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tition periods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초

DEA와 SEA를 이용한 말레이시아 은행산업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Efficiency and its Determinants of Malaysian Banks: by DEA Model and SEA Model)

  • 박석강
    • 국제지역연구
    • /
    • 제16권1호
    • /
    • pp.101-122
    • /
    • 2012
  • 본고는 parametric approach인 확률적 회귀분석(SEA)을 이용하여 말레이시아 상업은행의 기술적 특성을 비용함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말레이시아의 은행재편은 경영규모의 확대에 의한 규모의 경제가 관찰되었으며 은행의 합병 및 통합에 의한 규모 확대는 경영효율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말레이시아 은행이 범위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은행시스템을 개혁하여 상업은행이 투자은행의 업무 또는 보험, 증권업무를 제공할 수 있는 은행개혁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은행개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 먼저 말레이시아의 은행은 부(-)기술진보가 관찰되었다. 먼저 은행에 의한 적극적인 설비투자가 과잉 또는 비생산적인 부분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향후 은행개혁을 진행하면서 투자를 확대하는 경우에는 화려한 점포 및 낭비적인 지출을 억제하는 것과 과잉투자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는 말레이시아는 전체적으로 은행이 비용의 효율성이 낮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금융개혁은 경영효율성 및 경영규모와 업무형태에 대한 개혁에 중점을 둬야한다.

황성신문의 '동양(東洋)'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Orient in Huangseong-Shinmun(皇城新聞))

  • 박정심
    • 한국철학논집
    • /
    • 제59호
    • /
    • pp.425-453
    • /
    • 2018
  • 이 논문은 황성신문의 '동양' 인식에 관한 분석이다. 이질적 보편성과의 만남은 전통적 가치 체계와 지배 구조를 붕괴할 만큼 강력했다. 비서양으로서의 '동양'은 중화주의의 해체 및 일본중심주의의 생성을 담지한 지리개념이었다. 황성신문은 아한은 동양의 일원으로서 중국과 일본과는 순치보거(脣齒輔車)의 정족(鼎足)관계에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 황인종인 동양 삼국은 서양 백인종의 제국주의 침략에 대항할 문명적인 지역 권역으로 보았다. 특히 문명 선진국인 일본을 동양 평화를 실현할 맹주로 용인하였다. 황성신문은 근대를 인종대결시대로 파악하고 백인종인 서양의 이문(異文)에 대항하여 동종동주동문론(同種同洲同文論)을 이론화하였다. 하지만 서양중심주의를 재생산하고자 했던 동양주의는 일본이 자국을 중심으로 지역질서를 재편하고 제국주의적 침략을 정당화하려는 수단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황성신문은 일본 중심의 연대를 통해 독립과 동양평화를 실현할 수 있다고 파악하였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침략이 본격화되었지만, 황성신문은 일본이 동종상수(同種相愛)와 인국(隣國)의 우의(友誼) 및 동양 맹주로서의 덕의(德義)를 실천하지 않는다고 비판하는데 그쳤다. 이는 황성신문이 일본의 동양주의가 제국주의 침략을 은폐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이었음을 간파하지 못한 한계를 노정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제국주의침략에 대한 통절한 자기비판 없이 반복되는 일본의 동양주의는 아시아공동체를 가로막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걸림돌이다. 자국중심주의에 대한 성찰 없이 아시아공동체를 논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본 중심의 군국적(軍國的) 동양주의와 중국의 자국 우월적 중화주의가 궁극적으로 팽창적 민족주의의 다른 이름이라면 그것은 유학적 본질인 인(仁)에 위배된다.

