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ainer seedlings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4초

시비수준 및 용기용적에 따른 편백 용기묘의 생장 특성 (Growth of Containerized Chamaecyparis obtusa Seedlings as Affected by Fertilizer and Container Volume)

  • 제대영;서희영;조현서;안현철;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26-34
    • /
    • 2015
  • 본 연구는 편백나무 1-0 용기묘를 대상으로 시비수준(2 g/L, 1 g/L, 대조구)과 용기용적(500 mL, 400 mL, 320 mL)에 따른 생육특성, 묘목 내 탄소 및 질소함량, 320 mL 용기용적에서 생육한 편백 2-0 용기묘의 산지 식재 후 생장상태를 조사하였다. 편백나무 용기묘의 근원경 생장량은 2 g/L 시비처리구 3.14 mm, 1 g/L 시비처리구 2.75 mm, 대조구 2.41 mm순이었으며, 묘고의 경우 1 g/L 시비처리구는 21.88 cm로, 대조구 20.92 cm나 2 g/L 시비처리구 19.06 cm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용기용적의 경우 500 mL가 320 mL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근원경과 묘고 생장을 보였다. 시비 수준에 따른 묘목 건중량은 1 g/L 처리구가 $4.41g\;seedling^{-1}$로 대조구 $3.67g\;seedling^{-1}$나 2 g/L 처리구 $2.92g\;seedling^{-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500 mL이나 400 mL 용기용적이 320 mL 용기용적에 비해 유의적으로 묘목 건중량이 높았다. 잎 내 질소 함량은 시비처리구(2.45-2.60%)가 대조구(1.5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묘목 각 부위 별 탄소함량의 경우 시비처리나 용기용적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편백나무 2-0 용기묘를 산지 식재한 후 근원경과 묘고 생장을 조사한 결과 시비처리 용기묘가 대조구에 비해 생장이 양호하였다. 편백나무 용기묘 생장 및 산지 식재 후 생육특성을 고려할 때 용기묘 양성을 위한 적정시비수준은 1 g/L로 나타났다.

자작나무 콘테이너묘(苗)의 경화단계(硬化段階) 생장(生長)에 미치는 UV-B 와 수분(水分)스트레스의 효과(效果) (Effects of UV-B Radiation and Water Stress on Hardening Phase Growth of Container-Grown Betula platyphylla Seedlings)

  • 김종진;홍성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4호
    • /
    • pp.601-610
    • /
    • 1998
  • 본 연구는 시설에서 자란 콘테이너 묘목(苗木)의 경화과정(硬化過程)에 UV-B의 이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생장상(生長箱)에서 4개월간 생육(生育)시킨 자작나무 묘목을 대상으로 UV-$B_{BE}$ $3.2KJ\;m^{-2}\;day^{-1}$$5.2KJ\;m^{-2}\;day^{-1}$ 수준의 UV-B 처리와 수분(水分)스트레스 처리(處理)를 4주간 실시하여 경화처리 전(前), 후(後)의 생장(生長) 및 생리적(生理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UV-B 또는 수분스트레스 처리는 수고생장(樹高生長), 잎의 건물량축적(建物量蓄積)을 감소시켰다. UV-B 처리는 근원경생장(根元徑生長)을 감소시켰으나 수분스트레스 처리는 근원경생장을 증진시켰다. UV-B 처리 또는 수분스트레스 처리에 의한 잎의 건물량감소는 묘목의 T/R율을 감소시켰다. T/R율의 감소효과는 수분스트레스 처리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엽록소(葉緣素) 지수(指數)는 UV-B 5.2에서 가장 낮았으며 UV-B 3.2와 수분스트레스 처리에서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UV-B 또는 수분스트레스 처리는 콘테이너 묘목의 함수율(含水率)과 수분포텐셜을 낮추었으며 삼투압(滲透壓)을 높혔다. 경화처리에 의한 잎과 줄기의 함수율 감소는 UV-B 처리에 의해서는 빠르게 일어났으나 수분스트레스 처리에 의해서는 보다 서서히 일어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자작나무 콘테이너 묘목의 경화단계에 처리된 UV-B에 의한 생장반응(生長反應) 및 수분생리(水分生理) 변화는 수분스트레스 처리에서의 효과와 유사한 면이 관찰되었다.

