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utagenicity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소금의 보돌연변이 및 암세포성장억제 효과 (Effects of Different Kinds of Salt in the Comutagenicity and Growth of Cancer Cells)

  • 조흔;김소희;재영제;김소영;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6-32
    • /
    • 2012
  • 국내산 정제염, 천일염과 유럽산 천일염 등의 SEM에서의 형태, 무기질 성분, 보돌연변이와 암세포 in vitro 항암 기능성을 측정하였다. 정제염은 SEM을 이용한 관찰 시 구조가 규칙적이었고 천일염은 불규칙한 표면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천일염의 크기도 차이가 있었고 프랑스 천일염과 한국천일염I은 다른 천일염보다 크기가 작았다. 무기질 함량은 프랑스 천일염과 한국 천일염I이 Ca, K, Mg 등의 함량이 다른 소금보다 더 많았다. pH도 프랑스 천일염과 한국 천일염I이 가장 높았다. 한국산 두 가지의 천일염은 무기질 함량에 따라 물리적 특성의 차이를 보였고 한국 천일염I은 프랑스 천일염과 비슷한 무기질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소금은 보돌연변이 효과가 있었지만 특히 무기질 함량이 높았던 프랑스 천일염과 한국산 천일염I은 다른 소금보다 낮은 보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HCT-116과 AGS 암세포에 대한 in vitro 항암 효과에서도 보돌연변이 효과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많은 무기질을 함유한 프랑스 천일염과 한국산 천일염I의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와 암세포의 apoptosis 유도 효과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소금의 기능성은 무기질 함량이 많은 천일염이 정제염보다 좋으며 천일염 중에도 Ca, K 등의 무기질 함량이 높을수록 기능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면활성제가 돌연변이원성 물질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ynthetic Surfactants on the Activity of Mutagens)

  • 최윤호;정용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7권3_4호
    • /
    • pp.69-79
    • /
    • 1992
  • Recently, concerns of water pollution and health risks caused by synthetic detergents have emerged, as the use of various detergents has increased It has been suggested that some surfactants are cocarcinogens. The surfactants tested were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sodium lauryl sulfate,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 (tween 80), and the mutagens were 1-nitropyrene, N -methyl- N'-nitro-N -nitrosoguanidine, benzo (a) pyrene, and aflatoxin B$_1$.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rfactants on the activity of mytagens using the Ames mutagenic assay with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urfactants have no mutagenic activity of themselves. 2. Higher doses of surfactants than 100 $\mu\textrm{g}$/plate reduced the number of revertants. It is assumed that the reduction would inhibited cell growth. 3. When the comutagenic ratio is defined as the ratio between mutagenic activity itself and the activity with mutagen and surfactant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LAS showed the comutagenic ratio 0.86-1.17 and SLS 0.74-1.10 as well. According to the comparisons, it could not be recognised for the comutagenicity of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of surfactant. 4. As increasing the amount of mutagens, the designated amount of surfactant did not affected the mutagen's activity statistically. From the above result, syunthetic surfactants do not present mutagenicity and comutagenicity in the microbial assay.

  • PDF

메밀 Flavonoids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지질대사 조절기능에 관한 연구 -메밀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연구- (Studies on Antimutagenic and Lipotropic Action of Flavonoids of Buckwheats -Desmutagenic Activity of Buckwheat Leaf Extracts)

  • 함승시;최근표;최용순;이상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98-703
    • /
    • 1994
  • In spore rec-assay using B. subtillus H17(rec) and M 45(rec) , the ethanol extract of buckwheat leaves showed antimutagenicity in condition of low concentrations, but its did comutagenicity in condition of high concentrations. In Ames test, the ethanol extract of buckwheat leaves reduced the mtabenicity of N-methyl-N' -nitro-N-nitrosoguaidine (MNNG), benzo (a) pyrene(B($\alpha$)P), 2-amino-fluorene(2AF), and 3-amino -1, 4-dime-thyl-5-H-pyrido(4, 3-b) indol(Trp-P-1) i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The ethanol extract was fractionated by hexane, ethylacetate, butanol and water. Among Them hexan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rate on the mutagenicity of B($\alpha$)P, and so did chloroform fraction on the mutagenicity of MNNG in S. typhimurium Ta98 and TA100. To elucidate the antimutagenic mechanism of the ethanol extract, it was mixed and co-incubated with various metagens, S9 mix, and the bacteria with different experimental orders and different reaction times. The ethanol extract did not affect reversion rate of pre-mutated. S.typhimurium. However, when the ethanol extract was added to the mutagens before their interaction with S.typhimurium , it reduced the mutation rate to 152$\pm$12-273$\pm$18 colonies/plates in case of MNNG, and 135$\pm$13-195$\pm$10 colonies/ plates in case of B($\alpha$)P), showing strong desmutagenic activity.

