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s's food

검색결과 747건 처리시간 0.03초

국내 시판 막걸리에 대한 중국인 유학생의 기호도 조사 (A Survey of Preference for Commercial Makgeolli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 전기숙;박신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15-126
    • /
    • 2014
  •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의 기호에 적합한 막걸리의 개발 및 중국 시장에서 막걸리의 소비 증진을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중국 시장의 잠재적인 막걸리 소비자인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막걸리의 음주 실태에 관한 설문 조사와 시판 쌀 막걸리(생 막걸리, 살균 막걸리)의 특성 및 기호도에 관한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막걸리 음주 경험이 있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9일부터 10월 30일까지 조사하였으며, 117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71.8%가 막걸리를 좋아하며, 56.4%가 주 5-6회 막걸리를 마시고, 25.7%가 2병 이상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의 61.5%가 막걸리 구매 경험이 있으며, 막걸리에 관한 정보는 지인(66.7%)이나 언론매체(28.2%)를 통해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종의 쌀 막걸리 중 상큼한 향, 단맛, 신맛이 강하고, 후미가 좋으면서 청량감이 있는 살균 막걸리(BS)를 가장 선호한 반면 탁도, 누룩향, 쓴맛, 묵직한 바디감이 강한 생 막걸리(KD)의 기호도가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는 전통적인 생 막걸리보다는 청량감을 지닌 달달하고 상큼하면서 목넘김이 부드러운 막걸리가 중국인의 기호에 적합하며, 웰빙 저도주임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시음 기회의 확대를 통한 구전 마케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Mulberry Low-Fat Ice Cream Supplemented with Synbiotic: Formulation, Phytochemical Composition,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 Kittisak Thampitak;Rattanaporn Pimisa;Pongsanat Pongcharoen;Suppasil Maneerat;Noraphat Hwanhle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61-374
    • /
    • 2022
  • For this study, we designed and produced mulberry low-fat ice cream supplemented with synbiotics (MLF-ISS).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ies of MLF-ISS were then determined. Mulberry juice inoculated with or without probiotic (Lactobacillus plantarum TISTR 926 and Saccharomyces boulardii CNCM I-745) was also tested at 37℃ for 24 h to determine probiotic growth rate, pH, total anthocyanin content (TAC),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antioxidant activity (AA). Only the TAC of mulberry juice inoculated with S. boulardii CNCM I-745 increased considerably (p < 0.05) among these parameters. MLF-ISS was produced with varied mulberry fruit concentrations (0, 10, 20, 30, or 40%) (w/w). The MLF-ISS prepared with 30% mulberry fruit (w/w) (30-MLF-ISS) had a higher score in appearance, color, and sweetness (p < 0.05) when sensory qualities were measured using the 9-point hedonic scale method. In the CIE lab system (L*, a*, b*), the color values of 30-MLF-ISS were 27.80 ± 0.26, 12.99 ± 0.59, and 1.43 ± 0.05, respectively. The 30-MLF-ISS was also subjected to a proximate analysis. The melting rate of 30-MLF-ISS was 0.29 ± 0.03 g/min and the time it took for the first drop to fall was 37.00 ± 7.00 min. TAC, TPC, and AA of 30-MLF-ISS were observed to alter significantly (p < 0.05) during varied intervals of storage at - 18℃ (0, 30, and 60 days). The viability of probiotics in 30-MLF-ISS slightly decreased after storage at -18℃ for 8 weeks, but remained about 6 log CFU/g. During storage at -18℃ for 0 and 120 days, no pathogenic bacteria were detected in 30-MLF-ISS. These findings show that 30-MLF-ISS has nutritional and functional value, is free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is safe for consumers' health, and is suitable for application in the ice cream and related food industries.

