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rete lining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31초

Ground vibrations due to underground trains considering soil-tunnel interaction

  • Yang, Y.B.;Hung, H.H.;Hsu, L.C.
    • Interaction and multiscale mechanics
    • /
    • 제1권1호
    • /
    • pp.157-175
    • /
    • 2008
  • A brief review of the research works on ground vibrations caused by trains moving in underground tunnels is first given. Then, the finite/infinite element approach for simulating the soil-tunnel interaction system with semi-infinite domain is summarized. The tunnel is assumed to be embedded in a homogeneous half-space or stratified soil medium. The train moving underground is modeled as an infinite harmonic line load. Factors considered in the parametric studies include the soil stratum depth, damping ratio and shear modulus of the soil with or without tunnel, and the thickness of the tunnel lining. As far as ground vibration is concerned, the existence of a concrete tunnel may somewhat compensate for the loss due to excavation of the tunnel. For a soil stratum resting on a bedrock, the resonance peak and frequency of the ground vibrations caused by the underground load can be rather accurately predicted by ignoring the existence of the tunnel. Other important findings drawn from the parametric studies are given in the conclusion.

TWO TONNEL PROJECTS IN SWELLING ROCKS

  • Lee, Young-Nam;Ha, H.B.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0년도 PROCEEDINGS OF THE FIRST KOREA-JAPAN JOINT GEOTECHNICAL SEMINAR ON EXCAVATION and TUNNELING IN URBAN AREAS
    • /
    • pp.35-50
    • /
    • 1990
  • This paper describes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the titre-dependent deformation behaviour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unnels in swelling rocks. Two tunnel projects, in which authors got involved in Canada, are chosen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In diversion tunnels for Oldman River Dan Projects time-dependent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udrocks obtained from teat tunnel program were neglected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tunnels and several sectional of concrete lining in tunnels were cracked extensively. In SABNGS No.3 Projects an extensive experimental program was carried out to study time-dependent deformation behaviour of highly swelling Queenston shale, with the air of establishing the constitutional relationship for the rock-structure time interaction analysis.

  • PDF

지하철의 터널 배수체계에 따른 결함 사레 (Case Study on defects of Tunnel Drainage in Subway)

  • 김석조;이재욱;조성우;신용석
    • 한국터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터널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2-298
    • /
    • 2005
  • Tunnel in subway should be designed as a water-proof type tunnel as much as possible but it is difficult to make it come true due to several facts, such as construction technique and cost. A drainage type tunnel as a substitute of a water-proof tunnel lead to the increase of water pressure on the concrete lining that make bad effect to tunnel structure when it has some problem to operate the drainage system. Throughout studying about cases on defects of tunnel drainage in subway We hope it contributes to tunnel maintenance.

  • PDF

콘크리트 라이닝의 화재손상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Damage Evaluation of the Concrete Lining)

  • 박경훈;김흥열;유용호;김형준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01-206
    • /
    • 2011
  • 최근 국내에서는 대심도 터널 시공계획이 발표되면서 터널 구조물에 대한 방재 및 내화설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화재 발생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콘크리트 라이닝의 내화설계를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내화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내화실험이 실시되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건축물의 내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평가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 상태이나 터널 구조물에 대한 시험법이나 성능평가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재손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터널 라이닝을 대상으로 화재 시 콘크리트 라이닝의 손상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은 대표적인 터널 화재시나리오 곡선인 RABT 화재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으며 폭렬방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있는 fiber cocktail(강섬유+폴리프로필렌섬유)의 혼입여부에 따른 성능평가도 함께 실시하였다.

  • PDF

터널 라이닝내부에서 전파되는 탄성응력파를 이용한 수치해석적 비파괴검사 (Numerical Analysis of NDT Using Elastic Stress Waves in Concrete Lining)

  • 김문겸;이재영
    • 전산구조공학
    • /
    • 제11권3호
    • /
    • pp.187-198
    • /
    • 1998
  • 지하구조물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비파괴시험으로써 탄성응력파를 이용한 충격반향탐사법을 수치해석적인 방법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즉, 일면만으로 접근 가능한 터널 면에서의 충격가진과 동적응답의 측정으로 이질면을 포함한 내부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연구의 수행은 탄성거동을 하는 매질 내부에서 전파되는 탄성응력파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동적 유한요소해석으로 모형화하여 충격반향탐사법을 수치해석적으로 수행한다. 이질재료가 2개의 층을 이루고 있는 경우 표면층의 두께를 쉽게 측정할 수 있었으며, 구조물의 병진운동, 휨운동과 구조물 내에서 다중반사되는 탄성응력파에 의한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 터널과 같은 원통형 구조물에서 동적응답의 주파수 특성으로부터 터널라이닝 내부에 형성된 공동의 위치와 크기의 예측이 가능하였다. 수치해석적인 방법과 병행하여 다양한 형태의 경계조건을 가지는 구조물에 대한 충격반향탐사법의 실험을 수행할 경우 실제적인 문제에 적용, 건전성 평가의 지표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Unlined Tunnel 공법 지보재의 설계 및 시공 기준 고찰 (A Study on the Design/construction Standard of Unlined Tunneling Method)

  • 서영화;김성구;나승훈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1-134
    • /
    • 2002
  • Tunneling is a very dangerous and expansive work. Especially, the concrete lining works need many long hours and much cost. As an alternative, the unlined tunneling methods including NMT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country. These methods have advantages in cost, time and quality. In Korea, many considerations have been conducted to apply the unlined tunneling method in comparatively good rock. Since primary reinforcements play the role of the final supporting system in unlined tunnels, the initial stiffness and long term durability of reinforcements are very important for tunnel safety. To establish the reinforcements standard suitable to Korea, we investigated the foreign standards and construction cases, comparing geological and construction conditions of foreign land and Korea. As the result, we have proposed the standard of primary supporting system for unlined tunnel in aspects of material, design, construction and quality control etc.