  • PDF

Salmonella assay system에서 고춧가루에 의한 Alfatoxin $B_1$의 돌연변이유발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Aflatoxin $B_1$ Mediated Mutagenicity by Red Pepper Powder in the Salmonella Assay System.)

  • 박건영;김소희;서명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6-161
    • /
    • 1991
  • 고추가루의 돌연변이유발, 보돌연변이 및 항돌연변이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매운맛의 재래종과 덜 매운맛의 교배종을 극성이 다른 용매로 3분획한 것과 고추의 주요한 매운 성분으로 알려진 capsaicin을 Ames mutagenicity test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고추가루 추출획분들을 모두 direct한 돌연변이유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MNNG가 존재할 때의 보돌연변이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이들은 rat S9이 존재할 때의 indirect한 mutagenicity도 일으키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고추가루의 주요 매운 성분인 capsaicin도 Aroclor 1254, phenobarbital로 induce시킨 rat S9과 Aroclor 1254로 induce시킨 hamster S9 등의 activation system을 이용하여도 돌연변이유발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고추가루 추출획분들은 TA100 strain에서 모두 aflatoxin $B_1$의 mutagencity를 오히려 억제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 효과는 고추가루의 첫번째 획분(1st fraction)이 가장 컸었다.

  • PDF

칼륨죽염의 in vitro 항암 기능성 증진 효과 (Increased in vitro Anticancer Effects of Potassium Bamboo Salt)

  • 조흔;정지강;김소영;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248-1252
    • /
    • 2012
  • 칼륨을 첨가하여 제조한 죽염의 항암효과를 일반죽염 및 천일염, 정제염과 비교하여 칼륨 첨가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칼륨죽염과 죽염의 radical 소거능이 높았고, 칼륨죽염의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제염과 천일염의 소거능은 상대적으로 낮았고 칼륨죽염과 20배 이상의 차이가 있었다. MNNG를 사용한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돌연변이 실험결과 소금은 모두 보돌연변이 효과가 있었지만, 칼륨죽염의 보돌연변이 효과가 다른 소금보다 3~46% 낮게 나타났다. HCT-116 암세포에 성장 억제 효과에 있어서도 위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칼륨죽염과 일반죽염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와 암세포의 apoptosis 유도 효과가 천일염 및 정제염에 비해 높았고 그중 칼륨죽염의 in vitro 항암 기능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죽염의 항암효과는 천일염이 정제염보다 좋으며, 이러한 죽염의 항암효과를 칼륨을 첨가함으로써 더욱 증진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죽염의 항암 기능성이 증가한 주요 원인은 칼륨이라고 생각되어지며, 이것이 죽염으로 제조될 때 그 효과가 더 증진되는 것으로 보인다.

멸치젓갈추출물이 돌연변이 유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Anchovy Extracts on the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Induced Mutagenicities)

  • 정근옥;강갑석;박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426-1432
    • /
    • 2000
  • Ames 실험계에서 소금에 절인 생멸치는 생멸치보다 돌연변이유발성이 높았고, 잘 숙성된 멸치액젓(12개월)은 6개월된 멸치젓갈보다 낮은 보돌연변이성을 나타내었다. MNNG에 의한 돌연변이 실험에서 12개월간 발효시킨 멸치액젓 2.5 mg에 함유된 천일염 1.4 mg과 histidine $8\;{\mu}g$은 12개월간 발효시킨 멸치액젓보다 2배 이상 높은 보돌연변이성을 보였다. 따라서 histidine의 함량이 높은 멸치젓갈의 안전성을 Ames test로 판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SOS 실험계에서 생멸치, 소금에 절인 생멸치와 발효된 멸치젓갈 자체는 돌연변이유발성이 없었고, 오히려 12개월된 젓갈은 6개월 된 젓갈보다 높은 항돌연변이성을 보였다. 따라서 멸치젓갈 제조시 멸치에 소금이 첨가되어(생젓갈) 돌연변이 유발이 일어날 수 있지만 숙성기간이 길어지면(12개월, 익은 젓갈) 항돌연변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