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 packaged good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포장식품의 유통기한 표시기법에 대한 소비자 심리 연구 (An Study on the Consumer Perception for Open Shelf-life Dating Method of the Packaged Foods)

  • 하영선;김종경;박인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92-395
    • /
    • 1998
  • 포장식품의 유통기한 표시기법에 대한 대구ㆍ경북지역 소비자 222명의 심리를 설문조사 방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은 포장식품의 유통기한 표시가 매우 중요한 정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불분명한 유통기한 표시에 매우 혼란스러워 하고 있었다. 유통기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식품의 부패성향이 클수록 높았다.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에 대해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식용을 꺼리고 있었으며 역시 부패성향이 클수록 높았다.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표시기법은 선도유지기한 또는 유효기한이었고 포장일자가 가장 낮았다. 인구통계학적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나이가 어리고 여성의 경우 유통기한이 제품선택에 있어서 보다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 PDF

미국 식품시장에서 한국 및 아시아 식품의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Korean and Asian foods in food market of the United States)

  • 윤석후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3권1호
    • /
    • pp.92-100
    • /
    • 2020
  • Recently, a lot of consumers in the United States are trying to find out the diverse Asian foods due to the raw material used,sauce,flavor,taste, and cooking philosophy. Asian fare has boomed up in the past decades at restaurants and retail food markets. These phenomena are considered to continue since many Americans become more cautious for health since they believe the traditional Asian foods are better for health than European, Latin, and traditional American diets. The increase of Asian population in America also induce the increased consumption of Asian foods, and those who traveled and tasted Asian foods during their journey want to take Asian foods after back home. Several sauces including gochujang, ramen, and seaweed snack are examples of Asian foods consumed in a large quantity. Many Asian food and material suppliers are trying to pioneer and penetrate American food market with exotic multifaceted Asian cuisine.

웰빙트랜드가 식품포장디자인의 색채에 끼친 영향 (Influences of Well-being Trend on Color of Packaged Food Products)

  • 신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84-192
    • /
    • 2007
  • 사회적 트랜드는 소비대중의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줌으로써 상품의 구매성향에 변화를 초래한다. 이런 연유에서 트랜드는 제품의 기획과 생산과정에서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된다. 새로운 트랜드가 출현하여 어떤 변화가 일어났다면 우선 그 트랜드에 의한 영향의 폭과 깊이를 가늠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웰빙물결과 이로 인해 나타난 식품포장디자인의 변화는 주목할 만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웰빙트랜드의 영향으로 식품포장디자인이 어떤 형태로 변화되었는지에 알아보았다. 연구의 범위는 의식주 중에서 웰빙트랜드의 영향을 가장 잘 보여주는 식품을 대상으로 하였고 범위를 좁혀 공장에서 생산되고 대형할인점을 통해 판매되는 포장식품으로 한정했다. 식품포장디자인은 판매의 최종단계에서 소비자에게 충동적 구매를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공적인 디자인을 위한 제 요소들 중에서 색채는 그 중심적 위치에 있다. 색채는 트랜드의 변화를 민감하게 나타내고 소비자는 그 같은 상품의 구매를 통하여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킨다. 본 연구의 기초 자료는 시장조사를 통해 포장식품을 대분류한 후 사용된 색상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각4대 기본색상의 역할과 변화를 분석하여 트랜드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웰빙트랜드에 민감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수가 공감하는 웰빙칼라를 선정하였다.

Functional Corrugated Board with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in Food Packaging Applications: A Review

  • Gaikwad, Kirtiraj K.;Singh, Suman;Lee, Youn Suk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9-58
    • /
    • 2016
  • Corrugated board provides packaging for most diverse industries with a share of over 50%, due to the numerous advantages they offer a good protection of the products. In other hand corrugated board fail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indicating that relative humidity or temperature is higher. These effects directly damage the product packaged. To overcome on this problem recently corrugated boards produced with functional material, "functional corrugated boards," have become more available in the current market. A number of commercialized forms of functional material are coated or composited products with inorganic materials, for example "Nano clay" as representative. However, although the use of functional materials is increasing in corrugated boards, the several concerns such as over cost, environmental friendly materials, recycling, and toxicity affect consumer perceptions and acceptance. In the past, number of researcher focused on process of box compression and the utility of box compression testing etc.,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review paper which focus on the functional corrugated boards used in food packaging applications.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availability of functional corrugated boards in the current market, past research studies on functional material and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functional corrugated boards in leading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