China Shocks to Korea's ICT Exports

  • Ko, Dong-Whan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5권4호
    • /
    • pp.146-163
    • /
    • 2021
  • Purpose - This paper examines China's impact on Korea's ICT exports considering the direct competition channel, the production shift channel, and the indirect demand channel at once. This paper also takes China's economic rebalancing into account and discusses whether it makes any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the three channels. Design/methodology - To quantify the effect of the three channels, I constructed a linear panel regression model and estimated it with various estimation methods including the system GMM. China's exports toward the same destination as Korea's exports, Korea's exports toward China, and the third countries' exports toward China respectively reflect the three channels. China's GVC indicators are included as well to evaluate the effect of further China's economic rebalancing. Since the present paper has a greater interest in the effect of China rather than the determinant of bilateral trade, a (fixed effect) panel model becomes more appropriate than the gravity model because timeinvariant variables in the gravity model, such as the distance and the language, are eliminated during the estimation process. Findings - The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at Chinese ICT exports are complementary to Korea's ICT exports in general. However, when markets are considered in subgroups, China's ICT exports could have a negative effect in the long run, especially for SITC75 and SITC76 markets, implying a possible competitive threat of China. The production shift effect turns significant during China's economic rebalancing in the markets for the advanced economies and the SITC76 product. China's indirect demand channel is also in effect significantly for the advanced economy and SITC75 commodities during China's economic rebalancing periods.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that China's transition toward upstream in the global value chain c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Korea's ICT exports, especially at the Asian market. Originality/value -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hreefold. First, it focuses on the ICT industry for which Korea increasingly depends on China and China becomes a global hub of the GVC. Second, this paper quantitatively studies three channels in a model in contrast to the literature which mostly examines those channels separately and pays less attention to the GVC aspect. Third, by utilizing relatively recent data from the period of 2001-2017, this paper discusses whether China's economic rebalancing affects the three channels.

Colony Age of Trichoderma azevedoi Alters the Profil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Ability to Suppress Sclerotinia sclerotiorum in Bean Plants

  • Lincon Rafael, da Silva;Leonardo Luis de Barros, Rodrigues;Amanda Silva, Botelho;Bruna Sartorio, de Castro;Paulo Henrique Pereira Costa, Muniz;Maria Carolina Blassioli, Moraes;Sueli Correa Marques, de Mell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1호
    • /
    • pp.39-51
    • /
    • 2023
  • Common bean (Phaseolus vulgaris 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ops in human food production. The occurrence of diseases, such as white mold,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can limit the production of this legume. The use of Trichoderma has become an important strategy in the suppression of this disea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tted by Trichoderma azevedoi CEN1241 in five different growth periods on the severity of white mold in common bean. The in vitro assays were carried out in double-plate and split-plate, and the in vivo assays, through the exposure of the mycelia of S. sclerotiorum to the VOCs of T. azevedoi CEN1241 and subsequent inoculation in bean plants. Chemical analysis by gas chromatography coupled to mass spectrometry detected 37 VOCs produced by T. azevedoi CEN1241, covering six major chemical classes. The profile of VOCs produced by T. azevedoi CEN1241 varied according to colony age and was shown to be related to the ability of the biocontrol agent to suppress S. sclerotiorum. T. azevedoi CEN1241 VOCs reduced the size of S. sclerotiorum lesions on bean fragments in vitro and reduced disease severity in a greenhouse. This study demonstrated in a more applied way that the mechanism of antibiosis through the production of volatile compounds exerted by Trichoderma can complement other mechanisms, such as parasitism and competition, thus contributing to a better efficiency in the control of white mold in bean plants.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전문대학 수업 연한 다양화에 대한 인식조사 - 보건계열학과 중심으로 (A cognitive survey on the Diversification of class year from Junior Colleges b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Focused on Health Sciences Departments)

