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diment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9초

생강의 약물대사효소 CYP3A4 저해 성분 (The Inhibitory Constituents from the Ginger on a Drug Metabolizing Enzyme CYP3A4)

  • 차배천;이은희;권준택
    • 약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266-271
    • /
    • 2004
  •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is widely used as a common condiment for a variety of foods and beverages. In addition to its extensive utilization as a spice, the fresh or the processed rhizome is a useful crude drug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t is considered to possess stomachic, carminative, stimulant, diuretic and antiemetic properties. Chemical studies on the pungent principles of ginger have been carried out by a number of investigators, and 6-gingerol and 6-shogaol as a major pungent substance have been isolated. In this study, the constituents inhibiting a drug metabolizing enzyme CYP3A4 from ginger were investigated. CYP3A4 is responsible for drug metabolism as heme-containing monooxygenases. As a result of experiment, 10-gingerol (lC$_{50}$ 5.75$\mu$M) isolated from EtOAc extract of ginger showed remarkable inhibitory activity compared to 6-gingerol ($IC_{50}$/ 14.56 $\mu$M) and zingerone ($IC_{50}$/ 379.63 $\mu$M). This paper describes the isolation, structure elucidation, and CYP3A4 inhibitory activity of these compounds. The structure of the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instrumental analysis such as LC-mass spectrometer and NMR.R.

고학력 기혼여성의 취업여부별 식품섭취상태로 본 식사의 질 평가 - 전업주부와 교사의 비교 - (Evaluation of Diet Quality according to Food Consumption between Highly Educated, Married, Unemployed and Employed Women)

  • 최지현;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3호
    • /
    • pp.274-285
    • /
    • 2006
  • The differences in food consumption between highly educated, married, unemployed and employed women were analyzed by food group and common food item intake, DDS (dietary diversity score), and DVS (dietary variety score) & DVSS (dietary variety score including condiment). In food group intake, the total amount of food intake of the unemployed women (1,554.0 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employed (1,477.9 g), while the amount of food from fungi and mushrooms (4.2 g), seaweeds (2.4 g), and fish and shellfish (60.5 g) of the unemployed wome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employed. And the amount of meat, poultry and their products (102.8 g), eggs (29.9 g), and animal oil and fats (4.0 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employed. Moreover, the common food items of the unemployed women were ranked as eggs (29.7 g), pork (28.9 g), chicken (27.2 g), and beef (26.7 g) at 7, 8, 9, and 10, respectively. When counting the major food groups consumed, DDS=4 has the highest proportion in both groups (unemployed 47.4%, employed 49.1 %). In case of the subjects who had not consumed one particular food group in DDS=4, dairy group was the first (83%), followed by fruit, meat, and vegetables. This order is same in other DDS levels. In dietary variety score (DVS & DVSS), the average number of foods consumed per day of employed women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unemployed. The level of DVSS in the employed women (31.9), especially,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unemployed women (30.6). Consequently, highly educated women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increasing dairy intake, and they have need of various foods, over thirty foods without condiments in their diet every day. In addition, encouraging unemployed women to have a nutritionally balanced diet, and offering nutrition education and guidance, such as appropriate choices about animal foods, are needed.

생강으로부터 6-Gingerol의 분리 및 항산화 활성 (Separation of 6-Gingerol from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and Antioxidative Activity)

  • 이봉수;고명석;김현종;곽인섭;김동호;정봉우
    • KSBB Journal
    • /
    • 제21권6호
    • /
    • pp.484-488
    • /
    • 2006
  •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해보면 6-gingerol의 최적추출조건은 $30^{\circ}C$에서 8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함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용매만을 이용해서 추출하는 것보다 초음파를 도입하여 추출하는 것이 7% 정도 높은 결과를 얻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gingerol의 경우 분취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했을 때 비교적 높은 순도의 gingerol을 얻을 수 있었으며, F9 분획에서 $0.53\;mg/m{\ell}$의 6-gingerol를 얻었다. 6-gingerol의 항산화 활성은 아스코르브산의 95% 정도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다른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성조미료의 첨가가 사골뼈로부터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Nutrition Constituent from Beef leg Bone by Acid Condiment)

  • 김명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49-354
    • /
    • 2002
  • 산성조미료로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조리 및 영양생리작용을 가진 곡물식초와 구연산을 사골뼈에 이용하여 조리할 때 산의 종류가 뼈로부터 칼슘, 인, 마그네슘, 아미노산, 콜라겐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칼슘, 인, 마그네슘 그리고 아미노산의 용출량은 0, 0.5, 1, 2% 순으로 산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그리고 같은 산농도에서 구연산 첨가군이 곡물식초 첨가군보다 많이 용출되었다. 칼슘과 인의 비율에서 곡물식초 첨가군과 구연산 첨가군 모두 칼슘이 인보다 많이 용출되었다. 곡물식초와 구연산 농도 2%를 첨가하여 12시간 끓인 시료를 이용하여 탕수두부를 만들어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신맛, 맛, 종합적인 평가에서 대조군과 곡물식초 첨가군이 구연산 첨가군 보다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사골뼈에 산성조미료를 첨가하여 12시간 가열함으로써 칼슘과 인은 가용화되기 쉬우며, 관능검사 결과 소스로서의 다양한 이용과 개발을 시사하였다.

