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3초

CAI를 위한 저작 시스템의 설계 (A Design of Authoring System for CAI)

  • 고대곤;박상희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39권8호
    • /
    • pp.875-887
    • /
    • 1990
  • It is hard to keep good quality of coursewares for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CAI), since most CAI coursewares have been developed by programmers rather than by instruction designers. Also, there is no trasplantations among authoring system.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uthoring system for CAI to overcom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is assured experimentally and then good results are shown compared with other systems.

  • PDF

아동의 컴퓨터 선개념이 컴퓨터 보조 과학 수업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puter Assisted Science Instruction on Children's Preconceptions about Computer)

  • 정진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0-246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uter-naive children's preconceptions of computer concept, anxieties for computer, the changes in preconceptions and anxieties by computer literacy teaching, and the effect of CASI(Computer Assisted Science Instruction) on the science achievement. For this study, 42 5th graders were sample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male:10, female:11) and control group(male:12, female:9). Each group was randomly assigned in the elementary school. Preconceptions about computer were examined by individual interview. Computer anxiety score was measured by questionaires. The questionaires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total 21 items measured by Chronbach ${\alpha}$ (0.93) and Total Item Correlationtp(p=0.01, r = $0.40{\sim}0.72$). Computer literacy curriculum based on children's preconceptions was developed and then was treated for experimental group as a computer literacy course. Preconceptions of computer, computer anxiety, and CASI achievements were compar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pre and post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hildren's preconceptions of computer showed various non-scientific concepts as animism and obvious visiual thinking. 2) children's misconceptions and anxieties about comput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learning experience of computer. 3) computer literacy had an effect on eliminating children's misconception about computer. 4) computer literacy had an effect on diminishing children's computer anxiety. 5) children's misconceptions and anxieties about computer showed significant inter-correlation. 6) children's misconceptions and anxieties about computer were appeared negative effect on CASI achievements. As the results, children's misconception and anxieties about computer had an effect on CASI acheivements. Therefore before performing CASI, more systematic computer literacy might be taught in formal education.

  • PDF

컴퓨터 보조 수업 (CAI)의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중학교 가정과 디자인의 선택 단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arning Effect of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 in the Home Economics Class of Middle School)

  • 윤지현;신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3-152
    • /
    • 199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learning effects of CAI and traditional instruction method in the Home Economics class of middle school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learning effect between CAI group and traditional instruction group according to ability level.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1.$\circled1$As a result of the post test, CAI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academic achievement than those of traditional instruction group(p<.05). $\circled2$As a result of the retention test, CAI group showed higher scores than those of traditional instruction group, but statistically the difference is not so significant. 2. $\circled1$Higher group in pre-test score of CAI group showed higher scores in post-test and retention test than those of traditional instruction group, but statistically the difference is not so significant. $\circled2$Lower group in pretest score of CAI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ademic achievements than those of traditional instruction group(p<.05). $\circled3$Higher group in IQ test score of CAI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ly higher academic achievements than those of traditional instruction group. $\circled4$Lower group in IQ test score of CAI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ademic achievements than those of traditional instruction group(p<.05)

  • PDF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서 CAI의 효과성 연구- 화학 평형 단원을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CAl on Achievement and Attitudes in High School Chemistry- in Chemical Equilibrium -)

  • 성숙경;김주래;한인옥;이진승;정대홍;서정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03-312
    • /
    • 1998
  • 본 연구는 화학 평형 단원에 대한 멀티미디어 CAl를 제작하고, 고등학교 화학수업에 적용하여 성취도와 태도 면에서 전통적 수업과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업처치 전에 화학수업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 검사를 하였고, 중간고사 성적을 공변인으로, 중간고사의 과학성적을 구획변인으로 사용하였다. 화학 평형 단원을 대상으로 각각 전통적인 수업과 CAl를 수행한 후에 성취도 검사와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화학수업을 받은 학생은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학생에 비하여 성취도는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으나, 태도의 향상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학습자의 사전 성취수준과 수업처치와의 상호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성별로 분석해 보니 여학생은 CAl에 의해 성취도가 향상되었으나, 남학생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해와 적용의 하위범주 중 적용문제 영역에서 CAl에 의한 성취도의 향상이 있었으며, 화학 평형의 법칙, 화학 평형의 개념, 평형 이동의 적용 세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화학 평형의 개념에서 성취도의 향상이 가장 컸다. CAl가 컴퓨터에 대한 태도와 화학수업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지 않았으며, 남학생은 CAl에 의해 화학수업에 대한 태도와 컴퓨터에 대한 태도 모두 긍정적으로 변했으나 여학생은 그렇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 PDF

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컴퓨터 보조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Program for the Graphing of mathematical Functions - Focusing on the graphing of quadratic functions -)

  • 김승동;김현종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67-7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models of CAI programs for the graphing of quadratic func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I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educations computer programing, and theoretical approaches of CAI. The CAI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my research was then positively applied to the mathematics education class in a middle school. First of all, I selected two classes -An experimental class and a comparative class. The experimental class was taught using the CAI program and the comparative class was taught by conventional methods of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lass taught by using the CAI program scor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class taught by conventional methods of instruction. 2. The analysis of the two classes' academic scores shows that the instruction using CAI program is more effective than that by conventional methods in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followings are suggestion for developing CAI programs and students' understanding through this study. 1. Non computer specialists will require a few months to develope an effect CAI program. Thus, development of easier, more clearly defined and flexible models must be constructed. 2. Teachers should be eager to use pre-existing models to motivate their students irregardless of their own development of programs. 3. School should provide computer rooms with a perfect net work in proportion to class size. 4. CAI programs can make students understand faster and more directly than blackboard examples. However, inconsideration of mathematical characteristics, arithmetic by hand is more effective for the students' memory retention. Computers is an effective tool of instruction. But it is most effective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other methods that complement its use.