  • PDF

시설양묘과정에서 관수 주기 처리에 따른 두 활엽수종의 생장 및 광합성 기구 변화 (Growth Performance and Photosynthesis of Two Deciduous Hardwood Species under Different Irrigation Period Treatments in a Container Nursery System)

  • 조민석;이수원;황재홍;김재원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8-38
    • /
    • 2012
  • 본 연구는 주요 조림수종인 백합나무와 느티나무 용기묘를 대상으로 수분 조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관수 주기 처리 별 생장 특성 및 광합성 능력, 수분이용효율, 기공전도도 등 광합성 기구의 변화를 조사 분석하여, 용기묘 양묘 시 최적의 수분 환경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백합나무와 느티나무의 근원경과 간장 생장 및 상대 생장량은 1회/1일 관수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관수 주기가 짧을수록 생장이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물질생산량과 묘목품질지수 또한 두 수종 모두 처리간 차이를 보이면서 관수 주기가 짧아질수록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관수 주기가 길어질수록 수분 조건이 불량해짐에 따라 T/R율과 H/D율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광합성 능력은 두 수종 모두 1회/1일 관수 처리구에서 다른 두 처리구에 비해 1.5~3배 이상의 높은 값을 보였다. 수분이용효율은 두 수종 모두 1회/1일 관수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관수 주기가 길어질수록 수분 조건이 불량해짐에 따라 수분이용효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기공전도도는 관수 주기가 길어질수록 처리간 차이를 보이면서 값이 낮아지는 상반된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수분 부족 시 증산량 감소와 동시에 수분이용효율이 증가되지만, 이에 따라 광합성 능력과 기공전도도의 감소 및 생장 저하와 불량한 묘목 품질이 초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양묘과정에서 수종별 수분 요구도에 맞는 생육환경조절은 시설양묘시업에 의한 건전한 묘목을 대량 생산함과 동시에 조림과정에서도 높은 활착 및 생장으로 우수한 조림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률적인 관수를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기간별 상대생장량을 조사하여 수종별 생장패턴에 따라 기간별 수분 요구량에 맞는 집중 효율적인 관수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용성 비료의 시비수준에 따른 헛개나무 용기묘(1-0)의 생장 및 묘목품질 (Growth and Seedling Quality of Hovenia dulcis Thunb. Container Seedlings (1-0) According to Fertilization Levels of Water-soluble Fertilizers)

  • 이혁;윤준혁;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2호
    • /
    • pp.136-144
    • /
    • 2023
  • 본 연구는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 묘목 생산을 위한 적정 시비수준을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헛개나무 1년생 용기묘를 대상으로 6가지 시비수준(대조구, 0.5, 1.0, 1.5, 2.0, 2.5 g·L-1)에 따른 용기묘의 간장, 근원경, 물질생산량, 묘목품질지수, 엽록소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헛개나무 용기묘는 시비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간장 및 근원경 생장과 건중량이 증가하였으나, 1.5 g·L-1 이상의 처리구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간장 생장의 경우 2.5 g·L-1 시비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묘목품질지수는 1.5 g·L-1 이상 처리시,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가 없는 높은 값을 보였으며, 엽록소 함량은 1.5 g·L-1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시비처리에 따른 환경적, 비용적 측면을 고려 하였을 때, 우량 헛개나무 용기묘 생산을 위하여 요구되는 적절한 시비수준은 1.5 g·L-1이며, 최소한의 묘목규격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0.5 g·L-1의 시비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약용 및 밀원자원으로 이용되는 헛개나무의 효율적인 묘목 생산체계 구축 및 안정적인 묘목 공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용기의 생육밀도와 용적이 활엽수 3수종의 질소 양분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wing Density and Cavity Volume of Containers on the Nitrogen Status of Three Deciduous Hardwood Species in the Nursery Stage)