  • 박철인;박수진;권순무;김원기;장기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86-196
    • /
    • 2018
  • 본 전문대학은 고등교육기관으로 우리나라 산업발전에 필요한 인적자원을 제공함으로서 국가경제 발전의 원동력으로서 큰 역할을 하였으나 최근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전문대학의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급변하는 환경변화 속에서 전문대학이 고등직업교육을 대표하는 기관으로서의 역할과 상호협력과 경쟁을 통한 생존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보건대학의 보건계열 중심으로 현황을 분석하고, 전문대학에 대한 정책변화와 대학에 제시하고 있는 방향성을 조사하여 전문대학 수업연한 및 학위과정 다양화 추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마련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전국 보건대학 보건계열학과에 재직 중인 교수와 산업체 종사자 636명을 2017년 5월 1일~5월 30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3년제 보건계열학과의 4년제 전환에 대해 찬성한다는 의견이 70.7%였다. 이유로는 충분한 수업연한으로 현장실습 및 인성교육을 강화할 수 있고, 동등한 학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4년제 전환 시 가장 기대되는 효과는 의료기사의 사회적 위상 향상과 대학의 교육환경개선이었으며, 4년제 전환을 위해 대학, 협회, 교육부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요구되는 전문보건의료인 양성을 위한 더 체계적이고 고도화된 직업교육체제가 필요한 상황에서 전문대학의 수업연한 조정을 통한 학위과정의 다양화를 자유롭게 열어놓아 일반대학 졸업자들과의 경쟁력을 갖추어 선진 보건의료인 양성에 적극적으로 대비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닐피복기간(被覆期間)이 잡초군락형성(雜草群落形成)에 참깨의 경합력(競合力)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Different PE Mulching Duration on the Competition Ability of Sesame Growing in Association with Various Weed Communities)