  • PDF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의 발전경향 연구 - 미국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ing Trends of Bibliographic Instruction of University Library)

  • 김병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37-152
    • /
    • 1998
  • 오늘날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은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방법으로 실시되어야 하고 강화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은 참고봉사의 일환으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지도 어느덧 4반세기가 지나고 있으나 초보적인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한편 미국에서는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이 시작된것은 18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 성숙기에 머무르고 있다. 미국의 대학도서관이 오늘날의 성숙된 이용교육 현장에 이르기까지의 발자취를 역사적으로 고찰하여 그 발전경향을 파악하였다. 미국 대학도서관 이용교육 발전과정을 다섯기로 구분한다. 제1기 태동기(1800년~1900년), 제2기 개발기(1901년~1940년), 제3기 침체기(1941년~1968년). 제4기 부흥기(1969년~1980년). 제5기 미래지향기(1981년~현재)로 구분하였다. 발전과정을 고찰하여 파악된 결과들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을 위한 CAI 프로그램 개발연구 -도형의 이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for the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 Focused on the movement of figure -)

  • 허종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219-229
    • /
    • 1999
  • Nowadays the use of computer has a tendency to be being increased in classroom. Also, Many mathematics teachers are attempting to use computer efficiently in classroom. Computer has unique functions such as graphic, animation, and error correction. As graphic and animation can make the content of mathematics visible and make it easy for learners to study mathematics, it is desirable to develop the computer educational program and use it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Especially, before concepts study on the unit of Figure or Function, the use of graphic or animation is efficient by being able to understand easily the conten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duce the computer program on the Movement of Figure in the unit of Equation of Figure which is in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by use of this program, the educational effects are expected as follows: 1.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will stimulate the interest of learners by using animation and acoustic (sound) effect and so learners' voluntary and active thinking activity will be shown. 2. It will be helpful to form exact concept becaus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intuitively the basic concepts on the Movement of Figure by using graphic and animation. 3. It is expected that the repeated study of this program already designed will remove the fear of incomplete parts and help review them. 4. It is possible to change from teacher-centered instruction, which is the blind point of recent mathematics education, to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at using the educational engineering (computer) in mathematics education cannot always cause learners to study mathematics very well and that computer cannot take the place of mathematics teacher. Accordingly, computer will be treated as aids which help learners study difficult part.

  • PDF

과학 학습을 위한 개별적인 CAI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과 개념 이해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Cognitive .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from Individual CAl for Science Learning)

  • 노태희;김경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28-735
    • /
    • 2005
  • 이 연구는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과 컴퓨터 보조 수업을 한 후의 개념 이해도와 관계를 조사하였다. 장의존-장독립성,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시각적 학습 선호도, 성취 목적,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에게 컴퓨터 보조 수업을 실시한 후에 '분자의 운동'에 관한 개념 검사를 하였다.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는 인지적 특성들 중에서 장의존-장독립성,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정의적 특성 중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도, 성취 목적,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과 CAl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개념 이해에 관한 인지적 특성들의 중다 회귀 분석 결과, 장의존-장독립성은 가장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자기 조절 능력과 심층적 학습 전략도 유의미한 예언 변인 이었다. 정의적 특성들에 관한 분석 결과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도,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통신망기반 소집단 협동학습의 실천적 전략탐색 (Exploration on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Network-Assisted Cooperative Learning)

  • 최성희;전영국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1-41
    • /
    • 2000
  • 소집단협동학습은 학습자가 지식의 습득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으로 학업 성취와 함께 상호작용 기술의 습득, 학습의 동기유발, 나아가 창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교수-학습법이다. 정보의 급증과 함께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현 시점에서 교육현장에서 시행되는 협동학습은 더욱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교수매체로서 통신망의 도입은 기존에 교실에서 수행되어온 소집단 협동학습에 새로운 조명을 가져온다. 그러나 통신망이 협동학습을 도와줄 수 있다는 교육적 기대에도 불구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 및 전략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 협동학습에 유용한 통신망의 특성을 기반으로 기존의 협동학습 모형을 고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교실 수업에서 교수-학습의 도구로서 통신망기반 소집단 협동학습의 실천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Client/Server 모델을 이용한 E-Learning 시스템의 네트워크 엔진 구현 (Implementing a Network Engine of E-Learning System Using Client/Server Model)

  • 임재우;이진영;최종근;박성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하)
    • /
    • pp.735-740
    • /
    • 2002
  • 컴퓨터 보급이 크게 증가하면서 모든 분야에 있어 그 활용성을 더해 가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로 인해 CAI(Computer Assisted Instruction)분야에 커다란 진전이 있었다. 최근 들어 멀티미디어 기술 및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되고 확산됨에 따라 같은 시간, 다른 장소에서의 E-Learning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것이 바로 Live E-Learning System이다. 이렇게 실시간으로 화상회의나, 강의가 이루어지는 E-Learning System에서 과연 어떻게 E-Learning System을 구축하고, 동작하는지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ive E-Learning 시스템에서의 효과적인 네트워크 엔진 구현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