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ptual framing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과학적 모형 구성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질문의 개념적 자원 활성화의 이해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위치 짓기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the Role of Wonderment Questions Related to Activation of Conceptual Resources in Scientific Model Construction: Focusing on Students' Epistemological Framing and Positional Framing)

  • 이차은;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71-48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모형 구성 과정에서 사고 질문에 의한 개념적 자원의 활성화가 학생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위치 짓기 프레이밍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어떠한 맥락들이 학생들의 프레이밍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네 명씩 한 소집단을 이루어 배설 기작에 대한 소집단의 설명 모형을 협력적으로 구성하였다. 모형 구성 과정에서 다양한 사고 질문이 나타나며, 맥락에 따라 프레이밍이 변한 1개의 소집단을 초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담화 분석을 통해 모형 구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사고 질문과 개념적 자원의 활성화를 확인하였고, 그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위치 짓기 프레이밍을 추론하여 이에 영향을 미친 맥락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집단 내에서 모형 구성 활동을 '현상 이해'로, 자신의 위치를 '촉진자'로 프레이밍 한 학생이 사고 질문으로 개념적 자원의 활성화를 촉진했지만, '교실 게임'과 '비응답자'로 프레이밍 한 다른 학생들에 의해 상호 작용이 단절되어 개념적 자원이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모두 '현상 이해', '촉진자'와 '응답자'로 프레이밍 한 경우 사고 질문을 통해 개념적 자원을 활성화 시킬 수 있었지만, 학생들의 프레이밍이 '교실 게임'과 '수용자'로 전환되었을 때 활성화된 개념적 자원이 소집단의 모형 구성에 기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현상 이해'의 인식론적 프레이밍을 지속적으로 공유하고, '촉진자'와 '응답자'로 위치 짓기 프레이밍을 서로 역동적으로 전환시킨 경우 학생들은 모두 동등한 인식적 권위를 갖고, 사고 질문을 통해 다양한 개념적 자원을 활성화시키며 소집단의 모형을 정교하게 발달시켰다. 이와 같은 모형 구성 과정에서 학생들의 프레이밍은 인지적 어려움의 지속과 정답 제공자 또는 사고 촉진자로서 교사의 역할 등에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생산적인 모형 구성 활동을 지원하는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위치 짓기 프레이밍의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 House Design Method of Normative Modules adopting Hanok and Traditional Building Framing Skills

  • Park, Soo-Hoo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23-431
    • /
    • 2018
  • In this paper, we try to verify a normative module based house design procedure consisted of several sequential steps. The first step is to suggest formalization of designing so that we could clarify each phase and operation we are adopting in our design process. The second step is the clearing up the conceptual schema of traditional skills that we adopt and utilize from traditional Hanok framing techniques. The third step is to formulate adequate modular kits for the assembly of house design solutions for the schematic, conceptual and preliminary phases of designing. The fourth step is to implementing our ideas and methods to a proper computational platform such as Unity3D. The final step is to verify our symbolic descriptions of design formalization with the output of our experiments so that we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design reasoning characteristics such as in house design.

When Diplomats Go MAD: How the Crisis Framing of Ministries of Foreign Affairs Results in Mutually Assured Delegitimization

  • Manor, Ilan
    • Journal of Public Diplomacy
    • /
    • 제1권2호
    • /
    • pp.75-116
    • /
    • 2021
  • This study argues that scholars lack an adequate conceptualization of the strategic use of social media framing by Ministries of Foreign Affairs (MFAs) during crises. As a theoretical starting point, this article employs the concept of soft disempowerment to suggest that MFAs may use online framing to limit an adversary's range of possible actions during a crisis by depicting that adversary as violating norms and values deemed desirable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ext, the article introduces the concept of mutually assured delegitimization (MAD), which suggests that actors may call into question one another's adherence with certain norms and values during crises, which results in the mutual depletion of soft power resources. Importantly, this article proposes a novel, methodological approach for the analysis of individual tweets during crises. To illustrate its methodological and conceptual innovations, the study analyzes tweets published by the MFAs of the United States (US) and Russia during the Crimea crisis and demonstrates that both MFAs used Twitter to negatively frame each other by calling their morals into question, which resulted in MAD.

