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e opsi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Studies of Opsin Genes in a Smelt Fish, Ayu (Plecoglossus altivelis)

  • Minamoto, Toshifumi;Shimizu, Isamu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269-271
    • /
    • 2002
  • To investigate the visual and extra-ocular photoreception, we cloned the opsin genes in ayu (Plecoglossus allivelis). Amplified fragments encoding exon-4 (-5) of opsin cDNAs were cloned from the retina and brains of ayu, and sequenced. One clone was identified as rod (AYU-Rh), two as green cone (AYU-GI, -G2), one as red cone (A YU-R), two as ultraviolet cone (AYU-UVl, UV2), one as VA (AYU-VA), and one as extra-ocular rod (AYU-ExoRh) opsins. 335 amino acids sequence deduced from the full-length cDNA of AYU-Rh showed high identity with that of other fish. Southern blotting analysis indicated that ayu possess two 'rhodopsin' genes, one is visual rhodopsin and the other is non-visual extra-ocular rhodopsin. In situ hybridization showed that the mRNA of AYU-Rh was localized only in rod cells in the retina. On the other hands, AYU-ExoRh was expressed only in the pineal. We cloned two isoforms (AYU-VAM and -VAL) of VA opsin from ayu.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these variants were identical to each other within the first 342 residues, but they showed divergence in the C-terminal sequence. AYU- VAL corresponded to the long isoform found in other fish, and AYU-VAM was identified as a new type of VA opsin variant. Pal-VAM is a new probably functional non-visual photoreceptive molecule in fish.

  • PDF

한국관박쥐 망막 원뿔세포의 조직화학적 분석 (Histochemical Analysis of the Cone cells in the Retina of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 전영기;주영락;예은아;김문숙;전창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7-191
    • /
    • 2013
  • 목적: 한국관박쥐의 망막에서 원뿔세포의 middle/long(ML) opsin cone photoreceptors의 분포를 분석하여 박쥐의 시각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방법: 표준면역세포화학법을 이용하여 성체 한국관박쥐의 망막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4 개체의 망막 전체에서 추정된 ML opsin은 $27,336{\pm}2,130$개였으며, 평균밀도는 $7,854{\pm}268cells/mm^2$이었다. S opsin은 외핵층에 위치한 세포외절에서 일부 면역반응성을 보였다. 결론: ML opsin의 조직화된 분포와 S opsin의 발현 결과는 한국관박쥐가 밝은 빛에도 반응하며 색을 구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tinal Development and Opsin Gene Expression during the Juvenile Development in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 Kim, Eun-Su;Lee, Chi-Hoon;Lee, Young-D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3권2호
    • /
    • pp.171-181
    • /
    • 2019
  • To produce healthy and stable seed production, we need to obtain information and understand vision that affects behavior of red spotted grouper. We examined their expression and retinal development during the juvenile development. Short-wavelength sensitive opsin (SWS2), a cone photoreceptor, began to be expressed from lens and ear vesicle formation stage and its expression increased until 10 days after hatching (dah). In case of middle-wavelength sensitive opsin (MWS), its expression was detected at 3 dah and reached the highest level at 21 dah. The expression of long-wavelength sensitive opsin (LWS) was first observed from 3 dah and their expression decreased thereafter. Rhodopsin, a rod photoreceptor, was found to be expressed from 2 dah and its expression reached the highest level at 50 dah. The outer nuclear layer (ONL), inner nuclear layer (INL) and ganglion cell layer began to differentiate at 2 dah, while choroid first appeared at 4 dah so that the eyes became black.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velopment of retina mostly completes around 4 dah. It seem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retina and the expression of the opsin gen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behavior such as hunting prey, considering that the timing of the comple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retina, the timing of gene expression, and the timing of completion of yolk absorption are similar.

청색광에 의한 마우스 망막손상에서 선택적 광수용세포의 사멸 (Blue-light Induces the Selective Cell Death of Photoreceptors in Mouse Retina)

  • 강서영;홍지은;최은정;류정묵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9-76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망막색소상피층에 색소가 존재하는 mouse에서 청색광으로 인해 광수용세포 손상이 일어날 수 있는지 확인하고, 광수용세포 중 특이적 세포에서 세포사멸이 유도되는지 조사하여 청색광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연령관련 황반변성의 기전 규명과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진행되었다. 방법: C57black mice를 24시간 암순응 시켜 463 nm의 청색광을 $2800{\pm}10lux$로 조사한 후 1일, 3일, 7일째에 안구를 적출하였다. 청색광의 자극은 GFAP(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단백질의 발현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광수용세포의 세포사멸은 TUNEL(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Western blotting으로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c-JUN, SRC(Sarcoma)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고, 막대세포와 원뿔세포의 손상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면역염색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청색광을 조사한 후 1, 3, 7일이 지난 망막은 대조군 보다 전체적으로 두께가 감소하였고, 각 얼기층보다 핵층에서 두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청색광을 조사한 후 1일 지난 Muller glia에서 GFAP 단백질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UNEL 염색에서는 청색광을 조사한 후 1일 지난 망막의 광수용세포에서 가장 많은 발현을 보였다. 세포사멸 기전 과정 중 하나임을 확인하기 위해 ERK, c-JUN, SRC 단백질 활성을 확인한 결과 청색광을 조사한 망막에서 phosphorylated ERK는 증가하였고 phosphorylated SRC는 조사 후 1일에서만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반대로 phosphorylated c-JUN은 조사 후 1일에서만 감소하였다. 청색광을 조사한 망막에서 막대세포 발색단인 로돕신과 원뿔세포의 발색단인 옵신이 감소하였으며, 옵신의 감소량은 로돕신의 감소량보다 큰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청색광이 망막에 손상자극을 주고, ERK와 SRC 신호전달과 관련하여 광수용세포의 세포사멸을 일으킬 수 있으며 청색광이 광수용세포 중 원뿔세포의 세포사멸을 직접적으로 유도하여 망막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