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idial germination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4초

Metarhizium anisopliae의 Fusarium oxysporum, Botrytis cinerea, Alternaria solani 등에 대한 항진균활성 (Antifungal Activities of Metarhizium anisopliae against Fusarium oxysporum, Botrytis cinerea, and Alternaria solani)

  • 강선철;박영구;이동규;김용헌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1호통권76호
    • /
    • pp.49-55
    • /
    • 1996
  • 살충성진균 Metarhizium anisopliae가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Fusarium oxysporum, 잿빛곰팡이 병을 일으키는 Botrytis cinerea, 겹둥근무늬병을 일으키는 Alternaria solani 등에 대하여 항진균활성을 갖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Plate상에서 균사생장저해 실험과 inhibition rate실험을 했을 때 항진균활성이 검정되었으며 또한 YPD배지에서 배양된 M. anisopliae로부터 얻은 배양여액을 식물병원균에 30%농도로 첨가했을 때 이들의 포자발아율은 B. cinerea, F. oxysporum에서 각각 21.5%(control: 88.2%), 53.0%(control: 78.6%)로 감소하였으며 발아개시 시간도 8시간 정도 지연되었다. 또한 현미경을 통한 미세구조관찰에서는 10% 배양여액을 첨가했을 때 F. oxysporum의 균사로부터 후막포자가 생성되고 생장저해가 일어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M. anisopliae의 항진균활성은 fungistatic effect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Paraconiothyrium minitans CM2의 상추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 S. minor) 균핵 발아에 대한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Paraconiothyrium minitans CM2 on Sclerotial Germination of Sclerotinia sclerotiorum and S. minor Causing Sclerotinia Rot of Lettuce)

  • 이상엽;김완규;홍성기;원항연;박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1-135
    • /
    • 2011
  • 2종의 상추균핵병균(S. sclerotiorum, S. minor)에 기생성인 선발진균(CM2)의 형태적 및 분자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araconiothyrium minitans로 동정되었다. P. minitans CM2의 균사 배양조건은 pH 6.5로 조절한 PDA배지를 사용하고, $22^{\circ}C$에서 1일 12시간 주기의 근자외선광을 처리하여 배양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P. minitans CM2의 분생포자현탁액을 상추균핵병균의 균핵에 처리하여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균핵의 직접발아와 자낭반 형성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배검은별무늬병균과 배붉은별무늬병균에 대한 유기농자재들의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Agro-Materials against Pear Scab (Venturia nashicola) and Pear Rust (Gymnosporangium asiaticum) Fungi)

  • 송장훈;서호진
    • 식물병연구
    • /
    • 제24권1호
    • /
    • pp.33-40
    • /
    • 2018
  • 본 연구는 무기살균제, 식물추출물, 미생물 등 우리나라에 등록된 병해관리용 유기농자재 중 19종에 대해 배검은별무늬병균과 배붉은별무늬병균을 접종하고 배 잎 조직에서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배검은별무늬병균에 대해 황, 구리 등이 함유된 유기농자재 9종 중에서 대부분은 포자발아를 완전히 억제하였고, 일부 발아한 포자의 경우에도 부착기가 전혀 형성되지 않았으나 배붉은별무늬병균에 대해서는 석회황합제, 네오보르도, 흰가리스 등에 한하여 항균활성을 보였다.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유기농자재 중 흰가루자바는 배 검은 별무늬병균의 분생포자 발아를 완전하게 억제하였으며 배 붉은별무늬병균에 대해서도 71.6% 수준으로 비교적 높은 포자발아 억제효과를 보였다. 미생물 함유 제제로써 청고탄(Streptomyces griseus)은 배검은별무늬병균에 대해 88.8%의 포자발아억제율을 보이고 부착기도 형성하지 않으며 세포간에 자재집적이 확인되지 않았다. 탑시드(Paenibacillus polymyxa)는 배검은별무늬병균과 배 붉은별무늬병균에 대해 포자발아억제율이 각각 71.0%와 90.6% 수준이며 부착기형성도 이뤄지지 않았다. 향후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보호효과뿐만 아니라 미생물 대사산물과 천연화합물이 지니고 있는 유도저항성 효과도 고려하여 포장조건에서 누적적으로 살포하면서 종합적인 항균활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건조, 습윤중단 및 온도가 유자 검은점무늬병원균 Diaporthe citri 포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yness, Moisture Interruption, and Temperature on Germination of Diaporthe citri Pycnidiospores on Yuzu)

