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tibilizer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8초

열노화가 EPDM/실리콘 고무 블렌드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rmal Aging on the Properties of EPDM/Silicone Rubber Blends)

  • 정유경;이성구;조봉래;최길영
    • 폴리머
    • /
    • 제29권2호
    • /
    • pp.166-171
    • /
    • 2005
  •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1실리콘 고무 블렌드를 제조하고, 상용화제와 열노화 시간에 따른 물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EPDM과 실리콘 고무(SR)의 조성비는 90/10에서 $10/90\;wt\%$ 사이로 조절하였으며, Brabender사의 Plasticoder를 사용하여 용융 혼합하고, 열프레스로 가교하였다. 가교된 EPDM/SR 블렌드의 모폴로지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블렌드를 $100^{\circ}C$에서 24, 48, 96시간 동안 열노화시켜 경도, 인장 강도, 신장률 및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모폴로지를 조사한 결과 상용화제를 첨가한 블렌드의 분산상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열노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블렌드의 경도와 인장 강도는 감소하였으며, 신장률과 접촉각은 증가하였다.

폴리프로필렌/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체의 난연성 (Flame Retardancy of Polypropylen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 이성구;원종찬;이재흥;최길영
    • 폴리머
    • /
    • 제29권3호
    • /
    • pp.248-252
    • /
    • 2005
  • 다양한 조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P)/몬모릴로나이트(MMT) 나노복합체를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혼합 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MT의 박리를 위하여 MAH-g-PP를 상용화제로 사용하였고, 제조된 나노복합체를 X-ray 회절(X-ray diffraction, XRD)과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을 통해 MMT가 박리된 것을 확인하였다. PP/MMT 나노복합체의 제조에 사용한 MMT는 난연제와 상승효과를 발휘하여 난연제의 양을 절반가까이 줄였을 경우에도 우수한 난연효과를 나타내었다. PP/MMT 나노복합체는 순수 PP보다 기계적 물성과 열적 물성이 증가하였고, 난연성은 UL 94 V-0로 매우 우수하였다.

Effects of a Crosslinking Agent and a Compatibilizer on the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Waste PP and Waste Ground Rubber Tire Composites

  • Kim, Donghak;Kim, Seonggil;Lee, Minji;Lee, Chanhee;Lee, Horyong;Lee, Seongwoo;Lee, Suhyeon;Moon, Myeongsuk;Bang, Daesuk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0권1호
    • /
    • pp.24-29
    • /
    • 2015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crosslinking agent and a compatibilizer on the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waste PP and waste ground rubber tire (WGRT) composites. In order to simulate a commercial TPV, the component of waste PP and WGRT was fixed at 30 and 70 wt%, respectively. With the simple addition of SEBS-g-MA into the waste PP/WGRT composite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mposite was decreased, whereas both the elongation at break and impact strengt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ecause of rubbery characteristics of SEBS-g-MA.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the waste PP/WGRT/SEBS-g-MA composites was revulcanized with dicumyl peroxide (DCP). As expecte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revulcanized composites was generally improved. Especially, with 15 and 1 phr of SEBS-g-MA and DCP, elongation at break was highest value of about 183% because of the recross-linking of WGRT without chain scission of the main chain. It was found that complex viscosity of the revulcanized composite increased which might verify further vulcanization of the WGRT.

상용화제를 포함한 PMMA/PVME 블렌드의 열역학적 특성과 기체 투과 특성 (Thermodynamic Characteristics of PMMA/PVME Blends Containing Compatibilizer and Their Gas Transport Properties)