다시마를 이용한 분말 조미료 소재 개발 (Processing of Powdered Seasoning Material from Sea Tangle)

  • 배태진;강동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21-528
    • /
    • 2000
  • 분말 다시마로부터 정미성분의 효과적인 추출방법과 분말 조미료의 제조 조건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마에 함유된 정미성분의 추출은 열수 추출이나 효소분해 법보다 70% ethyl alcohol 처리가 효과적이었으며, 분말제품의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잔사를 다시 열수 추출시키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다시마 분말에 70% ethyl alcohol을 5배량 가하여 $25^{\circ}C$에서 1시간 추출하고 여과한 잔사에 다시 물을 15배 가하여 7$0^{\circ}C$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을 때 고형물의 농도는 14.9%였다. 다시마 분말조미료는 ethyl alcohol 추출액을 막으로 통과시켜 분자량 5,000 dal-ton이하 범위로 분획한 액을 진공동결건조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다시마 분말조미료 제품의 조성 중 탄수화물 함량이 64.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총질소량 및 아미노질소량은 3.7% 및 2.1%로 나타나 총질소량에 대한 아미노질소량의 비율은 56.8%이었다. 그리고 상대습도 0.88에서의 흡습성은 8.4%, 용해성은 98.3%, 건조수율은 14.7%였다.

  • PDF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인유학생과 중국에 거주하는 중국현지 대학생의 한식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among Chinese Students Residing in Korea and China)

  • 조수현;김재희;김명희;이원종;김은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61-26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among Chinese students residing in Korea (Chinese foreign students, N=69) and China (Chinese-locals, N=98). A total of 76.8% of Chinese foreign students and 70.4% of Chinese-locals had ever eaten Korean food in China before visiting Korea, and motivation to try Korean food at first was 'easy access to Korean food restaurants' (Chinese foreign students 38.6%, Chinese-locals 44.9%).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Korean food were 'taste' and 'price' (Chinese foreign students 72.7% and 18.2%, Chinese-locals 59.1% and 22.7%, respectively), and needed improvements for Korean food were 'spicy and salty taste' and 'nutritional aspect' (Chinese foreign students 54.5% and 25.8%, Chinese-locals 33.3% and 36.4%, p<0.05). The scores for perception of Korean foo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hinese-locals (2.99) than in Chinese foreign students (3.31)(p<0.001). Chinese foreign students preferred Bulgogi (20.5%), Neobiani (20.1%), and Galbijjim (17.9%), whereas Chinese-locals preferred Bulgogi (16.1%), Gimbap (16.1%), and Samgyetang (15.2%) (p<0.001). The most preferred condiment was 'Garlic' (18.0%) in Chinese foreign students, and 'Red pepper powder' (16.4%) in Chinese-local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 to prepare a globalization strategy for Korean Food.

산성조미료와 조리시간이 소뼈의 무기질 용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neral Dissolution from Beef Rib Bone by Acid Condiment and Cooking Time)

  • 김명선;한재숙;남출륭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75-482
    • /
    • 1999
  • 산성조미료로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조리 및 영양생리작용을 가진 곡물식초와 구연산을 소뼈에 이용하여 조리할 때 산의 종류와 조리시간이 뼈로부터 칼슘, 마그네슘, 인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칼슘, 마그네슘 그리고 인의 용출량은 0, 0.5, 1, 2%순으로 산농도가 진할수록 증가하였다. 그리고 끓이는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같은 농도에서 구연산 첨가군이 곡물식초 첨가군보다 많이 용출되었다. 곡물식초와 구연산 농도 2%를 첨가하여 12시간 끓인 시료를 이용하여 탕수 두부를 만들어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신맛, 맛, 종합적인 평가에서 곡물식초 첨가군이 구연산 첨가군 보다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산성조미료를 첨가하여 12시간 끓임에 의하여 칼슘과 마그네슘은 가용화 되기 쉽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본다.