  • 이정일;강철환;권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3-41
    • /
    • 1986
  • 참깨를 5월(月)15일(日)에 적파(適播)하고 투명(透明)비닐멀칭하에서, 잡초와의 경합기간을 10일, 15일, 30일, 45일, 60일, 75일, 90일, 전생육기로 처리하고 6월(月)15일(日)에는 만파(晩播)한 후 흑색(黑色)비닐을 멀칭하여 잡초방제기간(雜草防除期間)을 10일(日), 15일(日), 30일(日), 45일(日), 60일(日) 또는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으로하여 참깨와 잡초(雜草)와의 경합양상(競合樣相)과 참깨의 감수(減收)를 적게할 수 있는 최소방제기간(最少防除期間)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본(本) 시험포장(試驗圃場)의 우점잡초(優占雜草)는 쇠비름, 바랭이이었고, 깨풀, 방동산이, 벼룩이자리, 황새냉이, 석류풀, 민바랭이 등(等)이 발생하였다. 2. 적기파종(適期播種)에서는 생육초기(生育初期)(파종후(播種後) 30일(日)) 광엽잡초수(廣葉雜草數)가 화본과잡초수(禾本科雜草數)보다 많았으며 이 시기(時期)가 총잡초수(總雜草數)에서 가장 많은 시기(時期)였다. 생육후기(生育後期)로 갈수록 광엽잡초수(廣葉雜草數)는 감소(減少)가 심(甚)했던 반면(反面)에 화본과(禾本科) 잡초(雜草)는 별(別) 변동(變動)이 없었다. 3. 적파(摘播) 투명(透明)비닐멀칭에서는 파종후(播種後) 15일(日)까지는 잡초발생(雜草發生)이 없었으며 그 후(後) 급격(急激)히 증가(增加)를 보여 생육후기(生育後期)까지도 증가(增加)가 단속(斷續)되었다. 광엽잡초(廣葉雜草)는 파종후(播種後) 45일(日)까지는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보다 양호(良好)한 발육(發育)을 보였으나 그 이후(以後)는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였으며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는 파종후(播種後) 60일(日)부터 광엽잡초(廣葉雜草)의 발육(發育)을 능가하기 시작(始作)하여 생육말기(生育末期)에는 광엽잡초(廣葉雜草)를 크게 압도(壓倒)하였다. 광엽잡초(廣葉雜草)는 비닐멀칭하(下)에서 생육(生育)이 현저(顯著)히 감퇴(減退)되었던 반면(反面)에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는 발육(發育)이 지장(支障)이 없었으며 총잡초중(總雜草重)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程度)의 잡초발생억제효과(雜草發生抑制效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만파(晩播) 흑색(黑色)비닐멀칭에서는 전기간(前期間)멀칭에서 잡초발생(雜草發生)이 없었으며 비닐멀칭기간(期間)이 길어질수록 잡초중(雜草重)은 감소(減少)하였다. 적파(摘播)와는 달리 생육초기(生育初期)부터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 광엽잡초(廣葉雜草)를 압도(壓倒)하였으며 멀칭 기간(期間)이 길어짐에 따라 광엽잡초중(廣葉雜草重)의 변동(變動)은 적었으나 화본과잡초중(禾本科雜草重)의 변동(變動)은 적었으나 화본과잡초중(禾本科雜草重)은 지속적(持續的)으로 감소(減少)되었다. 5. 적파시(摘播時) 초장(草長), 착삭부위장(着蒴部位長), 주당삭수(株當蒴數), 경치경등(莖値徑等)의 생육형질(生育形質)과 주당건물중(株當乾物重), LAI 등(等)의 생장해석요인(生長解析要因)을 포함(包含)한 외형적(外形的) 형질(形質)들에 잡초(雜草)의 피해(被害)가 나타나는 시기(時期)는 비닐멀칭후(後) 60일(日)에서 75일(日)사이로서 내적(內的) 형질(形質)인 수량(收量)에 피해(被害)가져오는 30일(日)에서 45일(日) 사이보다는 30일(日) 정도(程度)가 늦게 나타났다. 따라서 잡초(雜草)가 수량성(收量性) 등(等) 내적(內的) 형질(形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외형적(外形的) 형질(形質)에 미치는 영향(影響)보다도 빨리 찾아오므로 잡초(雜草)에 의(依)한 감수(減收)를 줄이기 위(爲)해서는 최소(最小)한 비닐멀칭후(後) 30일(日)에서 45일(日) 사이에 1회(回) 이상(以上)의 제초작업(除草作業)을 해주어야만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6. 만파(晩播) 흑색(黑色)비닐멀칭에서는 외형적(外形的) 형질(形質)에 피해(被害)가 심(甚)하게 나타나는 시기(時期)는 파종후(播種後) 15일(日)에서 30일(日) 사이에 비닐을 제거(除去), 방임(坊任)하는 것이었으며 수량(收量) 등(等) 내적(內的) 형질(形質)에 심(甚)한 감수(減收)를 나타내는 시기(時期)는 파종후(播種後) 45일(日)에서 60일(日) 사이에 비닐을 제거(除去), 방임(坊任)하는 것으로서 적파(摘播)에서와 같이 잡초(雜草)가 내적(內的) 형질(形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이 외형적(外形的) 형질(形質)에 미치는 영향(影響)보다도 30일(日) 정도(程度) 빨리 오는 것이었다. 7. 적파(摘播) 비닐멀칭 손제초(除草)에서는 엽(葉)의 발육(發育)이 파종후(播種後) 45일(日)에서 60일(日) 사이에 최대(最大)를 보인 후(後) 감소(減少) 되었으며 경(莖) 근(根)의 발육(發育)은 생육후기(生育後期)까지도 증대(增大)되었다. 비닐멀칭 방임(坊任)에서는 잡초(雜草)의 Shading 효과(效果)에 의(依)하여 엽중(葉重)이 생육후기(生育後期)까지도 감소(減少)되지 않았으며 경(莖) 근중(根重)은 단속(斷續) 증대(增大)되었다. 참깨 총생장량(總生長量)은 비닐멀칭 손제초(除草)에 비(比)하여 크게 떨어진 반면(反面), 잡초중(雜草重)은 크게 증대(增大)되었다. 8. 만파(晩播) 흑색(黑色)비닐멀칭에서는 비닐멀칭구(區)에서 엽중(葉重)이 생육중기(生育中期)에 최대(最大)를 보인 후(後) 감소(減少)되었으며 경(莖) 근(根)은 생육후기(生育後期)에 급(急)한 증대(增大)를 보여 적파(摘播)에서와 비슷한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총생장량(總生長量)에서는 적파(摘播)에서보다 훨씬 못미치는 것이었다. 무(無)멀칭 방임(坊任)에서는 엽중(葉重)이 생육말기(生育末期)에도 떨어지지 않았으며 경(莖) 근중(根重)도 단속(斷續) 증대(增大)하였으나 비닐멀칭보다는 총생장량(總生長量)이 크게 감소(減少)되었으며, 특(特)히 후기(後期) 경(莖) 근중(根重)이 크게 감퇴(減退)되었다. 참깨수량(收量)과 잡초중간(雜草重間)에는 적파(摘播)에서 r = $-0.874^{**}$의 높은 부(負)의 상관(相關)이 만파(晩播)에서 r = $0.712^{**}$의 높은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어서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이 많아질수록 참깨수량(收量)은 감소(減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Wine quality grading by near infrared spectroscopy.

