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similarity

검색결과 404건 처리시간 0.021초

낙동정맥 성시골지역의 식생구조 분석 (Analyzing Vegetation Structure of Seongsi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 이수동;김동욱;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78-388
    • /
    • 2011
  • 낙동정맥 구간 중 성시골 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 9km 구간을 대상으로 $10m{\times}10m$($100m^2$) 방형구34개소를 설치하여 주요 환경인자 및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낙동정맥 성시골 지역의 식물군락은 소나무군락, 박달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의 6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단위면적($100m^2$)당 군락별 평균 출현 종수는 8.5~10.5종이었고, 출현 개체수는 평균 27.5~175.6개체이었다. 종다양도지수는0.6061~0.8736로 나타났으며 소나무군락이 가장 낮았고 박달나무군락이 가장 높았다. 유사도지수는 10.03~39.72로비교적 낮았으며 소나무군락 및 신갈나무군락과 일본잎갈나무군락의 유사도가 가장 낮았고 굴참나무군락과 신갈나무군락의 유사도가 가장 높았다.

독도.울릉도 및 동해안 암반조간대 무척추동물상의 분포 연구를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istribution of Rocky Intertidal Fauna in the Korean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including Dokdo and Ulleungdo)

  • 차재훈;김미경
    • 환경생물
    • /
    • 제31권3호
    • /
    • pp.225-231
    • /
    • 2013
  • 동해안의 암반조간대 무척추동물상의 분포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독도를 비롯한 울릉도, 경상북도의 경주, 포항, 영덕, 울진 그리고 강원도 등 총 19개 정점의 암반 조간대무척추동물상을 조사하여 출현종의 유사도를 공통종의 출현비율 (%)과 Bray-Curtis similarity matrix를 이용한 집괴분석과 MD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SIMPER를 이용하여 독도와 그 외의 동해안 암반저서 무척추동물의 특징종을 선출하였다. 공통종의 출현비와 집괴분석결과, 가장 가까이 위치한 울릉도를 제외하면, 경상북도의 영덕이 가장 높은 유사도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독도 암반저서생태계는 다른 동해안 연안과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분석을 이용한 방목초지 식물군락의 유사성 비교 (Comparison of the Similarity Among the Plant Communities of the Grazing Pasture by the Cluster-Analysis)

  • 박근재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93-300
    • /
    • 2004
  • 방목초지 식물군학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결정하고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군락간의 유사성을검정하고자, 1998년 8월부터 10월까지 독일의 중부지역인 Witzenhausen 근교에서 조사한 초지 식물군락을 Kassel 대학교 초지생태 연구소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6개 지역의 초지에서 조사한 식생을 군강(Class)으로 분류한 식물군락은 대부분 Molinio-Arrhenatheretea 및 Festuco-Brometea 초지군락 이었으며, 반건조지 식물군락을 제외한 초지 식물군락의 생태적 반응과 사료가는 군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조사료 생산에 적당하였다. 식물군락간 정의 상관은 14과 12번 군락이 가장 높았고, 7번과 9번 군락간에는 상관이 없었으며, 반건조지 식물군락은 다른 군락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완전연관법에 의한 군집분석의 유사성 검정 측도는 유클러드 거리계수를 이용하는 것이 좋았으며, 식생구성이 비슷한 군락이 서로 군집을 형성하였다. 유사성이 높은 중소집단은 교란된 식물군락 (16, 15), 반건조지 초지군락 (14, 12, 11, 13), 중상급초지군락 (8, 7, 6) 중하급초지군락 (10, 9, 5), 중급 (4, 3), 상급초지군락 (2, 1) 등 6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삼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II) -덕유산지역 혼효림군집 교목층의 적정 조사구 면적- (Plot Size for Investigating Forest Community Structure(II) -Adequate Plot Area of Tree Stratum in a Mixed Forest Community at T$\v{o}$kyusan Area-)

