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nent ratio of superplasticize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고성능감수제 구성비율에 따른 고유동콘크리트의 유동특성 (The Fluidity of High Flowing Concrete According to the Component Ratio of Superplasticizer)

  • 김무한;김용로;김재환;장종호;이태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47-154
    • /
    • 2004
  • 국내의 경우 건설생산현장에서 고유동콘크리트의 제조시 주로 나프탈렌계 및 멜라민계가 적용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콘크리트의 요구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러한 두 성분을 혼합하여 적용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유동콘크리트의 유동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고성능감수제의 구성비율을 비교$\cdot$분석함으로서 혼합형 고성능감수제의 현장적용시 적용방법 및 품질기준 확립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고성능감수제를 분산제의 구성비율에 따라 N, NM, MN, M의 4수준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고성능감수제 구성비율에 따른 페이스트의 유동특성은 나프탈렌의 구성비율이 증가할수록 상대플로우면적비 및 흡착률이 증가하고 있어 유동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멜라민 구성비율이 증가할수록 점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프탈렌-멜라민 혼합형 고성능감수제의 경우 유동성 및 간극통과성을 포함한 고유동 특성과 응결시간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어 고유동콘크리트 제조시 고성능감수제를 구성하는 주요성분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서 고성능감수제의 효율적인 성능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CSA 팽창재를 사용한 무수축 고강도 콘크리트 현장적용 (A field Application of Non-shrinkage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CSA Expansive Additive)

  • 조일호;양재성;김진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학회창립 10주년 기념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7-80
    • /
    • 1999
  • Before the field applications, several basic laboratory test were the characteristics of workability and strength of the concrete containing CSA expansive additive. As a result,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CSA expansive additive show similar workability and compressive to that of plain concrete, the optimum replacement ratio of them to plain concrete were obtained for CSA expansive additive 10%. On the other han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use of CSA component is effective to prevent shrinkage crack reducing concrete using superplasticizer and to achive volume stability of concrete structure.

  • PDF

다성분계 고유동 모르타르의 특성 (The Properties of Multi-Component Blended High Fluidity Mortar)

  • 김태완;강충현;배주룡;김인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24-132
    • /
    • 2018
  • 본 연구는 다성분계 고유동 모르타르의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고로슬래그 미분말(GGBFS),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 그리고 초속경시멘트(URSC)를 혼합한 결합재이다. GGBFS는 OPC 질량에 대해 30%(P7 series), 50%(P5 series) 그리고 70%(P3 series)치환하였고, CSA와 URSC는 10%와 20%를 치환하였다. 혼화제는 폴리카르복실계를 사용하였다. 모든 배합의 물-결합재 비(w/b)는 0.35로 일정하다. 실험은 미니슬럼프, V-funnel, 압축강도 그리고 건조수축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CSA와 URSC의 치환율이 증가하면 혼화제 사용량, V-funnel 시간 그리고 압축강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응결시간과 건조수축은 CSA와 URSC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CSA는 건조수축을 감소시키지만 URSC는 효과가 미미하다. CSA와 URSC를 혼합한 결합제는 상호보완 작용에 의해 건조수축 감소 효과가 컸다. 이는 URSC의 초기강도 향상효과와 CSA의 팽창과 장기강도 향상효과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