  • 홍성준;윤성철
    • 식물병연구
    • /
    • 제24권2호
    • /
    • pp.132-137
    • /
    • 2018
  • 유자 검은점무늬병은 Diaporthe citri가 원인균이며, 과실에 발병하여 심각한 피해를 초래한다. 병자각으로부터 분생포자가 누출될 때, 습윤은 병원균 감염에 중요한 환경 요소이다. 발아과정 중 병포자가 건조에 처하거나 습윤중단이 발생할 때 발아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건조 처리는 포자현탁액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0-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습윤 중단 처리는 포자현탁액을 습윤에 10시간 먼저 노출한 후, 0-6시간 건조시켜 발아과정에서 습윤을 중단시켰다. 15시간 이상 건조 처리한 포자 발아율은 10% 이하였다. 3시간 이상 습윤 중단 처리된 포자 발아율은 35% 이하였다. 다른 식물병원성 곰팡이와 비교하면, D. citri는 건조에 민감한 곰팡이다. 유자 과피 배지 위에 다양한 온도(15, 20, 25, 30, $35^{\circ}C$)별로 습윤 존재시간(3, 6, 9, 12, 15, 18, 24 hr)을 다양하게 처리하여 포자발아율을 측정하였다. 발아율 10%와 50%를 달성하기 위한 최소 수분존재시간은 각각 4.5시간과 13시간이며, 이 때 적온은 각각 $29.2^{\circ}C$$29.1^{\circ}C$였다. 다양한 온도에서 발아율 10%와 발아율 50% 달성에 요구되는 최소 수분존재시간을 결정하는 추정식은 각각 $Wh_{10%}=0.082{\times}T^2-4.8025{\times}T+74.861$$Wh_{50%}=0.1093{\times}T^2-6.3762{\times}+106.08$이었다.

MoJMJD6, a Nuclear Protein, Regulates Conidial Germination and Appressorium Formation at the Early Stage of Pathogenesis in Magnaporthe oryzae

  • Li Zhang;Dong Li;Min Lu;Zechi Wu;Chaotian Liu;Yingying Shi;Mengyu Zhang;Zhangjie Nan;Weixiang Wa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4호
    • /
    • pp.361-373
    • /
    • 2023
  • In plant-pathogen interactions, Magnaporthe oryzae causes blast disease on more than 50 species of 14 monocot plants, including important crops such as rice, millet, and most 15 recently wheat. M. oryzae is a model fungus for studying plant-microbe interaction, and the main source for fungal pathogenesis in the field. Here we report that MoJMJD6 is required for conidium germination and appressorium formation in M. oryzae. We obtained MoJMJD6 mutants (ΔMojmjd6) using a target gene replacement strategy. The MoJMD6 deletion mutants were delayed for conidium germination, glycogen, and lipid droplets utilization and consequently had decreased virulence. In the ΔMojmjd6 null mutants, global histone methyltransferase modifications (H3K4me3, H3K9me3, H3K27me3, and H3K36me2/3) of the genome were unaffected.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d that MoJMJD6 function as a nuclear protein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idium germination and appressorium formation in the M. oryzae. Our work provides insights into MoJMJD6-mediated regulation in the early stage of pathogenesis in plant fungi.

토끼풀(Trifolium repens L.) 방제용 생물제제 Penicillium oxalicum (PENOX)의 발아, 생장, 포자생성 및 탄소원이용에 미치는 수분활성 및 온도의 영향 (Effect of Water Activity and Temperature on Growth, Germination, Sporulation, and Utilization of Carbon Source of Penicillium oxalicum (PENOX) as a Biocontrol Agent(BCA) for control of Clover(Trifolium repens L.))