성인 소비자 대상 Focus Group Interview를 반영한 식물성 대체우유의 바른 이용을 위한 카드뉴스 교육자료 개발 (Development of Card News as an Educational Material for the Proper Use of Plant-Based Milk Alternatives Reflecting Adult Consumption Characteristic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 김선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3-72
    • /
    • 2023
  • 본 연구는 우유, 두유, 기타 식물성 대체우유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바탕으로 식물성 대체우유를 바르게 이용하도록 돕기 위한 교육자료로써 카드뉴스를 개발하였다. FGI 대상자는 우유, 두유, 기타 식물성 대체우유 중 한 가지라도 최근 3개월 이내에 직접 구입하여 한 달에 한 번 이상 섭취한 사람이며 이들 중 두 가지 이상 섭취한 경우에는 섭취 빈도가 높은 것에 배정하였다. 이 기준에 맞는 19~65세 미만 남녀 17명(남자 9명과 여자 8명)을 편의추출법으로 선정하여 대상자를 구성하였다. 면담은 연령대별로 나누어 연구자가 대면이나 ZOOM으로 가이드라인에 따라 진행하였다. FGI를 통해 식물성 대체우유에 대해 대상자가 궁금해하거나 바른 소비를 위해 알아야 하는 정보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정보를 중심으로 쉽고 간결하게 콘텐츠를 구성한 후 식물성 대체우유의 주 소비자인 MZ 세대의 감각에 맞춰 디자인하여 온라인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10 페이지 분량의 카드뉴스를 완성하였다. 카드뉴스 콘텐츠 제작 시 최신 학술 동향을 담도록 하였으며 카드뉴스 시안에 대하여 전문가 자문 및 잠재 소비자 검토를 받아 수정과정을 거쳤다. 이상에서 본 연구를 통해 식물성 대체우유에 관한 카드뉴스 형식의 교육자료를 개발하였으며, 앞으로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식품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교육자료 개발과 공급이 활성화되고 가정 교과 및 학교 밖 식생활교육에서도 관련 연구와 적용에 발맞춰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닭고기와 계란의 소비에 대한 조사 연구 (The Study on Consummer Behaviour of Poultry meat and Egg)

  • 남두희;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1-91
    • /
    • 1988
  • 닭고기 및 계란에 대한 소비자의 일반적인 행태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닭고기(1) 조사자의 88%이상이 월 1회 이상 닭고기를 구입하고 있으며 과반수가 1∼2마리를 구입하고 있다. (2) 가정소비는 대닭, 중닭이 주를 이루고 있다. (3) 조사자 67.1%가 무게를 달아서 닭고기를 구매하고 있으며 점차 공정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4) 주로 닭집에서 구입하고 있으며 유통의 냉장화 (cold chain)가 이루어지고 있다. 열 가까운 곳. 단골, 위생적인 곳에서 주로 구입하고 있다. (6) 포장, 냉장화, 부위별 판매 등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7) 값이 싸서 보다는 좋아하거나 식성이 맞아서 잘먹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소비확대 가능성은 크다. (8) 닭고기를 안 먹는 이유로 냄새, 영리불편을 꼽을 수 있는데 간편한 새로운 요리법개발(fast food 등)이 요구된다. (9) 부위별 선호도는 다리살, 날개, 가슴살의 순서이며 월등하게 다리살을 좋아한다. (10) 여름철 편중된 닭고기 소비는 계절소비성향이 크므로 산업발전에 저해요인으로 나타났다. (11) 집에서, 튀김집, 야외소풍 등의 순서로 많이 소비되고 있으며 가정소비는 점차 줄고있는 추세이다. (12) 영리방법은 튀김, 삼계탕이 주이고 자라나는 세대에서 닭고기 튀김요리에 대한 기호도가 높다(여고생 61, 1%). 2 계란 (1) 1인당 월간소비는_대다수가 10∼20개이다. (2) 계란구입액은 판떼기 (30개) 66.2%로 현저히 높으며 20개 단위 14.6%. 10개 단위 9.8%로 나타났다. (3) 소비자들은 앞으로 포장난 유통을 희망하며 유통단위는 소포장의 10개 단위를 바라고 있다. (4) 계란크기의 선호도는 중란, 대란, 특란, 왕란의 순으로 소비자의 선호도가 바뀌고 있다. (5) 거래시 계란등급은 거래상점을 믿고 있다. (6) 계란은 주로 계란 도ㆍ소매상에서 구입하고 계란 값이 싼곳 보다는 가깝고 편리한 곳에서 구입한다. (7) 계란품질에 대하여 대체로 믿고 구입하고 있으나 일부(24.8%)는 불결하거나 신선치 못하다는 느낌을 갖고 있다. (8) 난각색에 따라 영양적 차이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갈색난을 선호하고 있으며 영양적 가치에 차이가 없다는 인식률이 높다. (9) 계란은 어린이들이 가장 좋아하고 중ㆍ고생, 청년, 미부, 노인의 순으로 선호하고 있다. (10) 소비는 대체로 일정하며 계절에 관계없이 소비되고 있다. (11) 계란기피 이유 중 Cholesterol 때문에 22.0%, 요리방법을 몰라서 12.1%,특이체질 등 몸에 맞지 않아 8.6%, 맛이 없어서 7.5%의 순으로 나타났다. (12) 가정에서는 55.4%가 식사반찬으로 다음이 도시락반찬으로 38.3%를 소비한다. (13) 후라이, 카스테라빵, 오무라이스덮밥, 샌드위치, 토스트, 반숙의 순으로 요리해 먹고있다. (14) 현행 가격이 대체로 적당하다 54.1 %, 싸다 25.6%, 비싸다 9.3%의 순으로 영양에 비해 싼 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15) 가계소득이 더 증가해도 현재대로 구입하겠다 61.6 %, 더 많이 구입하겠다 29.9%로 나타났다.

