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ical abutment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2초

Narrow-diameter implants with conical connection for restoring the posterior edentulous region

  • Woo, In-Hee;Kim, Ju-Won;Kang, So-Young;Kim, Young-Hee;Yang, Byoung-Eu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8권
    • /
    • pp.31.1-31.7
    • /
    • 2016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show results from platform-switched narrow-diameter implants in the posterior edentulous region, which w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after functional loading. Methods: Ninety-eight narrow implants were inserted into 66 patients. After healing, fixed implant-supported prostheses were delivered to the patients, and Periotest and radiographic examinations were performed. After the first year of loading, the implant outcome was again evaluated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using the Periotest analysis. Crestal bone loss and Periotest values (PTV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urgery, prosthesis, implant, and a host-related factor. A general linear model was used to statistically detect variables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crestal bone loss and Periotest value. Results: We followed up on the implants over 1 to 4 years after loading; their survival rate was 100 %, and pronounced differences from PTVs were noted among jaw location, bone quality, and loading period. No difference was detected in bone loss among the variables studied. Bone loss after functional loading was $0.14{\pm}0.39mm$. The stability value from the Periotest was $-3.29{\pm}0.50$.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judicious use of platform-switched narrow implants with a conical connection must be considered an alternative for wide-diameter implants to restore a posterior edentulous region.

Effect of initial placement level and wall thickness on maintenance of the marginal bone level in implants with a conical implant-abutment interface: a 5-year retrospective study

  • Yoo, Jaehyun;Moon, Ik-Sang;Yun, Jeong-Ho;Chung, Chooryung;Huh, Jong-Ki;Lee, Dong-Wo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9권3호
    • /
    • pp.185-192
    • /
    • 2019
  • Purpose: Implant wall thickness and the height of the implant-abutment interface are known as factors that affect the distribution of stress on the marginal bone around the implan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ong-term effects of supracrestal implant placement and implant wall thickness on maintenance of the marginal bone level.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101 patients with a single implant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4 group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mplant wall and the initial implant placement level immediately after surgery: 0.75 mm wall thickness, epicrestal position; 0.95 mm wall thickness, epicrestal position; 0.75 mm wall thickness, supracrestal position; 0.95 mm wall thickness, supracrestal position. The marginal bone level change was assessed 1 day after implant placement, immediately after functional loading, and 1 to 5 years after prosthesis delivery. To compare the marginal bone level change,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evaluat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within groups and between groups over tim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lso calcula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implant placement level and bone loss.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ne loss among the 4 groups (P<0.01) and within each group over time (P<0.01) were observ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a wall thickness of 0.75 mm and 0.95 mm. In a multiple comparison, the groups with a supracrestal placement level showed greater bone loss than the epicrestal placement groups. In addition,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mplant placement level and marginal bone loss was observed. Conclusions: The degree of bone resorp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implants with a supracrestal placement compared to those with an epicrestal placement.

내측 연결형 임플란트 지대주의 체결부 길이 변화에 따른 비선형 유한요소법적 응력분석 (The non-linear FEM analysis of different connection lengths of internal connection abutment)

  • 이용상;강경탁;한동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10-119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임플란트 지대주의 체결부 길이와 골정에 대한 고정체 상단의 위치에 따라서, 하중 적용 시 고정체, 지대주, 나사 및 골에서의 응력 분포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원추형 사면과 육각 기둥 형태의 회전저항구조를 갖는 내측 연결형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의 체결부 길이가 2.5 mm, 3.5 mm, 4.5 mm인 경우와 각 경우에서 고정체 상단이 골정과 같거나 골정보다 2 mm 상방에 위치할 때를 상정하여, 유한요소분석을 위한 모델을 총 6개 형성하였다. 각 경우에서 170 N의 30도 경사하중을 적용하였다. 결과: 6개의 유한요소분석 모델 모두에서, 임플란트는 고정체와 지대주의 체결 상단 부위에서, 주위 골에서는 골정 부근에서 최대 응력 값을 나타냈다. 지대주의 체결부 길이가 길어질수록, 주어진 하중에서 발생되는 고정체, 지대주, 나사 및 골에서의 최대 응력 값은 줄어들었다. 고정체 상단이 골정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경우보다 골정 2 mm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에서 지대주의 체결부 길이가 길어질수록 모든 부위에서 더 큰 비율로 최대 응력 값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지대주의 체결부 길이가 길어질수록 모든 부위에서 주어진 하중에 따른 최대 응력 값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임플란트의 기계적 및 생물학적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중관 의치에 관한 문헌 고찰 및 증례 보고 (Literature review and case report of prosthetic rehabilitation with telescopic denture)

  • 성한결;조은혜;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08-316
    • /
    • 2018
  • 이중관 의치는 지대치 장축 방향으로의 교합력 전달, 구강위생관리 용이, 유지 및 안정의 증가, 지대치 간의 2차적인 연결 고정으로 인한 부목효과 등의 장점을 가지며 일반적인 국소의치에 비해 높은 성공률이 보고되고 있으나 기공과정이 복잡하고 치료기간 및 비용이 증가하며 합병증의 발생이 많은 단점이 있다. 본 증례보고는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은 상악의 4점 지지의 텔레스코프관을 이용한 이중관 의치를 제작한 증례와 상악의 2점 지지의 원추관을 이용한 이중관 의치를 제작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여러 문헌을 통하여 보고되는 이중관 의치의 합병증을 고찰하고, 이와 관련하여 임상 및 기공과정에서 주의할 점을 고려하여 치료를 진행하였다.

불량 적합 임플란트 보철물의 광탄성 응력 분석 (A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of Implant Prosthesis According to Fitness of Super structure)

  • 임현필;허신옥;김홍주;박상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1호
    • /
    • pp.39-46
    • /
    • 2010
  • 임플란트 보철물에 의도적으로 불량 적합을 부여하고, 수직 하중을 가한 후 주변골에 발생되는 응력의 분포를 광탄성 모델을 이용하여 비교 하는 것이다. 광탄성 레진블록 3개를 제작하고 각각에 3개의 Restore$^{(R)}$ $4.0{\times}10$ mm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대조군은 부적합이 없도록 제작하였고, 실험군은 각각의 금관을 절단하여 $100{\mu}m$의 부적합을 부여한 후 광탄성 응력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하중을 가하지 않으면 응력 집중을 보이지 않았으며, 하중을 가하더라도 그 부위만 응력 집중을 보였고, 중간에 하중을 가하면 전후방으로 응력이 분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의도적으로 부적합을 부여한 경우 하중을 가하지 않더라도 나사를 조이면 고정체 주위에 응력이 발생했고, 하중을 가한 경우 하중을 가한 부위를 포함하여 주변 임플란트에도 응력이 집중되었다. 특히, UCLA로 제작된 보철물이 원추형 중간 지대주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더욱 응력이 집중되었는데, 치근단에서 시작하여 치축을 따라 치경부까지 집중되었다. 보철물의 적합도가 좋지 않은 경우 하중을 가하지 않더라도 응력이 집중되며, 하중을 가할 경우 더욱 심한 응력 집중 양상을 보인다는 점은 정확한 보철물 제작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