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letion pneumonectomy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6초

Completion pneumonectomy의 임상적 고찰;11례 임상보고 (Clinical analysis of completion pneumonectomy; report of 11 cases)

  • 허용;박재홍;문준호;차경태;안욱수;김병열;이정호;유회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11호
    • /
    • pp.851-855
    • /
    • 1993
  • Among elevn consecutive cases having undergone Completion Pueumonectomy[CP]between 1958 and Aug. 1993 at the Dep.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in National Medical Center. The patient`s mean age was 43 years[range 28 yrs, to 68yrs.],& they consisted with 10 males and 1 female. The indications for CP were benign diseases in 9 cases & 2 cases of lung cancer. The me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operation & CP was 62.3 months[from 17 days to 288 months]. The several special intraoperative procedures such as intrapericardial pulmonary vesselsdivision & suture ligation, reinforcement of bronchial stumpmargin, & applied the Fibrin glue & hemostatics. The mean intra operative bleeding was 3582ml.[1500ml. to 6500ml.] The post orerative complication were developed in 5 cases[45.5%] they were empyema with BPF in 2 cases, empyema in 2 cases, & 1 case of repiratoy insufficiency which leading to death. We concluded that the C P noted high morbidity & mortality compared with ordinary first pulmonary resectional surgery. But, it will be a challenge to improved the morbidity because of increasing trend of completion pneumonectomy in a furture time.

  • PDF

개흉술후 발생한 농흉의 유인 및 외과적 치료 (Causes and surgical management of postthoracotomy empyema)

  • 고영상;김공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10호
    • /
    • pp.769-774
    • /
    • 1993
  • Thoracic empyema is defined as purulent pleural effusion or effusion with positive bacteriology. Recently, the empyema has markedly decreased by developement of antibiotics, but empyemas following thoracotomy were occasionaly reported.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985 to May,1991, 18 patients with postthoracotomy empyema have been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There were 17 males and 1 female ranged from 18 years to 67 years of age. The underlying diseases of empyema were tuberculosis [50%], lung cancer [33.3%], esophageal cancer [11.1%],and aspergillosis with tuberculosis[5.6%]. In surgical procedures causing the empyema, there were lobectomy[38.9%], pneumonectomy[22.2%], decortication[16.7%], decortication & lobectomy[11.1%], and esophagectomy [11.1%]. Etiologic organisms in the pleural fluid were Pseudomonas [27.7%], S.aureus [16.7%], mixed infection [16.7%], K.pneumonia [5.6%], M.tuberculosis [5.6%], and no isolation [27.7%]. In 6 cases with BPF, completion pneumonectomy was performed in 1 case, and open thoracostomy in 5 cases. In 12 cases without BPF, closed thoracostomy was performed in 1 case, decortication in 2 cases, decortication & open thoracostomy in 2 cases, and open thoracostomy in 7 cases. In 6 cases with BPF, the fistulas were closed in 4 cases at follow up, the other 2 cases died from pulmonary insufficiency after completion pneumonectomy and open thoracostomy,respectively. In 12 cases without BPF, the empyema cavities were filled with expanded lungs and granulation tissues, except 1 case died from sepsis.

  • PDF

The Management of Delayed Post-Pneumonectomy Broncho-Pleural Fistula and Esophago-Pleural Fistula

  • Noh, Dongsub;Park, Chang-Kw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9권2호
    • /
    • pp.138-140
    • /
    • 2016
  • Broncho-pleural fistula (BPF) and esophago-pleural fistula (EPF) after pulmonary resection are challenging to manage. BPF is controlled by irrigation and sterilization, but such therapy is not sufficient to promote closure of EPF, which usually requires surgical management. However, it is generally difficult to select an appropriate surgical method for closure of BPF and EPF. Here, we report a case of concomitant BPF and EPF after left completion pneumonectomy, in which both fistulas were closed through a right thoracotomy.

