응답간 일치도가 98%로 나왔다. 두 번째 실험은, 제한된 환경에서 실험자의 반응을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분열문이라는 환경을 통해 핵심어와 공기어사이의 의미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100만 어절 코퍼스에서 관찰된 수치와 실험에서 관찰된 관찰치사이의 상관성을 피어슨의 상관계수로 측정하였다. 그러한 측정 결과 실제 코퍼스에서 관찰되는 현상은 논리모형과 상관성이 있었고, 제한된 환경에서 실시한 결과는 확률 모형과 상관성이 있었다. 이 실험결과는 논리 모형이 우선적으로 의미 분류에 관여하나, 만약 논리 모형이 적용되지 않을 경우 확률 모형이 관여함을 보여 준다. 아울러 의미 결정 모형의 관점에서는 논리 모형이 정확하게 직관모형을 예측할 수 있었고, 확률추론 모형도 직관모형을 근사치에 가깝게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멀티 모달 기반의 스마트 감성 주얼리 (Smart Affect Jewelry based on Multi-modal)

  • 강윤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317-1324
    • /
    • 2016
  • 아두이노 플렛폼을 활용하여 스마트 주얼리에 보석처럼 빛나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감성적인 주얼리로 색을 표현하였다. 감성적인 색 표현을 위해 플러칙의 감정 팽이 모형을 활용하여 감정과 색의 유사성을 적용하였다. 스마트폰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온도, 조도, 소리, 자이로 센서와 스마트 주얼리의 맥박센서로부터 인식된 값을 입력받아 감성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과정은 온톨로지 기반의 추론규칙을 적용하고, 상황정보에서 나타난 감성에 따라 감성 색을 찾고 그 감성 색을 스마트 주얼리의 LED에 적용하였다. 주얼리 착용자의 감정에 따라 스마트 주얼리에 내장된 LED에 결정된 감성 색으로 빛을 냈다.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비유물을 체계적으로 사용한 수업의 효과 (The Effect of an Instruction Using Analog Systematically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 노태희;권혁순;이선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23-332
    • /
    • 1997
  • In order to use analog more systematically in science class, an instructional model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analogical reasoning processes (encoding, inference, mapping, application, and response) in the Sternberg's component process theory. The model has five phases (introducing target context, cue retrieval of analog context, mapping similarity and drawing target concept, application, and elaboration), and the instructional effects of using the model upon students' comprehension of science concepts and motivation level of learning were investigated.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1 class each) were selected from 8th-grade classes and taught about chemical change and chemical reaction for the period of 10 class hours. The treatment group was taught with the materials based on the model,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in traditional instruction without using analog. Before the instructions, modified versions of the Patterns of Adaptive Learning Survey and the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were administered, and their scores were used as covariates for students' conceptions and motivational level of learning, respectively.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test was also administered, and its score was used as a blocking variable. After the instructions, students' conceptions were measured by a researcher-made science conception test, and their motivational level of learning was measured by a modified version of the Instructional Materials Motivation Sc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justed mean score of the conception test for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01 level of significance.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ion and the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was found. Although the motivational level of learning for the treatme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for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컨텍스트의 확률추론 (Probabilistic Inference of User's Context for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s)

  • 민준기;장수형;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3호
    • /
    • pp.361-365
    • /
    • 2010
  • 소셜 네트워크는 관심사가 유사한 사람을 찾거나 정보를 교환하는 주요한 수단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특히 페이스북(Facebook) 이나 싸이월드 등과 같이 인터넷상에서 제공되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이제 휴대폰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휴대폰은 개인이 향상 소유하고 다니기 때문에 개인정보의 취득이 쉬우며, 센서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함께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활용하면 기존의 인터넷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의 차별화를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확률추론 모델인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주변 사람들간의 친밀도나 관계 등의 모바일 소셜 컨텍스투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중요한 정보로 활용 가능하며, 본 논문에서는 실제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구간검지체계를 이용한 On-Line 출발시각기준 링크 통행시간 추정 (연속류를 중심으로) (On-Line Departure time based link travel time estimation using Spatial Detection System)

  • 김재진;노정현;박동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7-168
    • /
    • 2006
  • 구간검지시스템에서 수집되는 통행시간 정보는 과거 개별차량의 검지기 통과시각(도착시각)을 기준으로 수집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구간검지시스템에 의해 수집되는 통행시간 정보는 도착시각기준이 아닌 출발시각기준으로 산출되어야 하고 현재시점(On-Line)에서 통행시간 추정 및 예측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구간검지시스템을 이용한통행시간 추정 및 예측 연구들은 도착시각기준으로 수집되는 개별차량 통행시간 자료를 이용함으로 출발시각기준 On-Line 통행시간 정보 관련 연구를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On-Line 출발시각기준의 통행시간 정보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베이지안 추론을 이용하여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한 출발시각기준의 On-Line 링크통행시간 추정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은 On-Line 통행시간 정보 질의 정확성과 신속성 측면에서 개선된 통행시간 대표값(평균값)을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파급에 대한 고찰을 통한 전력 및 상수도 네트워크의 강건성 예측 (Robustness Estimation for Power and Water Supply Network : in the Context of Failure Propagation)