  • 최해욱;문유진;정병조;김창근
    • 폴리머
    • /
    • 제26권2호
    • /
    • pp.245-252
    • /
    • 2002
  • 상용화제로 poly(styrene-b-methylmethacrylate) [U(S-b-MMA)]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 polymethylmethacrylate (PMMA)와 polyvinylmethylether (PVME) 블렌드의 열역학적 특성과 이들의 기체 투과특성을 조사하였다. 블렌드에 포함된 여러 고분자들 간의 상호작용 에너지를 상분리 온도와 상태방정식 이론으로부터 구하기 위해 다양한 조성의 poly(styrene-co-methylmetha-crylate) (SMMA)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PVME와 블렌드하여 단상의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공중합체 내의 스티렌 함량이 70 wt% 이상에서는 SMMA/PVME 블렌드는 단상을 형성할 뿐아니라 LCST 거동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구한 상호작용 에너지를 기초로 PMMA/PVME 블렌드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S-b-MMA) 블록 공중합체를 상용화제로 첨가하였다. 분산상으로 존재하는 PVME 고무 입자들의 평균 크기는 상용화제 첨가량이 5 phr 이하에서는 점차 감소하지만 더 이상의 상용화제를 첨가해도 분산상의 크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일정 블렌드 조성에서 기체 투과도도 상용화제의 양이 5 phr 일때까지는 증가하지만 그 이상의 상용화제 함량에서는 기체 투과도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축연신 PP/EVOH 블렌드 필름의 차단 성질 및 모폴로지 (Barrier Property and Morphology of Biaxially Oriented PP/EVOH Blend Film)

  • 여종호;이종훈;박찬석;이기준;남재도
    • 폴리머
    • /
    • 제24권6호
    • /
    • pp.820-82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블렌드 내의 분산상을 잘 발달된 판상 구조로 발현시켜 폴리프로필렌 (PP)/에틸렌 비닐알코올 공중합체 (EVOH) 블렌드의 차단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름 제조 공정으로써 이축연신 공정을 사용하였다. 분산상 수지와 연속상 수지의 점도비로부터 용융 압출 공정시 변형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 수지의 유변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상용화제 함량과 연신 배율 및 연신 온도 등이 이축연신 블렌드 필름의 산소 투과도와 모폴로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5 wt%의 EVOH를 첨가한 PP/EVOH 블렌드 필름의 산소차단성은 EVOH 분산상이 이축연신에 의해 넓은 면적의 판상구조로 발현되어 순수 PP에 비해 10배 정도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폴로지를 조절하친 두 상간의 계면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PP-g-MAH와 ionomer를 사용한 결과, 차단 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용화제를 블렌드에 최적의 함량으로 첨가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높은 연신 배율과 연신 온도로 이축연신하여 제조된 블렌드 필름에서 더욱 뚜렷한 판상 모폴로지가 관찰되었으며, 차단효과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폐폴리(염화 비닐)계 고분자 블렌드의 구조 및 물성 연구(II)-폐폴리(염화 비닐)/폴리에틸렌 고분자 블렌드의 형태학 및 유변학적 거동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aste PVC Blends (II)- The Relationship between Rheology and Morphology of Waste PVC/PE Blends)

  • 유영재;박재찬;원종찬;최길영;이재흥
    • 폴리머
    • /
    • 제28권6호
    • /
    • pp.460-467
    • /
    • 2004
  • 폐폴리(염화 비닐) 수지 [waste poly(vinyl chloride), RPVC]와 폐폴리에틸렌 수지 (waste polyethylene, RPE)를 용융 블렌드하여 이들의 형태학적 특성과 유변학적 성질을 관찰하였다. 대수 가감 법칙 (Log additivity rule)으로 계산된 값과 측정된 토크 변화를 비교해보면, 고분자 블렌드는 서로 비상용성을 나타내는 음의 편차 거동을 보였다. 평형판 레오미터와 모세관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한 블렌드의 유변학적 성질은 용융 상태에서 전단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단 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RPVC/RPE 블렌드에 상용화제를 첨가하면 단순 블렌드보다 전단 점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상용성이 증가하여 분산상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단 점도 측정 후 얻은 시료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해 보면 전단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분산상의 크기가 약간씩 커지는 것이 관찰되었고 또한, 시료의 표면층보다 내부의 분산상이 커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액정 고분자/에틸렌-아크릴산 이오노머 블렌드의 반응상용화에 관한 연구 (Reactive compatibilization of liquid crystalline polymer/ethylene-acrylic acid ionomer blends)