폐결핵의 후유증에 대한 전폐절제술의 장기 성적 및 위험인자 분석 (Long-Term Outcomes and Risk factor Analysis after Pneumonectomy for the Sequelae of Pulmonary Tuberculosis)

  • 김영태;김홍관;성숙환;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7호
    • /
    • pp.535-541
    • /
    • 2002
  • 배경: 폐결핵의 국내 유병율은 여전히 높고 폐결핵의 후유증에 대한 치료로 전폐절제술이 불가피한 경우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폐결핵의 후유증에 대한 치료로 시행된 전폐절제술의 합병증, 사망률 및 장기 성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1년부터 2001년까지 폐결핵의 후유증에 대해 전폐절제술 또는 흉막폐절제술을 시행받은 9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0(16~68)세였고 남녀 성비는 44 : 50 이었다. 수술적응증은 결핵성 파괴폐 80례, 주기관지 협착 10례, 두가지 병리가 혼재한 경우가 4례였다. 수술 방법은 전폐절제술 47례, 흉막폐절제술 43례, 완성전폐절제술 4례였다. 결과: 조기사망은 1례 발생하였고 사망원인은 술 후 농흉이었다. 20명의 환자에서 23례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는데, 농흉이 15례(기관지 늑막루가 확인된 경우는 7례), 창상감염이 5례, 출혈이 2례, 전폐절제술후 증후군이 1례 있었다. 술 후 합병증 중 농흉 발생의 위험인자 분석을 위해 단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술 전 농흉의 동반, 수술방법 중 흉막 폐절제술, 수술시간, 고령 등이 위험인자로 판명되었고 다변량 분석 결과 낮은 FEV1, 고령만이 위험인자로 분석되었다. 기관지늑막루 발생과 관련된 위험인자는 단변량 분석 결과 낮은 FEV1, 다변량 분석 결과 낮은 FEV1, 술 후 객담도말검사 양성 및 폐진균종의 동반 등으로 분석되었다. 조기사망 1례를 제외한 93명의 환자를 추적관찰한 결과 12례의 만기사망이 발생하였고 5년, 10년 생존율은 각각 94$\pm$3%, 87$\pm$4%였다. 결론: 폐결핵의 후유증에 대한 치료로 전폐절제술은 만족할만한 사망률로 훌륭한 장기 생존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농흉 및 기관지늑막루에 대한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에 대해 술 후 합병증 예방을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기관지 흉막루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 신형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4호
    • /
    • pp.750-757
    • /
    • 1990
  •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is an uncommon, but serious problem. Early diagnosis and adequate drainage of the empyema cavity are well established principles for the initial management of this condition and will enable patient to recover from the toxic effects of loculated pus. 37 patients of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th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1981 and 1988. The age group of fifty and sixty decades occupied 64.8%. Bacteriologic cultures of the pus were postive in 56.8%.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culture was staphylococci(42.9%). And the others were Pseudomonas(19%). Klebsiella(14.3%), and E. doli. No growth of pathologic organism was reported 43.2%. 24 patients of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were nonoperative causes : There were 10 pulmonary tuberculosis, 3 abscess, 9 ascending infection, one bronchiectasis and one tumor, respectively. The remaining 13 were occurred a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 pneumonectomy in 6, lobectomy in 4, decortication in 2, and lobectomy with segmentectomy in 1. When used as the initial mode of drainage, closed thoracostomy was performed to almost all of the patients, but 4 patients were died during this treatment. Main operations were performed except 4 died patients ; open thoracostomy in 21, open thoracostomy with myoplasty in 3, decortication in 5, decortication with resection in 3, and completion pneumonectomy in 1. Open thoracostomy was performed in 21 patients which results were favorable except one death. Permanent open thoracostomy is an old but still useful minor operation in patients with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15% (6 patients) and the causes of the death were respiratory insufficiency or sepsis, or both.

  • PDF

정중흉골절개를 통한 기관늑막루의 폐쇄술 -1례 보고- (Transsternal Approach for BPF closure -A Case Report)

  • 정원상;양수호;전순호;신성호;김영학;서정국;김경헌;이준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5호
    • /
    • pp.540-543
    • /
    • 1998
  • 본 례는 65세 남자 환자에서 전폐절제술후에 발생한 기관지 늑막루 및 농흉의 치험례로 일차적으로 만성화하게한 다음 정중흉골절개하 심낭절개로 좌 주기관지를 노출후 자동봉합기(TA 4.8-30)로 좌 주기관지를 이중 결찰 봉합하여 좌측 늑막강내의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인 기관지 늑막루를 차단한 다음, 늑막강내의 농흉을 치료함에 있어 흉강경을 이용하여 변형된 Clagett술식으로 내면을 깨끗하게 세척한 후 민감한 항생제를 이용하여 늑막강을 채우고 흉강삽관을 뽑고 그 부위를 봉합하는 방법을 시행하여 잔존 농흉강을 폐쇄하였다.

