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rehensive EIA law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환경영향평가법(環境影響評價法)의 체계정립(體系定立)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the Legal Framework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s)

  • 정연만
    • 환경영향평가
    • /
    • 제10권3호
    • /
    • pp.195-209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pose plans for reform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systems by reviewing the current legal systems of EIA related laws and their implementation status in Korea, and by comparing the Korean situation to EIA systems in several foreign countries. This study tried to integrate all EIA related systems scattered over several laws into one comprehensive EIA law, and also to develop legal procedures necessary to accomplish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integrated EIA law. Therefore, I propose four reforms (1) All EIA systems should be integrated into one comprehensive EIA act. (2) Administrative plans and policies, though environmentally harmful, which are not currently subject to any prior consultation system, should be covered by the prior consultation system. (3) A screening or scoping should be adopted. (4) Widen civil participation should be encouraged and the administrative control enforcement and introduction of group litigation or citizen suits would be considered.

  • PDF

한국에서의 매립지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the Waste Landfill Site in the Republic of Korea)

  • 이무춘
    • 환경영향평가
    • /
    • 제4권3호
    • /
    • pp.49-54
    • /
    • 1995
  • Most of the solid waste has been land-filed as an ultimate disposal method in Korea, with might induce many environmental problems by generating odor, particulates and leachate. The landfill site should be considered as a kind of pleasant facility to neighboring residents. Currently, for a landfill site, while the environmental law requires to perform the EIA before the planning. EIA has been performed after the selection of the landfill-site. That might be controversal to the purpose of doing EIA. In this study, the weakness of the EIA for the landfill-site was analysed and was suggested for comprehensive EIA in Korea as well.

  • PDF

국가 하천환경관리 체계의 검토와 고찰 (Review and Discussion on Policy and Legal System for River Environments Management in Korea)

  • 전승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6호
    • /
    • pp.431-444
    • /
    • 2017
  • 본 연구는 국가 하천환경의 관리를 위한 법제도적 체계와 정책 추진과정에서 적용하고 있는 하천환경평가체계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 제안된 하천환경의 평가분야와 지표의 타당성을 논의함과 동시에 현행 국가정책과의 연계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국가의 하천환경관리체계는 국토교통부와 환경부로 이원화된 법제도적 체계 속에서 독립적인 위상의 확보가 용이치 않은 가운데 핵심적 사항이라 할 수 있는 국가표준의 하천환경평가체계도 구축되어있지 못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수자원과 수질, 하천환경과 수생태계의 관리측면에서 관련 상위 및 하위의 계획 간 또는 각 계획 내통합적 접근이 매우 미흡할 뿐 만 아니라 하천환경의 현황조사 및 종합분석과 평가에 따른 계획 설계 과정의 일관성과 실효성 역시 확보되어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하천환경관리체계의 통합적 접근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국가계획간 위계의 정립과 연계성 확보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또한 우리나라 하천환경의 제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된 하천환경평가체계는 기존 평가기법과의 정합성 및 연계성을 바탕으로 시급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하천환경자연도와 하천친수도를 평가하는 하천환경평가체계는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에 적합한 하천유역 평가법과 하천기본계획에 적합한 하천수계 평가법으로 구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 관리체계 개선방안 고찰 - 미국, 일본, 유럽의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질 관리제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Improvement of Effluent Water Qualities for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Korea)

  • 정동환;최인철;조양석;정현미;권오상;유순주;염익태;손대희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4호
    • /
    • pp.296-314
    • /
    • 2014
  • 우리나라의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질기준을 마련하는데 있어 기준설정 근거를 명확히 하는 것과 하수처리시설의 운영조사를 근거로 적정성 여부를 검토할 수 있는 종합적인 기준설정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미국은 연방정부가 POTW에 대한 최소한의 항목과 기준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지방정부는 국가 가이드라인과 동일하거나 주별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엄격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하수도법상 방류수 수질기준에서 하수처리시설 구조 기술상의 기준을 만족하여야 하고 방류수 수질기준과 공공수역으로의 배수기준을 동시에 적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세부항목 및 기준은 지자체 조례로 규정하고 있다. 유럽의 경우 하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질기준은 공공수역에 대한 부영양화의 민감성에 따라 수질기준 항목을 차등하여 적용하고, 수계로 배출되는 오염물질 부하량에 따라 수질기준을 차등하여 적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질기준 설정 시 미국 국가오염물질배출삭감제도 또는 유럽 통합환경관리제도에서와 같이 통계적 평균값 및 처리효율 또는 최적처리기술을 적용한 방류수 수질기준을 설정하는 체계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