  • PDF

편의점 PB상품속성이 브랜드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A Study on Brand Trust and Product Attribute of the Convenience Store)

  • 유창권;김기평;권찬미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3호
    • /
    • pp.81-87
    • /
    • 2018
  • Purpose - The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the consumer's distributor's brand(PBs) is generally perceive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manufacturer's brand(NB), although it is a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PB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ience store PB products and their correlation with brand trust and purchase intent in the consumers who have had experience purchasing the convenience store PBs to expand the sales variables. Further,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marketing strategy is to increase the share of PBs by providing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product attribute factors on the sales volume associated with brand trust, purchase intent, and oth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rvey period of this study was approximately three weeks from December 1, 2017 to December 21, 2017. The study samples that were taken from 100 random people extracte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Results - The analysis shows that the brand credibility and purchasing inten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ivate convenience store private brand products. Specifically, brand tru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brand images and quality levels, but the perceived value was not affected statistically. Although the intent of the purchas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quality level and the perceived value, the brand im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ts relationship. Conclusions - Overall,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 perception value does not statistically affect brand trust for convenience store PB products, and that the brand image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 These results are analyzed to be due to the influence of brand in convenience stores themselves rather than brand trust and purchase intentions that affect sales performance, which is the property of private brand food and beverage products, the perceived value of their products. Accordingly, the study found that not only did the marketing performance of the convenience store PB products be improved statistically, but also the cause of the product attributes tha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as identified.

자민족중심주의에 따른 대만소비자의 곶감선호도와 소비행태 분석 (Ethnocentrism and Taiwanese Consumer's Preference and Consumption Behaviors on Dried Persimmon)