  • 박인협;류창희;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7-191
    • /
    • 1994
  • 단일 조사구에 의한 삼림군집구조 조사시 교목층의 적정 조사구면적을 결정하기 위하여 신갈나무, 졸참나무, 소나무, 굴참나무 등이 혼효하고 있는 덕유산지역 혼효림군집의 교목층을 대상으로 nested design에 의하여 19개의 조사구를 설치한 후 종수-면적 곡선, performance curve등을 적용하였다. 종수-면적 곡선에 있어서 조사구면적의 증가율보다 출현종수의 증가율이 낮은 최소 조사구 면적은 500$m^2$이었으며, 조사구 면적의 증가율에 비하여 출현종수의 증가율이 1/2이하인 최소 조사구 면적은 1,000$m^2$이었다. Performance curve를 작성한 결과 조사구 면적 900$m^2$ 이상에서 주요 수종의 중요치가 일정한 경향으로 구분되었으며, 조사구 면적 500$m^2$에 인접한 소나무 대 경목을 제외할 경우 조사구 면적 500$m^2$ 이상에서 일정한 경향으로 구분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종다양도는 조사구 면적 400$m^2$ 이상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 조사구 면적에 대한 유사도지수는 조사구 면적 900$m^2$, 400$m^2$ 이상에서 각각 90, 85% 이상의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와 본 조사지의 경우 혼효율이 비교적 높은 삼림군집임을 고려할 때 삼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단일 조사구의 면적은 일반적인 경우 500$m^2$, 보다 정확성을 요구할 경우 대체로 1,000$m^2$가 적정 최소 면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 PDF

Phytosociological Study and Spatial autocorrela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ae at Gijang-gun

  • Choi, Byoung-Ki;Huh, Man Kyu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373-1381
    • /
    • 2013
  • Mt. Yeonae is at Gijang-gun in Busan and is surrounded by farming lands on three sides. The search for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ynamics of local communities were studied at Mt. Yeonae of how spatial similarity decays with geographic distance. The index values of Z$\ddot{u}$rich-Montpellier School's phytosociology at the 12 plots was compared to a distribution of similarly using 20 m quadrates at 12 sites. The specific communities were five including Pinus densiflora -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Six species were significant similarity between neighboring sites by using the spatial autocorrelation coefficient, Moran's I. If Mt. Yeonae was destroyed by an artificial action, some spatial correlated species such as P. densiflora and Q. variabilis will be collapsed because of no maintaining the effective population sizes.

Girbanr Hills의 식생 (Vegetation Studies of Girbanr Hills, District Swat, Pakistan)

  • Hussain, Farrukh;Mohammad Ilyas;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2호
    • /
    • pp.207-218
    • /
    • 1995
  • Five non-stratified plant communities, Dichanthium-Artemisia-Themeda, Dichanthium- Plectranthes-Themeda, Plectranthes-Carex-Myrine, Heteropogon- Dichanthium-Dodonaea and Artemisia-Cynodon-Ber-beris were recognized in Girbanr hills, District Swat, during autumn, 1992. The indices of similarity showed that the communities were dissimilar. The percentage of leptophyllous and nanophyllous, terophytic and nanophanerophytic species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These indicate dry and disturben conditions. Due to autumn season most of the species were entering in dormant stage. There was no tree layer on southern slopes while northern slopes had a poor layer of Pinus roxburghii. Deforestation, uprooting, terrace cultivation and overgrazing followed by erosion are the main ecological problems. The presence of isolated trees of Pinus roxburghii and stunted Olea ferruginea indicate that the original vegetation might have been of chirpine or Olea-Pinus type. The area having resource potential can be changed into a forest or rangeland by proper protection and management. Suggestions in favour of improvement are given.