  • PDF

터널 안전진단을 위한 충격반향법 사례 연구 (Case Study on the Impact-Echo Method for Tunnel Safety Diagnosis)

  • 신성렬;조철현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9권1호
    • /
    • pp.19-30
    • /
    • 2009
  • 비파괴 물리탐사 방법의 일종인 충격반향법 조사는 터널 구조물의 시공 중 품질관리 및 시공 후 구조물의 건전성을 파악하기 위한 안전진단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충격반향법은 특히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된 라이닝에 대하여 라이닝의 두께나 터널 배면 공동 등 내부 상태를 파악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비 파괴탐사 방법이다. 본 연구는 현장적용 사례 연구의 일환으로 철근 콘크리트 라이닝의 도로터널, NATM공법으로 시공된 지하철 터널, 재래식 공법으로 시공된 도로터널 등 구조 및 형식이 다른 여러 가지 터널에 대하여 충격반향법 조사를 실시하였다. 충격반향법 탐사 결과를 기존 설계도서, 코어링 자료 및 다른 탐사자료와 대비하였을 때 서로 잘 일치하였고 충격반향법 탐사결과의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간-주파수 분석은 구조물 내부 특성에 대한 추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였다. 1차원적인 한 지점에서의 수직하부 정보를 구하는 통상적인 주파수 영역에서의 충격반향법 자료해석과 더불어 2차원적인 심도단면도를 구하는 탐사법 적용은 구조물을 보다 정확하게 영상화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 내부에 대한 신뢰도 높은 정보 파악이 가능하였다.

실리케이트계 급결제를 혼입한 글라이코 캘릭스 코팅재의 응결시간 및 압축강도 발현 특성 (Setting Time and Compressive Strength Gains of Glycocalix Coating Materials with Silica-based Accelerating Agents)

  • 정윤지;윤현섭;양근혁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05-111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화학적 열화 및 생물학적 열화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보호를 위해 개발된 글라이코 캘릭스(glycocalix) 코팅재의 응결속도 및 압축강도 발현에 대한 실리케이트계 급결제 혼입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글라이코 캘릭스 코팅재의 적용처에 따라 제안된 단면 뿜어 붙이기용 및 라이닝 공법용 코팅재 배합에서 실리케이트계 급결제의 첨가량을 10mL/L, 25mL/L 및 40mL/L로 변화하였다. 글라이코 캘릭스 코팅재의 경화속도는 박테리아 고정화 재료 양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는데, 40mL/L의 급결제를 첨가한 단면 뿜어 붙이기 및 라이닝 공법용 배합의 종결시간은 각각 80분 및 318분이었다. 급결제를 첨가한 글라이코 캘릭스 코팅재의 강도 발현은 급결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 코팅재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다.

화재 후 터널구조물 시공재료의 역학적 특성변화 (Alter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tunnel structural members after a tunnel fire accident)

  • 장수호;최순욱;권종욱;김상환;배규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57-16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300^{\circ}C$부터 $1,000^{\circ}C$까지 $100^{\circ}C$간격으로 터널구조물 시공재료별로 목표온도 조건에 따른 중량손실률 및 제반 역학적 특성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재료의 역학적 특성이 선형적으로 급격히 저하되는 임계 온도는 $300^{\circ}C$정도이고, 급격한 재료 특성 저하 후 거시적인 파괴로 진전되는 임계 온도는 약 $600^{\circ}C$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터널구조물 시공재료별로 목표온도에 따른 역학적 특성변화 결과들을 회귀분석한 결과, Bolzmann함수로 최적 회귀함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화재 시나리오에 따라 터널구조물에 사용되는 시공재료 내부의 온도분포를 쉽게 추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압축강도 및 탄성계수와 같은 역학적 특성들의 저하 정도도 정량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도표를 제시하였다.

  • PDF

고온에 노출된 쉴드터널 라이닝의 손상평가 (Evaluation of Fire-induced Damage for Shield Tunnel Linings Subjected to High Temperatures)

  • 이창수;김용혁;김영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실물모형 화재시험 후 쉴드터널 라이닝의 손상평가를 수행하였다. 먼저 고온에 노출된 쉴드터널 라이닝의 코어 채취를 통해 잔존압축강도를 측정하고, X선 회절분석 및 열중량 분석으로 수열온도를 예측하였다. 코어 채취에 의해 측정된 잔존 압축강도를 통해 고온에 의한 부재의 강도저하를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정확한 수열온도 예측이 이루어진다면 기존의 연구결과를 통해 부재의 잔존압축강도를 추정할 수 있다. X선 회절분석 및 열중량 분석은 약 $450^{\circ}C$의 온도를 기준으로 수열온도 예측이 가능하지만 정량적인 수열온도의 판단에는 한계가 있었다. $400{\sim}600^{\circ}C$의 수열온도범위에서는 기기분석에 의한 평가와 더불어 해석적 기법이 병행된다면 보다 정확한 수열온도 예측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