  • 유소이;박명은;박재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52-262
    • /
    • 2017
  • 최근 들어 한국산 곶감 수출활성화와 해외 판매량 증대를 위하여 해외 시장에서의 소비자 수요를 측정하고 분석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제품의 원산지와 연관된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는 해외 시장에서의 소비자 수요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들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민족중심주의를 기반으로 하여 곶감에 대한 대만소비자의 선호도와 소비행태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수입곶감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의 수준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곶감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는 자민족중심주의의 수준에 따라 만족도, 맛, 색깔, 안전, 포장, 경도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로짓분석 결과 대만소비자의 한국산 곶감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한국산 곶감에 대한 만족도로 나타났고, 한국산 곶감의 구매 경험에는 연령이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앞으로 대만 시장에서 판로 확보와 수익창출을 위해서는 세분화된 시장을 목표로 하여 마케팅 전략을 점진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국산 곶감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를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서울시 외식경영자의 건강식당사업 참여의지 (Restaurateur'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Healthy Restaurant Program in Seoul)

  • 홍경의;정효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3호
    • /
    • pp.268-277
    • /
    • 2009
  •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강식당사업에 대한 외식경영자의 인식조사에서, 건강식당에 대한 개념은 선선한 식자재 사용 (63.5%), 비흡연 구역 설정 (15.9%), 표준조리법에 따라 조리하는 식당 (11.0%)과 영양이나 건강 정보표시를 하는 식당 (9.6%)으로 인식하고 있어 건강식당사업의 주요 활동이 건강한 음식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면서 그 제공하는 음식에 대한 영양 및 건강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해야 하는 것이라는 인식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한 외부의 도움은 영양분석 (30.8%), 건강한 음식에 대한 정보 (25.3%), 건강관리 정보 (18.6 %), 건강메뉴를 위한 조리기술 (14.3%)로 나타났고, 건강식당사업 참여시 우려사항은 음식 맛의 변화 (57.9%), 판매저하 (13.8%), 조리 어려움 (9.7%)으로 나타났다. 표시를 원하는 영양정보는 지질 (32.4%), 열량 (23.5%), 나트륨 (20.0%), 섬유소 (9.0%) 순으로 나타났고, 건강정보는 비만 (44.2%), 당뇨 (19.3%), 심혈관질환(18.6%), 암 (13.8%), 간질환 (4.1%) 순으로 나타났다. 2) 외식경영자의 건강식당사업 참여의지 분석에서 50.3%가 참여하겠다고 응답하였고,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현재업종 운영기간, 음식의 질 고려정도와 영양이나 건강 정보표시 중요성 인지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건강식당사업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할 활동을 제안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식당사업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자가 50% 정도이므로 외식경영자의 참여의지를 높이기 위한 사업이 필요하다. 둘째, 외식경영자가 건강식당사업 참여에 필요한 기술적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궁극적으로 경영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현재업종 운영기간, 음식의 질 고려정도와 영양이나 건강 정보표시 중요성 인지도로 나타났으므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 계획이 요구된다.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Korean Local Chickens and Silky Fowl

  • Choo, Y.K.;Kwon, H.J.;Oh, S.T.;Um, J.S.;Kim, B.G.;Kang, C.W.;Lee, S.K.;An, B.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3호
    • /
    • pp.398-405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4 breeds of local chicken. A total of 480 1-d-old chicks were distributed to 16 pens, with 4 treatments of breed, 4 replicates and 30 chicks per pen. Three Korean local breeds of white-mini broiler, Hanhyup-3-ho, and Woorimatdag, and a breed of silky fowl were raised under identical rearing and feeding conditions for 31-d, 37-d, 36-d, and 59-d, respectively. The BW and feed consumption on a pen basis were weekly measured for all pens, and ADFI, ADG and gain:feed were calculated for each pen. The ADFI and ADG of 3 breeds of Korean local chicken were greater than those of silky fowl (p<0.05). Within the Korean local breeds, ADFI of white-mini broiler was the highest (p<0.05), and ADG of Hanhyup-3-ho and white-mini broiler was the highest (p<0.05). Gain:feed of silky fowl was less than that of the 3 breeds of Korean local chicken. The carcass and breast yield of white-mini broiler were the greater than those of other breeds (p<0.05). The breast meat color (CIE $L^*$, $a^*$, and $b^*$) of 3 breeds of Korean local chicken were higher than that of silky fowl (p<0.05). The breast meat of Hanhyup-3-ho had greater cooking loss (p<0.05), whereas water holding capacity and pH were less than those of other breeds (p<0.05). The color score of 3 breeds of Korean local chicken was higher than that of silky fowl (p<0.05). Woorimatdag had a higher score on tenderness (p<0.05), whereas flavor score was less than that of other breeds (p<0.05). In conclusion, 4 local breeds of chicken have some unique features and seem to have more advantages, and this information can help consumers who prefer healthy and premium chicken meat.