소집단 논변 활동 후 전체 논의에서 이루어진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과 인식론적 프레이밍 탐색 (Exploring the Teachers'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and Epistemological Framing in Whole Class Discussion After Small Group Argumentation Activity)

  • 하희수;이영미;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26
    • /
    • 2018
  • 본 연구는 소집단 논변 활동을 도입한 과학 수업에서 소집단 논의 후 이루어지는 교실 전체 논의에서의 반응적 교수 실행을 탐색하고, 이로부터 드러나는 교사의 인식론적 프레이밍을 파악했다. 이를 위해 교사 3명과 이 교사들이 담당한 학급의 학생들 총 84명이 본 연구에 참여했고, 자극과 반응 단원의 학습 개념을 바탕으로 설계된 논변 수업을 진행했다. 연구자들은 수업에서 이루어진 학생들의 논의를 녹화하고 교사와의 인터뷰를 실시했으며, 교사와 학생들의 담화와 인터뷰 내용을 전사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했다. 연구 결과,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은 교실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의 특성과, 논변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활용되는 개념적 또는 인식론적 자원이 누구로 부터 활성되었는지에 따라 네 가지로 구분되었다. 교사가 전체 논의를 '학생들이 논의를 통해 정답에 도달하는 활동'으로서 프레이밍한 경우에는 각 소집단의 논변을 과학 개념과의 비교하고 과학 개념을 전달했고, '적절한 개념적 자원을 이끌어내어 논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수정하는 활동'으로 프레이밍한 경우에는 각 소집단의 논변을 과학 개념으로 나아갈 수 있는 자원으로서 여기며 교사가 직접 논의에 참여하여 학생과 함께 정당화를 수정하는 반응적 실행을 보였다. 전체 논의를 '소집단의 논변을 명확히 표현하여 공유하는 활동'으로서 프레이밍한 경우에는 각 소집단의 논변을 하나의 나름대로 타당한 논변으로 보아 이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도록 지원했으며, '비판적 평가를 바탕으로 교실 전체에서 합의된 논변을 구성하는 활동'으로 프레이밍한 경우 각 소집단의 논변을 교실 전체의 합의된 논변을 구성하기 위한 자원으로 여기고 학생들 간 상호작용을 통해 논변의 비판적 검토와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중재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맥락에서 드러나는 교사의 프레이밍과 반응적 교수 실행이 지니는 의의와 제한점을 살펴보아, 현장의 상황을 고려한 논변 활동에서의 반응적 교수 전략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소집단 과학 논변 활동에서 초임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의 특징과 한계 탐색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Exploring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a Novice Teacher's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in Small Group Scientific Argumentation: Focus on Framing)

  • 김봉준;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39-753
    • /
    • 2019
  • 본 연구는 과학 논변 활동을 생산적으로 프레이밍하는 초임 과학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의 특징과 한계에 대해 프레이밍 관점에서 분석했다. 논변 수업을 해본 적이 없는 초임 교사와 2개 학급 총 52명의 중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자극과 반응 단원에서 논변 활동을 도입하였다. 학생들은 귀의 구조와 기능을 학습한 뒤, 고막이 찢어지면 들을 수 없을까에 대한 개인의 논변을 구성하고 논의를 통해 소집단 논변을 구성하는 활동에 참여하였다.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이 활발한 집단 중에서 소집단 구성원의 특징이 유사하였으나 논변 활동의 양상이 달랐던 두 소집단을 초점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의 소집단 논의 과정과 교사 면담, 학생 면담, 학생 추가 면담은 녹화·녹음 되었다. 이를 전사하여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위치 짓기 프레이밍의 관점에서 반응적 교수 실행의 특징과 한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논변 활동에서 촉진자로서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공유시킨 후, 서로 다른 의견을 합의해야 한다고 프레이밍하고 있었다. 이는 반응적 교수 실행에서 일치하게 나타났다. 교사는 소집단 과학 논변 활동에서 촉진자로서 학생 사고를 이끌어내고 탐색함으로써 학생 의견을 더욱 명료하게 제시하도록 논의를 아이디어 공유 논의로 프레이밍한 후, 서로 다른 의견의 불일치를 부각시키며 논의를 논쟁적 논의로 전환시키고자 노력하였다. 하지만 교사의 생산적인 프레이밍이 학생들의 생산적인 실행을 보장하지는 않았다. 초임교사는 학습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학생들의 추론을 정교화시킬 때 개념을 활성화시켜주는 데에 한계를 보였으며, 학생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에 주목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학생에게 반응적인 교수를 실행하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학습접근방식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유전 문제 해결 과정 분석 (Analysis of Genetics Problem-Solving Processe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Learning Approaches)