  • Dambergs, Robert G.;Kambouris, Ambrosias;Schumacher, Nathan;Francis, I. Leigh;Esler, Michael B.;Gishen, Mark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 2001년도 NIR-2001
    • /
    • pp.1253-1253
    • /
    • 2001
  • The ability to accurately assess wine quality is important during the wine making process, particularly when allocating batches of wines to styles determined by consumer requirements. Grape payments are often determined by the quality category of the wine that is produced from them. Wine quality, in terms of sensory characteristics, is normally a subjective measure, performed by experienced winemakers, wine competition judges or winetasting panellists. By nature, such assessments can be biased by individual preferences and may be subject to day-to-day variation. Taste and aroma compounds are often present in concentrations below the detection limit of near infrared (NIR) spectroscopy but the more abundant organic compounds offer potential for objective quality grading by this technique. Samples were drawn from one of Australia's major wine shows and from BRL Hardy's post-vintage wine quality allocation tastings. The samples were scanned in transmission mode with a FOSS NIR Systems 6500, over the wavelength range 400-2500 ㎚.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Vision chemometrics package. With samples from the allocation tastings, the best correlations between NIR spectra and tasting data were obtained with dry red wines. These calibrations used loadings in the wavelengths related to anthocyanins, ethanol and possibly tannins. Anthocyanins are a group of compounds responsible for colour in red wines - restricting the wavelengths to those relating to anthocyanins produced calibrations of similar accuracy to those using the full wavelength range. This was particularly marked with Merlot, a variety that tends to have relatively lower anthocyanin levels than Cabernet Sauvignon and Shiraz. For dry white wines, calibrations appeared to be more dependent on ethanol characteristics of the spectrum, implying that quality correlated with fruit maturity. The correlations between NIR spectra and sensory data obtained using the wine show samples were less significant in general. This may be related to the fact that within most classes in the show, the samples may span vintages, glowing areas and winemaking styles, even though they may be made from only one grape variety. For dry red wines, the best calibrations were obtained with a class of Pinot Noir - a variety that tends to be produced in limited areas in Australia and would represent the least matrix variation. Good correlations were obtained with a tawny port class - these wines are sweet, fortified wines, that are aged for long periods in wooden barrels. During the ageing process Maillard browning compounds are formed and the water is lost through the barrels in preference to ethanol, producing “concentrated” darkly coloured wines with high alcohol content. These calibrations indicated heaviest loadings in the water regions of the spectrum, suggesting that “concentration” of the wines was important, whilst the visible and alcohol regions of the spectrum also featured as important factors. NIR calibrations based on sensory scores will always be difficult to obtain due to variation between individual winetasters. Nevertheless, these results warrant further investigation and may provide valuable Insight into the main parameters affecting wine quality.