  • 하이디 크루즈;손영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653-3659
    • /
    • 2015
  • 방향족 열방성 액정 고분자와 에틸렌-아크릴 산 공중합체 및 그 금속염 고분자간의 반응 상용화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블렌드는 배치 믹서에서 제조하였으며 액정 고분자의 에스터 그룹과 이오노머의 아크릴산 사이에 발생하는 acidolysis 반응으로 형성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발생 유무를 평가하였다. 반응의 정도는 배치 믹서에서 시간에 따른 토크의 증가와 열분석 및 형태학 상 구조를 통해 평가하였다. poly(ethylene-co-acrylic acid) (EAA) 이오노머의 Na 염이 반응을 증진시키는데 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반응의 진행 정도는 금속염의 종류 뿐 아니라 이오노머의 조성과 반응 시간에 따라 변하였다. 액정 고분자와 Na로 중화된 이오노머 간의 반응으로 생성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액정 고분자와 EAA 이오노머 블렌드의 반응상용화제로 효과가 높음을 미세 구조 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상용화제 첨가가 화이트 바이오 생분해 플라스틱 필름의 인장강도와 토출 량과 비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Tensile Strength and Discharge Volume of the White Biodegradable Plastic film added Compatibilizer)

  • 한정구;박승준;이범수;박형우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9-174
    • /
    • 2021
  • 우리나라가 1인당 플라스틱 년간 소비량이 132 kg(2019)으로 세계1위로 나타났고, 지구온난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국제적 협약이 진해되고 있으며 소비자들도 바이오플라스틱에 대한 관심과 니즈가 증가하고 있어, 바이오플라스틱 소재에 복합 사용화 첨가제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필름을 생산 시 토출량, 용융지수, 인장강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석유계 수지인 LLDPE와 LDPE보다 PLA와 PBAT에서 용융지수가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 수지나 동일 처리구에서는 heating temperature가 증가함에 따라 용융지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화제 4%를 첨가한 BDP-2 처리구에서 토출양도 비중도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MD 및 TD 방향의 인장강도도 높게 나타나 BDP-2가 복합화 생분해 필름 제조용 제조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P(MMA-co-MAA) 상용화제가 Nylon 6/PVDF 블렌드의 모폴로지 및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MMA-co-MAA) Compatibilizer on Morph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ylon 6/PVDF Blend)

  • 김갑진;조항원;윤기종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81-484
    • /
    • 2002
  • nylon 6의 단점인 저온에서의 연성 및 내충격성 저하를 개선하는 동시에 nylon 6의 내후성도 개선시키는 방법의 하나로 유리전이온도가 매우 낮고, 내가수분해성, 내후성 및 연성(ductile property)이 뛰어난 불소함유 고분자계의 한 종류인 PVDF (polyvinylidene fluoride)를 nylon 6에 용융블렌드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1-5] 그런데 용융상태에서 두 고분자는 부분 혼화성만을 보이고, nylon 6과 PVDF는 모두 결정성 고분자이기 때문에 성형 후 냉각하는 동안 두 고분자의 결정화에 기인한 결정화유도 상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중략)

  • PDF

Effect of clay contents on Morphology,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Nanocomposites.

  • Nithitanakul Manit;Grady Brain P.;Magaraphan Rathanawan;Muksing Nattaya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291-291
    • /
    • 2006
  • Two different sources of clay, Na-Bentonite (Thai local clay) and Na-Montmorillonite were modified with Hexadodeccyltrimethyl ammonium bromide. The nanocomposites of polypropylene were successfully prepared via melt blending in a 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 by using PP-g-MA as a compatibilizer at various contents of organoclays. The morphology of nanocomposites was investigated by using XRD and S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calated and exfoliated structures were obtained. The thermal behavior was also studied by using DSC and TGA. The degradation temperature of filled PP was greater than that of unfilled PP by 20%. And, the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were improved when a small amount of organoclays were ad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