  • 이신영;변태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85-39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학습접근방식의 학생이 유전 가계도 문제 해결 과정상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여주는지 심층적으로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으로 생명과학I을 이수한 학생으로 학업성취수준은 비슷하였으나 학습접근방식이 각각 심층적 접근방식과 피상적 접근방식을 나타내었다. 각 학생의 문제 해결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문제 해결 과정은 비디오 녹화되었고, 문제 해결이 종료된 후에 학생들의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사고 구술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2가지 형질의 유전 원리가 불확실한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유사한 오류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심층적 학습접근방식의 학생 A는 자발적으로 2번 반복하여 문제를 해결하면서 3가지 제한 요인에 대해 원리 기반추론을 하며 옳은 개념적 프레이밍을 나타내었다. 검토 단계에서 자료와 본인이 그린 가계도 사이의 일치도를 점검하고, 문제 해결 이후에도 끊임없이 본인의 문제 해결 과정을 점검하였다. 마지막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는 성공적인 문제 해결 알고리즘에 근접한 문제 해결 과정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피상적 학습접근방식의 학생 B는 연구자의 권유로 비자발적으로 문제 해결 과정을 반복하였고, 답을 구하려는 목적 지향적인 문제 해결 태도로 인해 문제에서 제시한 일부 정보만을 검토하였다. 문제의 제한 요인에 대해 기억 장치 추론이나 임의적 추론을 통해서 옳지 않은 개념적 프레이밍을 하였고, 이를 수정하지 않고 유지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심층적 접근방식과 피상적 접근방식의 학생이 문제 해결 과정에서 추론 방식과 개념적 프레이밍의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유전 문제의 접근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이나 이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Design for Story-making: Conceptual Exploration on Emotionally Sustainable Design

  • Hong, Min-Jung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1-150
    • /
    • 2008
  • Exploring on two major questions: 'Why do we feel more love for certain objects?' and 'How can design use this knowledge to realize design sustainability?', this article presents an alternative way of approaching the problem of design sustainability from the perspective that our relationships with design objects are of an extended mode of social relations. Recent discussions on design sustainability have transformed the notion of the problem by seeing it as a problem of our basic perception of design objects and our relationships with them. In this light, I propose that design sustainability could not be achieved solely by approaching from a mechanistic perspective, but by re-framing the way we see and relate things around us and by supporting our changes and actions to move forward a more sustainable notion of our relationships with the objects. As a way to realize design sustainability, I propose that design should involve story-making quality that supports our initiatives to build more affectional relations with objects by seeing the objects as entities of communication that tell stories of us, thus reflect our identities and meanings of our lives. Proceeding on the exploration of the subject, I present some of conceptual outlines in forms of an image diary, an interplay-able furniture unit, and a performance instruction that suggest a way for a special story-making process and thus a stronger emotional tie with the objects.

  • PDF

Human Visual Intelligence and the New Territory of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RHA, Ilju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8권1호
    • /
    • pp.1-16
    • /
    • 2007
  • The general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icate what can be researched in our field based on the new understanding on the ability of human visual intelligence. To follow this aim, three key discussions were followed. The first is to explain why the human visual intelligence research is so important in our field and how it was neglected. The basic orientations of the research questions used in its framing and in answering are reviewed. After reviewing traditional research orientations, as the second discussion, alternative, more useful perspective for thinking about human visual intelligence is suggested. And the possibility of contribution for the future research in general is discussed. In doing so, human visual intelligence was defined in rather practically oriented ways rather than theoretically oriented ones. More practical perspectives were suggested. The third discussion is to show how to use the alternative perspectives of human visual intelligence in the areas of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It was hoped that the article lays out conceptual groundwork for generation of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frameworks which can be used for the research conduct, reproduction and sharing by adopting practically oriented views on human visual intelligence as a new territory of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초등학교 $3{\sim}4$학년 차세대 과학 교과서 체제 개발 연구 (Developing an Innovative Framework of Grade $3{\sim}4$ Science Textbooks)