  • 조민석;양아람;황재홍;박병배;박관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2호
    • /
    • pp.198-209
    • /
    • 2021
  • 본 연구는 졸참나무, 물푸레나무, 느티나무를 대상으로 용기 규격이 시설양묘 과정에 질소 양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6 종류의 용기[4 생육밀도(100, 144, 196, 256본/m2) × 4 용적(220, 300, 380, 460 cm3/구)]에서 생산된 묘목의 질소 양분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생육밀도와 용적에 따른 용기묘의 질소 양분 농도 및 함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세 수종 모두 용기 규격에 따라 묘목의 질소 양분 특성은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 생육밀도와 용적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이 질소 농도 및 함량에서 확인되었다. 세 수종 모두 질소 함량과 용적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물푸레나무의 질소 함량은 생육밀도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추가적으로 양분벡터분석을 실시하여, 용기 규격에 따른 시비 효과 차이로 양분결핍, 과량집적 등의 양분저장능력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묘목 질소 함량을 기준으로 다중회귀분석기법을 적용한 결과, 졸참나무는 180~210본/m2과 410~460 cm3/구, 물푸레나무는 100~120본/m2과 350~420 cm3/구, 느티나무는 190~220본/m2과 380~430 cm3/구가 최적 용기 규격으로 최종 도출되었다. 수종별 적정 용기 적용으로 시설양묘 과정에서 양분저장능력이 높은 묘목 생산과 함께 조림 후에도 우수한 생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편백 용기묘의 묘령에 따른 생장 및 양분 흡수 특성 (Seedling Age Effects on the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Chamaecyparis obtusa Container Seedlings)

  • 정덕교;백경원;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1호
    • /
    • pp.31-39
    • /
    • 2024
  • 편백은 우리나라 남부지역 대표적 조림 수종으로 2-2 용기묘의 조림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편백 용기묘의 묘령(1-0, 2-0, 2-1, 2-2묘)에 따른 엽면적비, 묘고(H)/근원경(D)비, 지상부 건중량(T)/뿌리 건중량(R)비, 묘목 품질지수, 양분흡수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묘목의 엽면적비는 1-0묘가 30.48 cm2 g-1로 가장 크고 묘령이 증가함에 따라 28.62 cm2 g-1 에서 23.59 cm2 g-1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D율은 1-0묘가 4.41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2-1묘 7.17, 2-2묘 8.35, 2-0묘 9.05 순이었다. T/R율은 1-0묘가 4.29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2-1묘가 2.13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묘목 품질지수는 1-0묘 0.10, 2-0묘 0.51, 2-1묘 2.54, 2-2묘 3.06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편백 용기묘의 잎, 줄기, 가지, 뿌리 등의 탄소 농도는 묘령의 증가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양분흡수 특성 중 시비를 실시하지 않은 2-1묘의 잎 질소 농도는 0.85%로 시비를 실시한 타 묘령의 잎 내 질소 농도 1.25~1.88%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잎의 질소 농도와는 대조적으로 인, 칼륨, 마그네슘 농도는 시비가 실시되지 않았던 2-1묘에서도 농도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아 이들 양분의 무시비에 대한 반응이 질소보다 크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편백 용기묘의 묘령에 따른 생산 기준 설정이나 적정 생육을 위한 양분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왜나무와 종가시나무의 생육에 대한 지중매입형 컨테이너의 효과 (Effects of Underground Container Types on Plant Growth of 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and Quercus glauca)

  • 최수민;신현철;허근영;정현종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7-74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ultivate evergreen-leaved tree container seedlings having low cost of equipment and easy to control. Two species of V. odoratissimum var. awabuki and Q. glauca planting in respective underground container were showed survival rate above 90%. The Relative growth rates of height was good in non-treatment and root collar diameter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The T/R ratio was respectively 1.1, 1.0 in container type of F, G. and root's biomass products was more effective than others. A container type of F showed better Quailty index than others with 16.2 values. Q. glauca was higher T/R ratio in root development than shoot and the quality index was high in container type of E, D with 4.0. 3.5,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 can concluded that the underground container type was suitable to F in V. odoratissimum var. awabuki and to D or E in Q. glauca.

