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s trust on provided information content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33초

Exploring Antecedents of Consumers' Willingness to Depend on E-Health Information

  • Oh, Su-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8권1호
    • /
    • pp.61-68
    • /
    • 2012
  • Previous research on online health (e-health) information was primarily focused on consumer information search behavior and information quality. Although studies addressing online information quality have flourished, they have yet to thoroughly examine whether consumers actually use the information they search. The purspose of this study suggests a conceptual framework that examines the potential antecedents of a consumers' willingness to depend on e-health information as an indicator of the consumer's trust of the provided e-health information. The proposed antecedents include healthcare product involvement, online skill level, perceived quality, and credibility of the sourc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online survey data, seven hypotheses, which describ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model, were tes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er willingness to depend on provided e-health informa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consumers' perceived quality and credibility of specific e-health information. Consumer involvement in healthcare and their online skill-level, respectively, also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quality and credibility regarding e-health information.

전자상거래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제도적 연구 (A Legal and Systematic Study On Consumer Protection In Electronic Commerce)

  • 권상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787-796
    • /
    • 2009
  • 전자상거래는 1990년대 후반 이후부터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해 가고 있다. 그러나 전자상거래의 비대면성과 익명성, 국제성, 일방성, 현혹가능성 등과 같은 특성으로 인하여 소비자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보호를 위한 법 제도적 개선점을 다음과 같이 종합적으로 도출해 보았다. 첫째,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상 청약철회권 행사기간을 연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자상거래는 비대면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비자가 착오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소비자가 자신의 착오를 입증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사전에 착오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전자약관에 대한 인증마크 제도를 도입하여야 한다. 넷째, 소비자의 안전한 개인정보관리를 통한 개인정보유출과 이용에 대한 불안감이 없도록 법적, 제도적 그리고 기술적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인터넷 신뢰마크에 대한 엄격한 감독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조정에 있어서 절차상 전송된 메시지나 문서에 대한 해킹 등을 통하여 제3자의 개입과 간섭이 있을 수 있으므로 당사자간의 명확한 인증을 통하여 시스템상에서의 보안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