  • PDF

만성염증성 폐질환에서 전폐절제술의 임상적 평가 (Clinical Analysis of Pleuropneumonectomy for Chronic Inflammatory Lung Disease)

  • 최필조;방정희;김시호;조광조;우종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6호
    • /
    • pp.462-469
    • /
    • 2006
  • 배경: 염증성 폐질환을 위한 전폐절제술은 동반된 합병증률과 사망률로 인해 흉부외과의에게는 난제이며 늑막외전폐절제술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늑막외전폐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의 수술 성적과 합병증 등을 단순 전폐절제술을 받은 환자와 비교분석하고 이들 환자에서의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만성염증성폐질환으로 전폐절제술을 시행 받은 9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늑막외전폐적출술(A군)은 48명에서, 단순 전폐절제술(B군)은 50명에서 시행되었다. 두 군 환자의 임상적 특징, 수술 후 성적 및 합병증 등을 비교 분석하고 늑막외전폐절제술(A군)을 받은 환자에서 수술 후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수술 전, 수술 중 요인으로 나누고 이들의 유의성을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로 인한 조기 사망은 1명으로 수술 후 성인성 호흡곤란증후군(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으로 인한 경우였다. 21명(21.4%)의 환자에서 23예의 주요 수술 후 합병증을 나타내었다.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는 수술 후 출혈로 인해 재개흉이 필요했던 경우 8예, 농흉(기관지-흉막루 포함)의 발생 8예였다. A군 48명 중 14명(29.2%)의 환자에서, B군 50명 중 7명(14.0%)에서 각각 합병증을 보였다. 높은 합병증을 보인 A군의 경우, 농흉(기관지-흉막루 포함)의 발생 6예, 수술 후 출혈로 인해 재개흉이 필요했던 경우 6예로 가장 흔한 합병증이었고,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의 위험인자를 알기 위해 단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우측 전폐절제술(p=0.0022), 완성전폐절제술(p=0.023), 1,000 mL 이상의 출혈(p=0.005), 수술 중 흉강 내 오염(p=0.035) 등이 위험인자로 판명되었고, 다변량 분석에서는 수술 중 흉막강 내 오염이 되었던 경우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p=0.028). 결론: 만성 염증성 폐질환의 치료를 위한 전폐절제술은 만족할 만한 사망률과 합병증률을 보였다. 그러나 늑막외전폐절제술은 수술 술기상 고난도이며 고위험군의 수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수술 중 세심한 박리 조작으로 폐병소부위의 파열로 인한 흉막강 내의 오염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술 중의 특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Intraoperative Recurrent Laryngeal Nerve Monitoring in a Patient with Contralateral Vocal Fold Palsy

  • Na, Bub-Se;Choi, Jin-Ho;Park, In Kyu;Kim, Young Tae;Kang, Chang 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5호
    • /
    • pp.391-394
    • /
    • 2017
  • Recurrent laryngeal nerve injury can develop following cervical or thoracic surgery; however, few reports have described intraoperative recurrent laryngeal nerve monitoring. Consensus regarding the use of this technique during thoracic surgery is lacking. We used intraoperative recurrent laryngeal nerve monitoring in a patient with contralateral vocal cord paralysis who was scheduled for completion pneumonectomy. This case serves as an example of intraoperative recurrent laryngeal nerve monitoring during thoracic surgery and supports this indication for its use.

좌 상엽의 폐엽 절제 후 발생한 좌하엽의 폐 경색 치험 1례 (Pulmonary Infarction of Left Lower Lobe after Left Upper Lobe Lobectomy - 1 case report -)

  • 윤용한;강정신;홍윤주;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318-321
    • /
    • 1999
  • 폐 절제수술후 나머지 폐엽의 뒤틀림은 드문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저자들은 50세 좌상엽에 진균종을 가진 남자 환자에서 좌상엽의 폐엽 절제술 후 좌하엽의 뒤틀림(torsion)에 의한 폐경색이 발생하여 수술후 2일째 남아있는 좌하엽 절제수술을 시행하였으며 23일간의 인공호흡기 치료와 92일간의 영양공급 및 물리치료가 필요하였다. 폐엽절제술 후 남아 있는 폐의 뒤틀림에 의한 폐경색은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 \ulcorner사망률이 22%에 이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가장 중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