열정 + 혁신 + 마케팅 = 신시장 창출 『풀무원 '자연은 맛있다'의 생라면 시장 개척 사례』 (Passion + Innovation + Marketing = A Successful New Market Development 『A Case of Pulmuone Fresh Ramen, 'Jayeonun Masitda'』)

  • 주경희;이두희;박성연;유시진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33-248
    • /
    • 2011
  • 이 사례는 종합식품회사인 풀무원이 '생라면'이라는 신시장을 열정과 혁신으로 개척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본문에서는 풀무원의 신시장 개척 사례를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해 보기 위해 풀무원의 생라면 시장 도전의 역사, 신제품 개발 과정, 신시장 개척을 위한 마케팅 전략 및 마케팅 믹스, 시장성과 및 향후과제 등을 다루고 있다. 1995년 이후 꾸준히 기름에 튀기지 않은 생라면이라는 새로운 제품군을 개척하기 위해 노력해 온 풀무원은 마침내 2011년 '자연은 맛있다'라는 혁신적인 신제품으로 기존의 유탕면으로 대표되던 라면 시장에 웰빙 바람을 일으켰다. 건강과 영양을 중시하는 소비자군을 표적 고객층으로 정한 풀무원은 생라면과 유탕면을 '건강한 라면 대 건강하지 않은 라면'으로 경쟁구도화 하는 포지셔닝 전략을 구사하였다. 즉, 맛의 강도와 건더기의 양으로 구분되어 있었던 기존의 경쟁구도를 자연 재료와 인공 재료, 기름에 튀긴 면과 기름에 튀기지 않은 면을 양대 축으로 하는 경쟁 구도로 전환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풀무원의 신시장 개척을 위한 노력은 성공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자연은 맛있다'는 출시 이후 꾸준한 매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도 재구매율, 관능 만족도 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풀무원 생라면의 성공은 탄탄한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기술적인 혁신, 성공적인 포지셔닝 및 일관된 커뮤니케이션 전략에서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풀무원이 꾸준히 구축해온 자연친화적인 기업 이미지와 최고 경영자 이하 전 조직원의 뜨거운 열정도 중요한 성공요인이라고 분석된다.

  • PDF

식품가공처리가 농산물 잔류농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tic Approach to the Effects of Food Processing Treatment on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 김남훈;박경애;정소영;조성애;김윤희;박혜원;이정미;이상미;유인실;정권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22
    • /
    • 2016
  • 메타분석이라는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식품가공처리 (수돗물 세척, 껍질제거, 데치기 및 오븐건조)에 의한 농산물 중 농약 잔류량의 변화를 관찰한 기존의 문헌들이 제공하는 데이터들을 통계적으로 통합하고 정량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각 식품가공처리법의 가중평균 response ratio ($R^*$)를 살펴보면 껍질제거는 0.140, 데치기는 0.344, 오븐건조는 0.462 및 수돗물 세척은 0.522이었으며 껍질제거에 의해 농산물 중 잔류농약이 최대로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돗물 세척에 의한 12종 농약성분의 옥탄올물분배계수와 가중평균 response ratio ($R^*$)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피어슨상관계수는 r=0.624 (p=0.03)로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보다 정확한 위해성 평가를 위한 가공계수를 산출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또한 잔류농약과 식품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