  • 이향범;김창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68-74
    • /
    • 2000
  • Penicillium oxalicum (PENOX)은 잔디밭 토끼풀(Trifolium repens L.)의 방제를 위한 생물제제(biocontrol agent, BCA)로서의 잠재성을 보여왔다. 미생물제초균류에 의한 제초활성은 다양한 환경조건하에서 이들의 발아율, 생장력 및 기질이용성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PENOX의 다양한 수분확성($0.94{\sim}0.995\;a_w$) 및 온도조건($18{\sim}30^{\circ}C$)하에서의 균사생장, 포자발아율 및 포자생성량을 glycerol로 조정된 MEA(malt extract agar) 배지를 사용하여 in vitro상에서 조사하였다. PENOX의 균사생장은 높은 수분활성조건($0.995\;a_w$)에서 가장 좋았으며 $30^{\circ}C$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또한 $0.995\;a_w$에서는 저온($20^{\circ}C$)에서도 균사생장이 대체로 양호하여 수분활성이 약간 낮은 조건($0.97\;a_w$)에서의 최대 균사생장율과 비슷한 균사생장율을 나타냈다. $0.97\;a_w$에서의 균사생장율은 $25^{\circ}C$$30^{\circ}C$조건간에 대체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저온($20^{\circ}C$)에서는 매우 감소하였다. PENOX의 포자발아율도 $0.995\;a_w/30^{\circ}C$에서 가장 높았으며 수분활성이 감소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저온($18^{\circ}C$)에서의 발아전 지체시간(lag phase time)은 전 $a_w$ 조건하에서 6시간 이상 그리고 낮은 수분활성조건($0.94\;a_w$)하에서는 18과 $25^{\circ}C$에서 각 18, 12시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포자생성은 $0.995\;a_w$의 높은 수분조건에 비해 약간 낮은 $0.97\;a_w$ 조건에서, 그리고 고온($30^{\circ}C$)에 비해 저온조건($20^{\circ}C$) 하에서 훨씬 양호하였다. 한편, GN MicroPlate를 이용해 PENOX의 기질로서의 95개 탄소원에 대한 이용성을 조사한 결과 $0.995\;a_w/25^{\circ}C$에서의 생태적 생식역값(niche size)은 86으로 가장 높았으며 수분스트레스조건($0.955\;a_w$)에서는 그 이용성이 낮아져 그 값은 65를 나타냈다. 그리고 고온($30^{\circ}C$)에서는 $0.995\;a_w$$0.955\;a_w$에서는 각각 84와 50을 나타내 $0.995\;a_w$에서 보다 $0.955\;a_w$ 조건에서 탄소원 이용시 온도스트레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균류생태생리학적인 정보는 효과적인 BCA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고추 흰가루병균(Leveillula taurica)의 발아특성 및 접종법 (Effect of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on Germination and Development of Powdery Mildew (Leveillula taurica) on Pepper and Its Inoculation Method)

  • 김대현;박종한;이중섭;한경숙;한유경;황정환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187-192
    • /
    • 2009
  • 고추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발생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시설재배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병중에 하나다. 2009년 4월 및 9월에 강원, 충북, 경남 및 전남 등 4지역을 대상으로 흰가루병 발생 실태를 조사하였다. 시설재배지에는 15.3~81.8%(평균 71%), 노지재배에서 16.8~72.3%(평균 46%)의 이병엽율을 보여 시설재배에서 발생이 많음을 볼 수 있었다. 병징은 잎 뒷면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처럼 하얗게 분생포자가 퍼져 있고, 아랫잎은 황색으로 탈색되거나 낙엽되었다. 온도에 따른 고추 흰가루병의 분생포자 발아력을 조사한 결과, $25^{\circ}C$에서 처리후 6시간에서 발아율이 35.9%였으며, 습도는 85%에서 38.5%로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온도 및 습도별로 발아관을 측정한 결과, 온도는 $20{\sim}25^{\circ}C$에서 습도는 85~93%에서 각각 105.8~107.8 ${\mu}m$ 및 79.7~80.3 ${\mu}m$로서 가장 길게 나타났다. 고추 흰가루병을 접종시킨 후 병 진전에 따른 발병도를 조사한 결과 접종 후 8일부터 병징을 보이다가, 15일 후에 병 발병도가 53.3~73%로서 급격하게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고추 흰가루병 인공접종 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분무접종, 압착 및 타락방법을 사용한 결과, 분무접종보다는 압착 및 타락방법이 높은 발병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타락방법을 이용한 인공접종에서는 발병도가 72%로서 가장 높은 발병도를 나타내어 병 저항성 검정을 위한 접종방법으로 추천할 만 하였으나, 금후 안정적이고 대량접종을 위해 효율적인 접종방법 개발이 필요하였다.