  • PDF

TV 프로그램을 통한 방송사의 자사 홍보활동 연구 (The Study on PR Communication with Editorial References on TV Programs)

  • 박주연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1권
    • /
    • pp.193-223
    • /
    • 2005
  • 다채널 경쟁 환경을 배경으로 방송사들은 자사 홍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사 매체 특히 프로그램을 통해 방송사의 각종 활동 및 프로그램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이 연구는 독일 텔레비전 방송의 자사정보 제공현상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다루었다. 분석된 일주일간의 독일의 5대 텔레비전 방송에서 개별 프로그램에 나타난 자사관련 정보제공의 사례는 총 406건으로 나타났으며, 양적인 관계에서 제1공영TV인 ARD의 적은 사례를 제외하고 나머지 4개 방송사들은 공영과 민영 등 방송체제의 차이 없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독일의 방송들도 다채널 방송 경쟁 환경에서 방송기업과 프로그램의 산업적 측면을 방송 경영에서 조화하려는 자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석된 내용을 살펴보면, 공영방송과 민영방송이 보여주는 자사관련 정보제공 양태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시스템 전체의 구분보다는 채널 개별적인 정책의 상이함이 두드러졌다. 민영 방송사들이 공영방송과 비교해서 프로그램 홍보를 위한 미디어 기업 내의 마케팅 활동에 더욱 주력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뉴스를 비롯한 보도 정보 프로그램에서 자사와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제공은 공영방송과 민영방송 모두에게 나타나고 있어, 저널리즘에 있어서 방송기업 전반적으로 자사이익의 가치가 프로그램내용에도 높게 반영되는 측면을 엿 볼 수 있다.

  • PDF

우분 분해에 대한 지렁이와 소똥구리의 상호작용 (Interaction between Earthworm and Dung Beetles on Cattle Dung Decomposition)

  • 방혜선;나영은;정명표;김명현;한민수;강기경;이덕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8-242
    • /
    • 2009
  • 우분의 분해에 있어 소똥구리와 지렁이를 함께 처리한 구에서 단독으로 소똥구리와 지렁이를 처리한 것 보다 분해율이 높았고, 지렁이와 소똥구리가 우분 분해 활동을 한 다음에 식물체를 파종했을 때 식물체 생장은 비료를 처리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인정되었다. 우분 함수율 78%까지는 소똥구리에 의해 분해 활동이 일어나며, 30%까지는 지렁이에 의해, 30% 이하에서는 두 동물군 모두 분해 활동을 하지 않았다. 소똥구리와 지렁이에 의해 운반된 우분은 초기 우분의 약 72%이며, 이중 10.2%는 소똥구리의 brood ball 형성에 이용되었다. 지렁이의 활동이 소똥구리의 brood ball 형성에 저해요인이 되지 않았고, 소똥구리의 활동 또한 지렁이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지렁이와 소똥구리는 우분에서 공간적 분포를 같이 하면서 먹이 경쟁을 하기 보다는 상호보완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생체시료 중 중금속 및 유기용제 대사물 분석의 실험실간 정도관리 프로그램 (Inter-laboratory Comparison for Analyses of Heavy Metals and Organic Solvent Metabolites in Biological Samples)

  • 양정선;이미영;박인정;강성규
    • 분석과학
    • /
    • 제13권2호
    • /
    • pp.258-267
    • /
    • 2000
  • 1995년부터 실시해 온 산업보건 분야의 '유해물질 및 대사물 분석의 실험실간 정도관리 프로그램'(공식명: 특수건강진단기관 분석정도관리)의 5년간 실시 경과와 결과를 보고하고, 고찰을 통하여 우리나라 산업보건분야 실험실 서비스의 질관리를 위한 앞으로의 방향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산업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4가지 혈중 중금속과 5가지 유기용제 대사물에 대하여 연구원에서 제조된 표준시료를 분배하고 결과 분석값과 크로마토그람 등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여 참가기관에 대한 분석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 2회 실시된 정도관리 결과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고시하여 산업보건 관련 실험실들의 자율적인 질관리 서비스 경쟁을 유도하고, 관련 실험실 서비스의 사용자인 근로자, 사업주, 산업보건 관련자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켜, 실험실의 분석데이타에 대한 객관적인 신뢰도를 확보하고 산업보건 서비스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