  • 임채성;윤혜경;장명덕;임희준;신동훈;김미정;박헌우;이인선;권치순;이대형;김남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580-595
    • /
    • 2007
  • To respond to the announcement of the revised version of science curriculum early this year, it has been necessary to develop new science textbooks which can be appropriate and effective to achieve the goals of the revised curriculum. The system of new textbooks needs to embrace the concerns of cognitive development in scientific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demands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o develop an innovative framework of science textbooks, we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textbook analysis in Korea and analyzed science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Singapore, and Japan. We analyzed various ways of introducing and developing conceptual knowledge, leading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process, enhancing scientific attitudes toward science, technology, society and the environment in those science textbooks. In the process of framing the structures of textbooks, we focused on ways of increasing educational effects of visualized texts, leaners' interest, user-friendly procedure, scientific inquiry, effectiveness of hands-on activities, scientific reading and writing skills, and usage of workbook. Based on those aspects and analyses of textbooks, we attempted to propose a feasible framework of Grade $3{\sim}4$ Science textbook which can effectively respond to the educational changes and demands in the local and global society.

  • PDF

개격현저대소비자감지화구매의도적영향(价格显著对消费者感知和购买意图的影响) (The Effects of Price Salience on Consumer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s)

  • Martin-Consuegea, David;Millan, Angel;Diaz, Estrella;Ko, Eun-Ju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149-163
    • /
    • 2010
  • 以前的研究已经表明零售价格促销改变消费者的购买行为以及零售商频繁的使用价格促销. 为了持续的从消费者身上获得利益, 零售商会采用几种价格促销方式. 例如, 零售商采用绝 对的降低价格($,€), 百分比价格, 或两种方法的结合(Della Bitta et al. 1981). 采用不同的价格促销类似于购买决定的形成(Monroe 1990). 框架效应是指一个问题两种在逻辑意义上相似的说法却导致了不同的决策判断(Frisch 1993). 因此, 如何陈述促销会影响消费者的交易评价并提高销售量. 事实上, 大量的营销研究已经证实了价格陈述对交易感知的影响(Lichtenstein and Bearden 1989; Urbany et al. 1988; Yadav and Monroe 1993). 从这个意义上说, 很多的营销研究已经论证了交易感知同样由消费者准确的计算折扣和最终价格的水平决定的(Estelami 2003a; Morwitz et al. 1998). 所以营销者能够通过提高计算的准确性来提高消费者对折扣的反应. 最后, 由于整体的计算误差导致低估了折扣(Kim and Kramer 2006), 消费者更容易在深度分析价格信息之后领会打折的报价,使他们能更准确地评估价格折扣. 本研究的目的是测试不同的折扣价格对消费者价格感知的影响. 更准确的来说, 本研究的目的是探索如何不同的执行相同的价格促销(语义和视觉凸显), 从而影响消费者对促销的感知和他们的购买决定. 我们的分析聚焦于价格陈述对评估, 购买意图和储蓄感知的影响. 为了验证提出的假设, 本文用实验性分析来分析几个折扣陈述. 从这个意义上来说, 我们采用一个2(数值显著陈述: 绝对和相对)x 2(语言显著陈述: 新颖的和传统的)x 2(视觉显著: 红色和蓝色)的设计来探索折扣陈述对三个因变量的影响: 评估, 购买意图和储蓄感知. 我们向受访者提供一个假设的广告, 受访者被告知报价的情况并需要对此评估. 一旦样本完成对广告的评估, 他们需要回答一份与价格显著和依赖纬度的问卷. 然后, 进行操作来确保受访者记得他们被对待的情况. 接着, 我们用一个2x2x2的多变量方差分析和随访单变量的测试来证实研究假设并检测单因子(价格显著)对评估, 购买意图和储蓄感知的影响. 结果表明, 语义和视觉显著的陈述对评估, 购买意图和储蓄感知有显著的主要影响和相互作用. 数值显著的作用显著影响评估和购买意图. 另外, 语言显著主要影响储蓄并作用与评估和购买意图. 最后, 视觉显著的相互作用对评估有显著影响. 本研究的结果的实践启示包括公司在计划基于用折扣来吸引消费者主义的促销时需要考虑. 因为价格陈述对消费者感知有重要的影响, 所以零售商应该考虑那种影响是想要的从而设计有效的折扣陈述. 特别是, 零售商应该用一种使得最终价格计算容易的传统方式来陈述折扣. 这是如此重要的调查方式使得营销者可以提高消费者心算的准确性来提高消费者对价格折扣的反应. 这个有关价格陈述对消费者反之和购买意图的影响的初步研究为未来的研究开启了方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