  • 이슬비;박문서;이현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33-42
    • /
    • 2018
  • 손상된 라이프라인 시스템의 공공서비스 제공 지연 예측은 지진 대응 체계 마련의 첫 단계이다. 그러나 라이프라인 시스템의 서비스제공가능도는 개별 구조물의 물리적 손상뿐만 아니라 인접한 구조물들로부터의 피해파급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라이프라인 시스템의 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공통원인피해와 연쇄피해의 발생 확률을 추론하기 위해 베이지안 모형을 작성하고 피해의 인과관계를 고려하여 최종 수요자 중심의 네트워크 강건성을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완화대책에 따른 네트워크 강건성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 대구경북지역의 전력 및 상수도 시스템을 대상으로 지진 규모에 따른 공공서비스의 공급 지연 확률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사례 지역의 경우 안정적인 전력과 상수 수급을 위해 라이프라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 간 피해파급을 저감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지진 피해 진단의 다양한 불확실성 간 인과관계를 도식화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지속 가능한 공공서비스 확보를 위한 지역단위 대책 수립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 (Critical Thinking of Clinical Nurses)

  • 장성옥;신나미;김순용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59-471
    • /
    • 2009
  • Introduction: Critical thinking involves identifying problem(s), assessing resources, and generating possible solutions and allows clinical nurses to decide which solution is the most reasonable under the given circumstance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hat ifs" and how they will affect the end resul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further understanding and identification of subjective factors in critical thinking in clinical nurse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Q-Methodological Approach. Q-population was formulated from a non-structured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from 17 experienced clinical nurses. Thirty selected Q-statements were sorted by 30 experienced clinical nurses. Results: Four factors for critical thinking were identified: (1) Deductive reasoning based on causal relation, (2) Construction of an effective model based on patients' responses, (3) Formulating categories based on priorities for effective interventions, and (4) Judging validity of the situational significance on clinical performances. Conclusion: Critical thinking is an attitude and reasoning process. From this study, the frame of reference for clinical nurses in formulating critical thinking within the context of clinical settings is identified and indicates the way nurses utilize thinking skills when they care for patients and areas that need further exploration as nurses and faculty develop education systems to advance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y.

  • PDF

다중센서 데이터 융합에서 이벤트 발생 빈도기반 가중치 부여 (Multi-sensor Data Fusion Using Weighting Method based on Event Frequency)

  • 서동혁;유창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581-587
    • /
    • 2011
  • 무선센서네트워크는 높은 수준의 상황정보를 추론할 수 있기 위해 이질적인 다중센서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중센서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상황 정보추론에 활용할 때 다중센서 데이터 융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Dempster-Shafer의 증거이론에 입각하여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융합할 때 센서별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센서별 이벤트 발생빈도수를 기준으로 하였는데, 센서별 이벤트 발생 빈도수는 해당 센서가 입수한 상황데이터의 가중치를 계산하는데 반영해야 할 요소이다. 센서별 이벤트 발생빈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계산하였으며 이 가중치를 부여하여 다중센서 데이터 융합하였을 때 신뢰도가 더욱 뚜렷한 격차를 보이게 함으로써 상황정보를 추론함에 있어서 용이할 수 있었다.

분산 메모리 다중프로세서 환경에서의 병렬 음성인식 모델 (A Parallel Speech Recognition Model on Distributed Memory Multiprocessors)

  • 정상화;김형순;박민욱;황병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4-5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음성과 자연언어의 통합처리를 위한 효과적인 병렬계산모델을 제안한다. 음소모델은 연속 Hidden Markov Model(HMM)에 기반을 둔 문맥종속형 음소를 사용하며, 언어모델은 지식베이스를 기반으로 한다. 또한 지식베이스를 구성하기 위해 계층구조의 semantic network과 병렬 marker-passing을 추론 메카니즘으로 쓰는 memory-based parsing 기술을 사용한다. 본 연구의 병렬 음성인식 알고리즘은 분산메모리 MIMD(Multiple Instruction Multiple Data) 구조의 다중 Transputer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되었다. 실험결과, 본 연구의 지식베이스 기반 음성인식 시스템의 인식률이 word network 기반 음성인식 시스템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code-phoneme 통계정보를 활용하여 인식성능의 향상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성능향상도(speedup) 관련 실험들을 통하여 병렬 음성인식 시스템의 실시간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간호학적 비판적 사고능력에 대한 문헌고찰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Science: A Literature Review)

  • 신수진;정덕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7-128
    • /
    • 2009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 review the definitions of critical thinking from various perspectives, 2) To examine the critical thinking measurements throughout nursing research, and 3) To review the nursing studies with regard to critical thinking. Methods: This study was a literature review with regard to the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in aspects of conceptual meaning, measurements, and research. Results: The definition of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included decision making in clinical setting, inference with logical construct to increase nursing quality, interpretation in the context, and evaluation. The critical thinking was a core concept, which meant not only simple nursing process, but included decision making ability. The critical thinking has been conceptualized by bo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kill. However, there was no nursing specified critical thinking measurement. Critical thinking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escrib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ritical thinking, to determin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competency,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rograms. Conclusion: The instruments for measur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kill that contain cultural difference and clinical specificity need to be developed to measure critical thinking and increase i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