  • PDF

산성조미료가 철냄비의 철 용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Iron Dissolution from Iron Cookware by Acid Condiment)

  • 김명선;한재숙;남출륭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83-488
    • /
    • 1999
  • 산성조미료로 곡물식초.쌀식초의 주성분인 아세트산, 감귤류와 과즙에 함유되어 있는 구연산, 사과산을 이용하여 조리할 때, 철 냄비로부터 철이 얼마나 용출 되는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세트산, 사과산 및 구연산에 대한 철의 용출량은 사과산, 구연산, 아세트산 순이었으며 산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그 중에서도 사과산을 첨가한 것이 철의 용출량이 매우 많았다. 2. 온도에 의한 철 냄비로부터의 철의 용출은 5$^{\circ}C$. 실온에서도 용출되었으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현저한 용출을 볼 수 있었다. 3. 가열시간에 따른 철 냄비로부터 용출하는 철은 일정한 시간까지는 가열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4. 냄비의 사용횟수에 따른 철 용출량의 변화는 사용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5. 철의 용출량은 오래 사용한 냄비보다 새 냄비가 많이 용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철 냄비에 산성조미료를 첨가하여 조리하는 것은 철을 섭취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문헌을 통해 본 조선시대 식초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Manufacturing of Vinegar through Literatures of the Joseon Dynasty)

  • 임은지;차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80-707
    • /
    • 2010
  • Research was conducted on vinegar types and characteristics with reference to representative literature such as SanGaYoRok, SikRyoChanYo, SooEunJabBang, GoSaChalYo, DongEuiBoGam, SaSiChanYoCho, JuBangMoon, ShinGanGuWhang, ChalYoSeo, EumSikDiMiBang, YoRok, ChiSengYoRam, SanRimKyoungJae,EumSikBo,OnJuBeop, SulManDeuNunBeop, KyuHapChongSeo, ImWonSipYukJi, JungIlDangJabJi, SulBitNeunBeop, SiUiJeonSeo, and BuInPilJi from the 15th to the 19th centuries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is research, a classification of materials used in vinegar, knowledge on treatment, preparation of ingredients, capturing flavor, storage of vinegar, as well as the favorable days that vinegar can be manufactured were studied and analyzed based on the different aspect of vinegar. Vinegar is a wellknown condiment throughout the world and has the potential of becoming a luxurious food. Replication and further analysis to expand the properties of vinegar is necessary using old literature, together with the literature identified above. Based on ongoing research, it is foreseeable that the development of a vinegar with unique characteristics and improved standards will be the foundation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which is our current focus.

신선편이 엽채류 및 조미채소류의 냉장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Fresh-Cut Leafy and Condiment Vegetabl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김수진;손시혜;김기창;김행란;윤기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141-1149
    • /
    • 2011
  • 현재 급식 외식 업체용으로 유통되고 있는 절단 세척된 신선편이 엽채류 및 조미채소류에 대하여 저장온도와 포장 방법에 따른 미생물학적, 물리, 화학적인 품질변화와 저장 중 변화되는 외관변화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엽채류 및 조미채소류의 품질변화는 신선편이의 농산물의 종류와 온도, 저장기간에 따라 수분함량, 색도, pH 등의 변화에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10$^{\circ}C$에 저장한 품목들의 변화량이 컸다. 저장온도에 따른 미생물변화에 대한 품질변화 결과, 대장균의 경우 온도에 상관없이 저장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았으나 총균수와 대장균군의 경우 4$^{\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 대체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었으며, 10$^{\circ}C$에 저장한 엽채류의 경우 조직의 물러짐이 빠르게 나타나고 형태의 변화가 가속화되어 총균수와 대장균군의 증식이 조미채소류보다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도에 따른 외관 품질의 변화결과에서는 4$^{\circ}C$에 저장한 것이 물러짐, 흑변현상, 갈변과 황화현상 등이 완만하게 발생하거나 저해되는 경향을 보였고, 10$^{\circ}C$의 경우 호흡률에 의한 진공 풀림, 색 변화 및 이취가 발생함에 따라 4$^{\circ}C$에 비해 품질유지기한이 짧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체로 조미채소류와 엽채류 모두 4$^{\circ}C$에 저장한 것이 10$^{\circ}C$에 저장하는 것보다 최대 3~5일까지 품질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었다. 포장방법을 달리한 깻잎과 부추의 경우 기공에 따른 대장균과 총균수의 증식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포장지의 기공에 의하여 수분의 증발현상이 나타났고, 이에 따라서 수분함량이 감소하고 외관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나, 품목에 따른 포장방법에 차이를 두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신선편이 농산물은 품목에 따라 저장온도와 포장방법이 품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저장 온도와 포장방법을 유지한다면 품질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여 품질유지기한을 연장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