벼 잎집썩음병에 관한 연구 -품종저항성검정, 병균의 배양여액- (Studies on Sheath Rot of Rice Caused by Acrocylindrium oryzae Sawada -Testing Varietal Reactions and Culture Filtrates of the Causal Fungus -)

  • 정후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3-27
    • /
    • 1975
  • 1. 포장에서 벼, 잎집썩음병 이병율은 일본형장려품종에는 거의 전무였으나 대체로 인도형품종 및 IR계통 또는 품종은 경-중도였다. 모든 공시품종 또는 계통은 종자에 접종하면 감염되었다. 실내에서 종자접한 결과는 몇 예외를 제외하고 포장에서의 이병율과 대체로 비슷하였다. 2. 벼, 잎집썩음병균의 배양여액은 벼, 보리, 밀, 호밀, 유채의 초엽 및 유근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특히 벼품종 통일은 진흥보다 현저히 초엽 및 유근의 생육이 억제되었다. 3. 병균 배양여액은 도열병균의 포자발아를 억제하였으나 깨씨무늬병균에는 영향이 없었다.

  • PDF

실험실내와 비닐하우스에서 근권 미생물에 의한 오이 생육증진의 검정 (In Vitro and Greenhouse Evaluation of Cucumber Growth Enhanced by Rhizosphere Microorganisms)

  • 배영석;장성식;박창석;김희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92-297
    • /
    • 1995
  • We developed an in vitro assay method for evaluating plant growth promotion and providing an evidence that the growth promotion is rendered by growth enhancing factors. The amendment of culture filtrates of Trichoderma harzianum T95 and Gliocladium virens G872 and G872B in Murashige and Skoog (MS) agar medium enhanced the cotyledon growth of cucumber in terms of fresh weight and primary leaf area of cucumber cotyledon cuttings, of which the treatment of G. virens G872B was the most effective. The mycelial culture filtrate of G872B was more effective in the growth promotion than its conidial germling filtrate. The addition of 1% sucrose in MS mineral medium with 0.1% culture filtrates of the antagonists (T95 and G872B) was optimum for enhancing the effect of the filtrates on the growth of cotyledon cuttings in vitro. When cucumber seeds treated with G872B, Pseudomonas putida Pf3 or the G872B-Pf3 mixture were planted in a greenhouse, the rate of seed germination, biomass of shoot and root, and yield of cucumber fruits were increased, especially by G872B or the G872B-Pf3 mixture. Correspondingly, cucumber fruit yields in early to middle-cycles of harvest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plots of G872B than the control and Pf3-treated plots, and the final yield was highest in the plots of the G872B-Pf3 mixture applications.

  • PDF

Pre-Infection Behavior of the Pitch Canker Fungus Fusarium circinatum on Pine Stems

  • Thoungchaleun, Vilakon;Kim, Ki-Woo;Lee, Don-Koo;Kim, Chang-Soo;Park, Eun-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12-117
    • /
    • 2008
  • Pre-infection behavior of Fusarium circinatum on stems of pine species was investigat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wo-year-old stems of Pinus densiflora and p. rigida were inoculated with the fungal conidial suspension and subjected to $25^{\circ}C$ for up to 16 hr. Most microconidia germinated 12 hr after inoculation on pine stems. Conidia produced germ tubes from either one or both ends of microconidia. Germ tubes grew over the stem surface and appeared to enter host tissues through natural openings on pine stems. Surface cracks in the cork were entrance sites of germ tubes of F. circinatum. In addition, host cell wall cracks were often found at the tip of germ tubes. The cuticle appeared to be eroded either at the tip of germ tubes or around germlings. Germ tubes also produced appressoria-like structures, exhibiting swollen tips of germ tubes on the stem surface. There seems to b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infection behavior of F. circinatum on stems between the two pine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