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driven knowledge sit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청소년들의 성 정체성에 관한 지식검색 커뮤니티 정보탐색행태 (Adolescents' Information-seeking Behavior for Gender Identity in a Community-driven Knowledge Site)

  • 이다정;이용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61-181
    • /
    • 2019
  • 사람들은 청소년기에 성적 지향이나 성 정체성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하며, 청소년들은 성에 관한 민감한 건강정보 탐색을 위해 접근이 편하고 익명성이 보장된 지식검색 커뮤니티를 자주 이용한다. 본 연구는 지식검색 커뮤니티에 나타난 청소년들의 성 정체성에 관련된 질문과 답변을 바탕으로 그들의 정보탐색 행태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그들의 정보 요구를 파악하고 그들이 공유한 질문에 제공된 답변들 가운데 채택된 답변과 비 채택된 답변의 특성을 비교하여 청소년들이 어떠한 답변을 선호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대표적인 지식검색 커뮤니티인 네이버 지식iN에서 2016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3년간 채택된 답변과 비 채택된 답변으로 구성된 총 358세트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 정체성에 관한 고민을 가진 청소년들은 성 정체성에 대한 정의나 혼란에 관한 정보 요구가 많았다. 이용자들이 채택한 답변에는 공감 및 긍정적인 느낌을 주는 요인들이 채택되지 않은 답변에 비해 많았으며, 반면에 채택되지 않은 답변에는 부정적인 요인들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이 가진 정보 요구와 정보탐색 행태를 분석하여 정보탐색 분야의 논의를 확장하고 건강정보 이용자의 정보 평가에 이용되는 인지적 및 감정적 모델을 검증했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 미디어가 청소년에게 제공해야 할 성 정체성에 관한 효과적인 정보서비스에 대한 실질적인 함의를 제안한다.

현장체험중심의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독일의 환경교육이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tivation Strategy of Site-Based Experiential Environmental Education)

  • 최돈형;노경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3권2호
    • /
    • pp.51-62
    • /
    • 2000
  •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EE) in Germany, and attempted to propose strategies to develop school EE in Korea. The study intended to accomplish the following goals: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chool EE in Germany. Second, exemplary cases of site-based experiential education in Germany are selected and analysed to develop pedagogical strategies in school EE in Korea. The strategies for development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cus of EE should go beyond that of "solving or curing"environmental problems and pollutions, and need to be re-directed to pursue a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 new paradigm for future EE. Second, EE should increasingly integrate outdoor site-based, experiential programs into the currently classroom-based and knowledge-driven forms of education, not only to maximize its educational effect but also and knowledge-driven forms of education, not only to maximize its educational effect but also to coordinate the instruction of EE in the context of the educational reform agenda, currently undergoing since the late 1990s, in Korea. Third,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EE should be variously developed, and programs should be encouraged to serve local needs and circumstances for effective classroom practices, and criteria for standard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should be sought in developing these programs. Fourth, it is recommended tha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ecure funds to facilitate the local school authorities at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levels to operate a mobile environmental support system, equivalent to the function of the "Lumbricus"in Germany. Fifth, an external support network should be established among the support agencies for EE. Especially, a professional agency or institute to academically support school EE and a special planning committee for enhancing EE need to be established for resource and personal development. Parents′voluntary participation should also be encouraged to establish a tripartite network of "school-community-government" to support and facilitate school E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