  • PDF

DNA 교잡에 의한 토양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과 유사성 (The Diversity and Similarity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by DNA Cross Hybrization)

  • 김유영;송인근;민병례;조홍범;최영길
    • 환경생물
    • /
    • 제17권3호
    • /
    • pp.279-284
    • /
    • 1999
  • 토양으로부터 직접 추출한 DNA를 cross hybridization하는 방법을 통해서 서로 다른 토양 환경 간에 미생물 군집의 유전형적 유사성과 상대적 다양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소나무삼림토양이 다른 토양에 비해 상대적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경작지, 나지, 초지, 신갈삼림 순으로 다양성 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유전형적 유사성의 정도에 따른 집괴 분석 결과 소나무삼림과 경작지 토양, 신갈나무삼림과 초지 토양 그리고 나지 등 세 부류로 구분되었다.

  • PDF

Ranking Tag Pairs for Music Recommendation Using Acoustic Similarity

  • Lee, Jaesung;Kim, Dae-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5권3호
    • /
    • pp.159-165
    • /
    • 2015
  • The need for the recognition of music emotion has become apparent in many music information retrieval applications. In addition to the large pool of techniques that have already been developed in machine learning and data mining, various emerging applications have led to a wealth of newly proposed techniques. In the music information retrieval community, many studies and applications have concentrated on tag-based music recommendation. The limitation of music emotion tags is the ambiguity caused by a single music tag covering too many subcategories. To overcome this, multiple tags can be used simultaneously to specify music clips more precise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technique to rank the proper tag combinations based on the acoustic similarity of music clips.

완도 연안 낭장망에 채집된 어류 군집구조의 12년 전후 변화 (Change of Structure Community of Fish Collected by a Gape Net with Wings after 12 Years in the Coast of Wando Island, Korea)

  • 유준택;김진구;최문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59-666
    • /
    • 2014
  • Our aim was to compare the community structure of fish in the coast of Wando Island between 2001 and 2013. Using a gape net with wings, we collected 61 taxa, wherein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Engraulis japonicus. The sea temperature in the middle layer of the survey station in 2001 (after June) was obviously higher than that in 2013, which was < $20^{\circ}C$. Except for Thryssa kammalensis in 2013, the log transformed individuals of seven dominant species, selected using a SIMPER (similarity-percentages procedure) analysis, decreased. Decreases in the individuals of Gobiidae spp., the warm-water species Trichiurus japonicus and Conger myriaster, and the migratory species Syngnathus schlegeli, Setipinna taty and Sardinella zunasi, which arrive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during summer-autumn, could be due to decreasing sea temperature in 2013. Thus, fish species diversity, estimated from rarefaction and k-dominance curves, declined in the coastal waters of Wando Island from 2001 to 2013, resulting i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ish community structure.

낙동강 중.하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The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Middle-Lower Part of the Naktong River)

  • 문성기;정종문;최철만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1-45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Naktong river from January to December in 1999. In water quality, average value of pH were 8.1, BOD 2.5mg/$\ell$, COD 5.0mg/$\ell$, Chl-a 41$\mu\textrm{g}$/$\ell$, and $NH_4^+-N$ 0.08mg/$\ell$, respectively. Phytoplankton were identified 42 genera 76 species. Among these, diatoms were 39 species(51.3%), green algae 25 species(32.9%), cyanobacteria 4 species(5.3%), dinoflagellates 4 repectively. The highest standing crops were 33,023 cells/$m\ell$ in February at the Mulgum and the lowest 79 cells/$m\ell$ in March at the Goryung. Also, Standing crops were increased with proceeding from middle part to lower part.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represented that Stephanodiscus hantzschii was dominant species in winter, Cyclotella menaghiniana and Synedra acus in spring, C. meneghiniana, S. acus,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in summer, and A. granulata var. angustissima and C. meneghiniana in autumn. Ecological important species were 4 species, that are Stephanodiscus hantzschii, Cyclotella meneghiniana, Synedra acus, and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In the community analysis, dominance indices ranged from 0.434(August, Namji) to 0.999(January, February, Mulgum) and diversity indices from 0.026(February, Mulgum) to 3.073(September, Namji). According to the similarity index among the stations, it was generally defind as two areas such as middle(Goryung, Namji and Samryangjin) and lower part(Mulgum).

  • PDF