피음 및 시비처리에 따른 가시나무 1년생 용기묘의 생장과 묘목품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Seedling Quality of 1-Year-Old Container Seedlings of Quercus myrsinaefolia by Shading and Fertilizing Treatment)

  • 성환인;송기선;차영근;김종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4호
    • /
    • pp.598-608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난대수종 중의 하나인 가시나무를 1년생 용기묘로 생산하고자 할 때 피음 및 시비처리가 용기묘의 생장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피음은 전광 및 전광의 35%, 55%, 75%의 수준으로 조절하였으며, 시비수준은 무시비구와 함께 수용성 복합비료(N:P:K=19:19:19, v/v)를 1000, 2000, 3000 ppm으로 조절하여 실시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가장 높은 간장생장은 21.1 cm를 보인 55% 피음의 2000 ppm 시비구로 조사되었으며, 근원경생장에 있어서는 35% 피음의 2000 ppm 시비구에서 3.96 mm로 가장 좋았다. 우수한 간장과 근원경생장을 보인 35%와 55% 피음에서 시비농도와 관계없이 시비구 전체 묘목의 H/D율을 보면 4.27~5.26의 범위를 보였다. 잎의 건물생산량이 가장 높은 처리구는 1.292 g을 기록한 55% 피음의 2000 ppm 시비구이었으며, 줄기와 뿌리는 각각 0.592 g과 0.998 g으로 조사된 35% 피음의 2000 ppm 시비구이었다. 묘목 전체 건물생산량은 35% 피음의 2000 ppm 시비구에서 가장 높은 생산량을 보였으며, 55% 피음의 2000 ppm, 35% 피음의 3000 ppm 시비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피음 및 시비처리에 따른 가시나무 LWR의 가장 높은 값은 75% 피음의 3000 ppm 시비구로 조사되었으며, RWR은 피음처리 수준에 관계없이 시비처리한 묘목이 무시비처리 묘목보다 낮았다. 전반적으로 높은 QI는 55%피음의 시비처리구들이었으며, 가장 높은 QI는 35% 피음의 2000 ppm 시비구로 조사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로 볼 때 생장이 뛰어나며 품질지수가 높은 가시나무 1년생 용기묘 생산에 적합한 피음수준은 35~55% 정도로, 시비수준은 2000 ppm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용기 종류에 따른 쉬나무 용기묘의 생장 및 묘목품질 특성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Seedling Quality of Tetradium daniellii (Benn.) T. G. Hartley using Five Different Container Types)

  • 성환인;송기선;김종진;최규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3호
    • /
    • pp.374-384
    • /
    • 2022
  • 본 연구는 대체에너지, 생태복원 및 밀원식물용 등으로 이용되어 묘목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쉬나무(Tetradium daniellii (Benn.) T. G. Hartley)의 우량한 용기묘 생산을 위한 적정 용기 규격(생육밀도, 용적 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적정 용기 구명 실험은 쉬나무를 임업시설양묘용 플라스틱 용기 5종(500 ml, 350 ml, 320 ml, 300 ml, 250 ml)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간장과 근원경 생장은 SI 350 용기에서 현저히 높은 값을 보였으며, 대체적으로 용기 구 용적이 크고 생육밀도가 낮을수록 높은 생장을 나타냈다. 묘목의 뿌리형태특성을 측정한 결과 SI 350 용기에서 뿌리발달이 가장 왕성하게 조사되었다. 건물생산량도 SI 350에서 가장 높았고 전체적으로 간장 및 근원경 생장 결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묘목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수인 QI(Quality Index)도 SI 350 용기에서 0.9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쉬나무 용기묘의 우량한 묘목생산을 위한 적정 용기 종류는 SI 350 용기로 판단된다.

용기 내 발생하는 이끼류의 화학적 방제 (Chemical Control of Mosses in Container Nursery)

  • 김종진;이경재;송기선;차영근;최규성;정영숙;이종화;윤택승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331-335
    • /
    • 2010
  • 본 연구는 임업시설양묘 시 용기 내에 발생하여 묘목의 생장을 방해하는 이끼류의 방제법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으며, 이끼류 방제 가능성이 있는 6종류의 화학물질을 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하였다. 우산이끼(Marchantia polymorpha)가 발생한 소나무(Pinus densiflora) 용기묘 2년생과 솔이끼(Polytrichum commune)가 발생한 편백(Chamaecyparis obtusa) 용기묘 1년생을 대상으로 이들 물질을 처리한 결과, 가장 효과적인 이끼 방제 물질은 quinoclamine으로 조사되었다. 이 성분 0.9 g/l의 농도에서 우산이끼는 100%, 솔이끼는 95.5%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Quinoclamine 다음으로는, 처리농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2종류 이끼 모두 목초액, flumioxazin, oxyfluorfen 순으로 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flumioxazin과 oxyfluorfen 고농도 처리에서는 화학물질 처리에 따른 용기묘의 약제 피해가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